뉴욕시가 5개 보로 퇴비화 프로그램을 본격적으로 시작할 계획이다. 뉴욕시는 낙엽, 꽃, 나뭇가지, 잔디 등 유기 폐기물 분리수거 서비스를 27일 퀸즈에서 다시 시작하면서 이를 향후 의무화하는 규정을 발표했다. 지난해 이미 파일럿 프로그램으로 인기를 끌었던 유기 폐기물 분리수거는 향후 브루클린은 10월 2일, 브롱스와 스태튼아일랜드는 2024년 3월 25일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맨해튼의 경우 2024년 10월 7일부터 시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분리수거 프로그램이 시작되면, 시 청소국은 거주자들이 전용 쓰레기통에 따로 모아 담아둔 유기 폐기물을 별도로 수거한 뒤 퇴비로 만들게 된다. 아파트와 같은 다가구 주택에는 시 청소국이 유기 폐기물 전용 쓰레기통을 배치해 주며, 단독주택인 경우 시 청소국을 통해 쓰레기통을 신청하면 된다. 뉴욕타임스(NYT)의 보도에 따르면 에릭 아담스 행정부는 유기 폐기물 분리수거 의무화 규정은 오는 6월부터 퀸즈에 먼저 적용할 예정이다. 물론 새 규정에 대한 주민 의견수렴을 위한 공청회라는 관문이 남아있다. 한편, 청소국에 따르면 새 규정은 정원 쓰레기에 한해 적용되며 음식물 쓰레기에 대해서는 적용되지 않는다. 제시카 티시 청소국장은 주민들의 반응을 살펴본 뒤 음식물 쓰레기 분리수거에 대한 의무화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심종민 기자프로그램 퇴비화 퇴비화 프로그램 분리수거 프로그램 뉴욕시 퇴비화
2023.03.27. 19:49
캘리포니아주가 오는 2027년부터 사람의 시신을 거름용 흙으로 활용할 수 있는 대체 장례 방식을 허용한다. 개빈 뉴섬 주지사가 18일 서명한 ‘인간 퇴비화 매장(Human Composting Burial)’ 법에 따르면 가주에서는 앞으로 고인의 시신을 풀, 나무, 미생물 등을 활용해 30∼45일 동안 자연적으로 분해하고 퇴비용 흙으로 만들 수 있다. LA타임스는 퇴비장 전문 업체인 어스 퍼너럴(Earth Funeral)의 톰 해리스 공동 대표의 말을 인용해 “유족은 거름으로 돌아간 고인의 유해를 돌려받거나 공공 토지에 퇴비로 기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비용은 일반적으로 5000~7000달러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크리스티나 가르시아(민주·벨가든) 하원의원이 발의한 이 법안은 매장과 화장 외에 고인과 유족에게 친환경적인 장례 선택권을 제공한다는 취지로 마련됐다. 이 법안은 2020년과 2021년에도 상정됐으나 실패했다가 세 번째 만에 성공했다. 당시 법안이 상정되자 가주 가톨릭 콘퍼런스 등 종교 단체는 퇴비장은 고인의 존엄성을 훼손한다는 이유로 반대했다. 그러나 지지자들은 그것이 전통적인 수명을 다한 선택들에 대한 친환경적인 대안이라고 주장해왔다. 가르시아 하원의원은 성명에서 “기후 변화와 해수면 상승이 우리 환경에 매우 현실적인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퇴비장)은 환경을 보호하는 친환경적인 대안”이라고 강조했다. 시애틀에 있는 또 다른 퇴비장 전문 업체인 리콤포즈의 카트리나 스페이드 대표는 “새 법은 3900만명에 달하는 가주민들이 자기 죽음을 의미 있게 마무리 지을 수 있는 선택권을 갖게 해 줄 것”이라며 “새로운 장례법은 전통적인 장례나 화장보다 탄소 배출, 물, 토지 사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환영했다. 한편 퇴비장은 2019년 워싱턴주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이후 오리건, 콜로라도, 버몬트주가 도입해 시행 중이다. 장연화 기자퇴비화 매장법 인간 퇴비화 퇴비장 전문 장례 선택권
2022.09.20. 2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