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트랜스링크, 지원금 급감에 내년 적자… 운행 축소 불가피

 트랜스링크의 재정 상황이 급격히 악화될 전망이다.       메트로 밴쿠버의 대중교통을 관리하는 트랜스링크는 올해 5,050만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으나, 내년에는 7,200만 달러의 적자가 예상된다.       4일 이사회가 승인한 2025년 예산안에 따르면, BC주와 연방정부의 지원금이 전년 대비 22.1%(9천300만 달러) 감소했다.       케빈 퀸 트랜스링크 CEO는 지난여름 코로나19 관련 주정부 지원금이 종료되면서 내년 말까지 심각한 재정난에 직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추가 재원이 확보되지 않으면 2025년 말까지 서비스의 50%를 축소해야 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2025년 예산은 전년 대비 0.6% 증가한 25억 달러 규모다. 과밀 해소와 소외지역 접근성 개선을 목표로 하지만, 인건비 인상과 노후 버스·열차 교체 비용도 부담이다.       특히 버스 차량의 49%가 잔여 수명 3년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트랜스링크는 최근 몇 년간의 높은 물가상승으로 인건비와 자재비, 서비스 비용이 급등했다고 밝혔다. 2025년 예산에서 이로 인한 비용 증가가 1억2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 면에서는 승객 증가로 전년 대비 12% 수익 상승이 기대되며, 4천900만 달러의 지출 삭감과 1천900만 달러의 비용 이연을 통해 재정 압박을 완화할 계획이다.       메트로 밴쿠버 지역 시장들은 대중교통의 지속가능한 재원 확보를 위해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특히 연방정부에 2026/27년부터 시작되는 연간 30억 달러 규모의 캐나다 대중교통 기금 조기 집행을 촉구했다.       그러나 피에르 폴리에브 연방 야당 대표는 역세권 고밀도 개발을 의무화하지 않는 도시에는 대중교통·인프라 지원금을 중단하겠다고 경고해 논란이 예상된다.     밴쿠버 중앙일보트랜스링크 지원금 트랜스링크 지원금 트랜스링크 ceo 인프라 지원금

2024.12.05. 10:37

썸네일

트랜스링크 급행버스 내에서 무료 와이파이

 한국에서는 대중교통에 무료 와이파이가 당연시되고 있는데, 메트로밴쿠버 대중교통에서도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가 제공되기 시작했다.   트랜스링크는 코객경험행동계획(TransLink’s Customer Experience Action Plan) 일환으로 로저스와 협력해 일부 대중교통과 시설에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12일 밝혔다.   현재 무료로 와이파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대중교통은 5개 노선의 급행버스(RapidBus)안과 다른 연결 버스( articulated buses) 일부다. 또 시버스 배안과 일부 스카이트레인 객차 안에서도 무료 와이파이가 연결된다.   대중교통 시설로는 시버스 터미널 양쪽편과 에드몬즈역, 뉴웨스트민스터역, 카볼트환승장(Carvolth Exchange)과 랭리환승장(Langley Centre Exchange) 등이다.   트랜스링크는 당초 샤커뮤니케이션과 해당 서비스 사업을 진행했었는데, 샤가 로저스에 인수되며 로저스가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 셈이다.     처음 무료 와이파이가 트랜스링크에 설치된 것은 2021년이다. 현재 평균적으로 매일 무료 와이파이 연결 기기는 2만 4000개로 추산된다. 현재까지 총 사용량은 21만 5000기가파이트이다.     표영태 기자트랜스링크 급행버스 트랜스링크 급행버스 무료 와이파이 와이파이 서비스

2023.07.13. 13:22

썸네일

트랜스링크 요금단말기에서 직불카드로 결제

 메트로밴쿠버의 대중교통 시스템을 담당하는 트랜스링크가 전국에서 최초로 직불카드로 요금 단말기에서 교통요금을 결제하는 방식을 도입했다.   트랜스링크는 11일 오전 기사회견을 통해 인터렉트 데빗(Interac® Debit) 카드로 모든 버스와 트랜스링크의 요금 단말기에서 결제를 할 수 있게 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캐나다 최초로 완전 통합 무접촉 결제 인터렉트 데빗 결제 시스템을 적용하게 된 것이다.   이를 위해 TransLink, Interac, Moneris, 그리고 Cubic Transportation Systems이 트랜스링크 시스템에 있는 5000개가 넘는 컴패스 요금 결제 단말기(Compass Readers)를 업그레이드 했다.     이에 따라 대중교통 이용자는 직불카드나 스마트폰의 디지털 지갑을 통해 요금 단말기에서 교통요금을 지불할 수 있다.   트랜스링크는 이미 신용카드, 디지털 지갑, 컴패스 카드, 컴패스 팔찌, 그리고 컴패스 미니 등으로 결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표영태 기자트랜스링크 요금단말기 트랜스링크 요금단말기 트랜스링크 시스템 결제 시스템

2023.01.11. 13:46

썸네일

연말연초 트랜스링크 무료 탑승

 매년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 하는 날 무료로 운행되던 메트로밴쿠버의 대중교통이 올해도 시민들의 안전 귀가를 위해 무료로 개방된다.   트랜스링크는 31일 오후 5시부터 1일 오전 5시까지 대중교통 버스와 스카이트레인, 시버스, 나이트버스 등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새해 전야 대중교통 운행 계획을 보면, 우선 버스는 토요일 스케줄로 운영되며 30대의 버스가 추가 투입된다.   스카이트레인은 토요일 스케줄로 운영되는데, 워터프론트에서 킹조지로 가는 마지막 편은 1일 오전 2시 16분이고 로히드로 가는 편은 오전 2시 11분이며, 프러덕션-유니버시티는 오전 1시 40분이다. 캐나다라인의 워터프론트에서 밴쿠버공항행 마지막 편은 오전 2시 5분, 리치몬드-브라하우스는 오전 2시 15분이다.   시버스는 토요일 스케줄로 1시 22분까지는 15분 간격 그 이후 2시 22분까지 30분 간격으로 운항된다.   나이트버스는 밴쿠버, 리치몬드, 노스밴쿠버, 버나비, 코퀴틀람, 뉴웨스트민스터, 그리고 써리로 정상 운행한다.   웨스트코스트 익스프레서는 토요일인 관계로 운행하지 않는다.   표영태 기자트랜스링크 연말연초 연말연초 트랜스링크 스카이트레인 시버스 토요일 스케줄

2022.12.22. 15:44

썸네일

트랜스링크 고객 서비스 확 개선한다는데...7월 1일 요금 인상

 메트로밴쿠버의 대중교통비가 올해 또 다시 인상될 예정이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미뤄진 인상률을 반영한 인상률이 될 예정이다.   트랜스링크 이사회는 24일 대중교통 요금을 7월 1일 평균 2.3% 인상하는 안을 의결했다. 이에 따라 현금기준으로 1구간 기본 요금이 현재보다 1.64% 인상된 3.1달러가 됐다.   2구간은 4.45달러, 3구간은 6.05달러가 된다. 12세 이상 청소년과 65세 이상 노인 등 우대할인 요금은 1구간 2.05달러, 2구간 3.05달러, 그리고 3구간은 4.15달러이다. 데이패스는 성인이 11달러, 우대할인요금은 8.65달러이다.   트랜스링크의 교통카드인 컴패스카드로 결제할 경우 1구간은 2.5달러, 2구간은 3.65달러, 3구간은 4.7달러이다. 우대할인요금은 현금요금과 동일하다.   월간패스는 1구간이 102.55달러, 2구간인 137.1달러, 그리고 3구간이 185.6달러이다. 우대할인요금은 구간과 상관없이 58.65달러이다.   웨스트코스트익스프레스의 월간패스는 1~2구간이 166.15달러, 3구간은 217.7달러, 4구간은 262.65달러, 그리고 5구간은 358.7달러다.     편도 현금 요금은 1~2구간이 6.05달러, 3구간이 7.85달러, 4구간이 9.65달러, 5구간이 13.1달러이다. 컴패스카드로 할 경우 편도에 5.1달러, 6.65달러, 8.15달러, 그리고 11달러이다.   이날 공교롭게도 트랜스링크는 향후 5년간 서비스 개선 계획을 발표했다.   여기에는 보다 더 개별 맞춤화 된 차세대 컴패스 카드 개발, 더 많은 비접촉 요금 지불 방법 도입, 교통 시설 내 화장실 선택과 전천후 버스 환승장 시설 등이다. 또 또 더 많은 실시간과 더 많은 언어 안내 표시판, 그리고 더 많은 고속버스(RapidBus)노선, 더 빠르고 믿을 수 있는 버스 운행 개선, 그리고 더 안락한 스카이트레인 객차 증설 등이다.   세부 사항 중에는 대중교통 차량 안에서 와이파이도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용도 포함된다. 또 차량 안에 안내용 디스플레이도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표영태 기자트랜스링크 서비스 트랜스링크 고객 요금 인상 서비스 개선

2022.03.24. 13:23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