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치러진 대선에서 아시안 유권자 40%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표를 행사한 것으로 파악됐다. 2016년 대선부터 2024년 대선까지 퓨리서치센터가 18세 이상 전국 성인 894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 작년 대선에서 아시안 유권자 57%가 카멀라 해리스 전 부통령에게, 40%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투표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대선 때 아시안 유권자 70%가 조 바이든 전 대통령에게, 30%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투표한 것과 비교하면 아시안 유권자들의 트럼프 지지율이 4년 만에 10%포인트 상승한 셈이다. 퓨리서치센터는 지난해 대선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2016년이나 2020년 대선 때보다 더 다양한 인종의 지지를 얻어 승리했다고 분석했다. 아시안 유권자 외에도, 작년 대선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히스패닉 유권자 48%의 지지를 얻었다. 2020년 대선 당시 지지율 36%에 비하면 크게 늘어난 수치다. 흑인 유권자들도 지난 대선에서 15%가 트럼프에게 투표했는데, 이는 4년 전보다 8%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시민권을 취득한 이민자들 사이에서도 이전보다 트럼프 지지율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대선 투표에 참여한 시민권 취득 이민자들의 표심은 51%가 해리스, 47%가 트럼프를 지지하며 거의 반반으로 갈렸다. 반면 2020년 대선에서는 바이든이 59%, 트럼프가 38% 지지를 받아 21%포인트 격차를 보였다. 시민권을 취득한 아시안 이민자들의 트럼프 지지율도 4년 사이 상승했다. 2020년에는 이들 가운데 35%가 트럼프를 지지했지만, 지난해 대선에서는 46%로 11%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과 여성 모두 2020년보다 2024년 대선에서 트럼프 지지율이 높아졌다. 2020년 대선 당시에는 남성 50%, 여성 44%가 트럼프에 투표했지만, 지난해에는 남성 55%, 여성 46%로 각각 상승했다. 연령대별로는, 2020년 대비 2024년 대선에서 18~64세 유권자들의 트럼프 지지율이 소폭 상승했다. 다만 65세 이상 유권자들 가운데 트럼프에게 투표한 비율은 2020년 52%에서 지난해 51%로 약간 떨어졌다. 트럼프 지지층의 인종 구성이 과거보다 더 다양해졌음에도 불구하고, 트럼프에게 투표한 유권자들은 해리스 지지자들에 비하면 인종 다양성이 낮고, 연령대가 더 높으며, 4년제 대학 학위를 가진 비율도 더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트럼프 아시안 아시안 유권자들 트럼프 지지율 트럼프 대통령
2025.06.26. 21:29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지지하는 시카고 지역 라티노의 숫자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 최종 개표 결과가 발표되지는 않았지만 시카고의 주요 라티노 지역구에서의 트럼프 지지율은 4년 전 대선에 비해 급증한 것으로 확인됐다. 전통적인 라티노 지역구인 23지구의 경우 올해 트럼프 지지율은 41.3%로 집계됐다. 이는 2020년 32.3%, 2016년 26.8%에 비하면 각각 9% 포인트, 14.5% 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25지구 역시 2020년 대선에서는 트럼트 지지율이 13%였지만 올해는 19%로 증가했다. 브라이튼 파크와 리틀 빌리지 지역 역시 올해 선거에서 30%의 투표자가 트럼프를 지지했는데 이 역시 4년 전 10%대의 지지율과 비교하면 대폭 상승한 수치다. 시카고의 선거구가 변경됐기 때문에 트럼트 지지율 변화에도 이런 요인을 감안해야 하지만 라티노 지역구 전문가들은 민주당이 주요 선거 이슈에서 유권자들에게 필요한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실패했다는 점에 동감했다. 전국적으로도 라티노 유권자들의 트럼프 지지율은 45%로 2004년 조지 부시 대통령 이후 최고로 많은 지지율을 확보한 공화당 대선 후보가 됐다. 일부 유권자들은 트럼프에 대한 지지 이유를 경제 이슈에서 찾았다. 민주당의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의 경제 정책이 차별성을 부각시키는데 실패한데 비해 트럼프 당선자의 경제 정책은 상대적으로 일관됐다는 점을 언급했다. 라티노들이 민감해하는 이민정책에 대해서도 범죄를 저지른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한 추방 조치를 중점적으로 시행하겠다는 점에서 위안감을 삼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 위원장이기도 한 23지구 시의원인 실바나 타바레즈 의원은 “민주당은 라티노 주민들이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경제와 세금, 치안에 더욱 집중해야 한다. 이 문제에 초점을 두지 못하면 주민들의 지지를 얻지 못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밝혔다. 라티노 정책 포럼은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라티노의 지지는 과반을 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전통적으로 라티노의 공화당 지지율은 약 1/3이라고 지적했다. 올해 선거에서 라티노의 친 트럼프 성향은 그만큼 라티노들이 경제적으로 고통받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도 밝혔다. 아울러 시카고 시가 남부 국경 지대에서 유입된 불법 입국 이민자들에게는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지만 정작 시카고에 오랫동안 살고 있는 이민자들에게는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Nathan Park 기자시카고 트럼프 트럼프 지지율 공화당 지지율 지지율 변화
2024.11.14. 14:09
일론 머스크가 워싱턴 정가의 노령화를 꼬집어 미국 사회에 일파만파를 던졌다. 한마디로 미국 정치 리더십은 ‘아주 오래됐고, 너무 늙었다’는 것이다.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인 그는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민주주의가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정치 지도자들이 시민들과 합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 위정자들의 나이와 인구 평균연령과 편차가 10~20세가 바람직하다는 것. 눈높이를 맞춘 세대공감이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아마도 조 바이든 대통령이 전기차와 관련해 자타가 공인하는 업계 1위인 테슬라를 언급하지 않은 것에 대한 서운한 심정을 토로한 듯하다. 79세인 바이든의 나이를 염두에 두고 에둘러 표현한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배적인 분석이다. 한편에선 본질적으로 미국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장로정치(gerontocracy)’ 문제점을 지적했다는 시각도 많다. 이로 인해 미국사회는 심각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아닌 게 아니라 워싱턴 정가에는 노정치인이 많다. 연방하원의장인 낸시 펠로시는 82세다. 그녀는 그럼에도 올해 11월 중간선거 출마를 공식화했다. 1987년 이후 무려 35년간이나 18선 연방하원의원을 지냈다. 19번째 출마이다. 장로정치를 바라보는 미국민들의 마음은 편하지 않다. 여론조사에서도 잘 나타난다. 실제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 미국인의 우려가 급속도로 확산하고 있음에도 조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신뢰는 오히려 줄어든 것이다. 전쟁이나 천재지변 등의 사건이 발생할 때, 보통 국민들의 최고 통치권자에 대한 지지도는 높아지는 것이 정상이다. 바이든의 경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 잠시 반짝했으나 다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최근 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사태에 제대로 대처할 것으로 믿느냐는 질문에 28%만이 긍정적인 답변을 내놨다. 반면 44%는 신뢰감이 거의 없다고 답했고, 27%는 조금밖에 없다고 응답했다. 여론조사가 항상 맞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추이는 짐작할 수 있다. 국정지지도도 취임 후 최저수준인 것으로 재확인됐다. 그의 국정 수행을 지지한다는 응답은 40%로 지난 1월 조사(43%)보다 3%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기간 중 이 같은 지지율은 역대 대통령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밖에는 없다. 백악관과 민주당이 내치와 외교에서 당초 기대와는 달리 난맥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걸림돌 가운데 하나로 바이든의 우유부단이 의심되는 것은 당연하다. 차기 대선에서 공화당이 재집권해도 문제다. 트럼프 전대통령을 대적할 차기 지도자 후보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론 드산티스 플로리다 주지사와 마이크 펜스 전 부통령의 하마평이 있으나 트럼프 지지율에 비하면 한참 뒤진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의 행보는 활발하다. 오는 중간선거를 겨냥해, 이른바 친트럼프파로 분류되는 정치인들을 찬조하기 위해 전국을 누비며 노익장을 과시하고 있다. 그는 최근에도 애틀랜타를 방문, 조지아주 커머스에서 가진 한 행사에서 자신이 지지하는 후보를 위해 유세를 펼쳤다. 아마도 차기 대선을 염두에 두는 행보라는 게 언론의 지배적인 분석이다. 그런 그도 오는 6월이면 76세다. 2024년 대선 때는 78세가 된다. 무엇보다 트럼프의 옹고집은 미국사회가 이미 경험한 바 있다. 물론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처럼 70의 나이에 백악관에 입성해서도 훌륭한 업적을 남긴 정치인도 있긴 하다. 흔히 70세를 ‘종심소욕불유구(從心所欲 不踰矩)’라고 한다. 마음먹은 대로 행해도 법도를 벗어나지 않는다는 뜻이다. 그렇지만 이는 성인의 경지에 다다른 사람의 행동에서만 볼 수 있는 것이다. 공자가 70세에 이른 경지이니, 보통사람으로는 좀처럼 도달하기 힘든 것은 당연하다. 나이가 들면 사고와 몸이 굳어지고 유연성이 부족한 것이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자존심도 세어진다. 이에 따라 젊은층과 소통하기 쉽지 않다. 소통과 설득과정은 리더의 주요 덕목 가운데 하나다. 세대교체가 필요한 시점이나 마땅한 기린아가 보이지 않는 것이 워싱턴 정가의 현실이다. 권영일 / 애틀랜타 중앙일보 객원 논설위원기고 워싱턴 교체 워싱턴 정가 트럼프 전대통령 트럼프 지지율
2022.04.08. 1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