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퍼라면 누구나 골프에 대한 자신만의 매력 포인트가 있다. 스코어를 낮추기 위해 차곡차곡 노력해가는 것도 즐겁고 의미 있지만, 어떤 이들은 벗과 4시간 이상 대화하며 우애를 나누고, 새로운 동반자와 서로를 알아가는 매력에 골프를 시작했다고 말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주말골퍼라면 프로 골퍼를 따라 하는 전형적인 스윙이나 공략법도 중요하지만, 바로 자신만의 독특한 준비 동작, 스윙 예열, 퍼팅 라인 읽기 노하우 등이 골프의 매력이라는 데 동의할 것이다. 결국 모든 골퍼가 타이거 우즈나 로리 맥길로이가 될 수 없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자신만의 체형과 스타일에 맞춰 습득한 스윙과 스코어 관리방식이 필드에서 의미 있는 스코어로 돌아온다면 그 뿌듯함은 매우 클 것이다. 우리가 모두 언젠가 해야 하는 ‘은퇴’도 마찬가지 아닐까. 한인들이 자주 접하는 신문, 방송, 블로그와 SNS 등을 보다 보면 마냥 재단된 은퇴 시기와 방식을 소개하는 경우를 보게 된다. 소셜연금 신청 시기, 메디케어 선택 사항, 은퇴 연금 인출, 상속과 양도의 방식 등 천편일률적인 경우가 많다. 은퇴 시기부터가 그렇다. 가장 많은 연금을 받고 가장 혜택이 많을 때 은퇴해야 한다고 권하지만 사실 그것보다 더 중요한 가치가 있을 수 있다. 지인 중에는 70세 중반이 넘어섰지만 매일 사무실에 출근해 일을 보고 정기적으로 출장에 나서는 분이 있다. 건강이 허락하기 때문에 가능하기도 하지만 여전히 사람들을 만나고 교류하고 목표를 정해 일해가는 것이 큰 기쁨이라는 설명을 듣게 된다. “내가 즐겁고 편하면 그것이 바로 은퇴”라고 믿는다는 것이다. 선출직으로 일했던 한 한인 1세는 이미 메디케어를 시작한 지 8년이 넘었지만, 여전히 후배들을 만나고 참여와 투표를 주창한다. 이제 좀 쉬어도 되는 연배가 아니냐는 질문에 솔직한 답변이 돌아온다. “그래서 좀 쉬어보려고도 했는데 2~3개월 손주들보고 여행 다녀오니 다시 좀이 쑤셔서 활동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어.” 은퇴하고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을 오히려 경계하는 분들도 적지 않다. 부동산으로 성공해 사우스베이 저택에서 살던 한 지인도 경제 활동은 끝나도 ‘인생 활동’을 멈출 수 없다며 그림과 사진을 배워 늦깎이 예술가가 됐다. 관련된 모임에 나가 더 많은 이들과 만나고 배움을 이어간 것은 탁월한 선택이었다는 설명이 이어진다. 경제적으로 비교적 여유가 있던 한 분은 60대 초반에 경제 활동을 중단하고 해외 봉사 길에 올랐다. 그는 쉽지는 않겠지만 힘겨운 사람들을 돕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젊을 때의 각오를 드디어 실천하게 됐다며 기뻐했다. 돈을 벌지 않으니 은퇴했다고 해야 하지만, 비영리 봉사를 시작해 또 다른 커리어라고 불러도 틀린 말은 아니겠다. 참고로 각종 조사에 따르면 최근 10년 동안 미국인들의 평균 은퇴 시기는 60~62세 사이다. 62세에 소셜연금을 조기 인출할 수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이민사회 한인들의 은퇴는 ‘정답이 없는’ 시대가 됐다. 은퇴의 시기와 방식, 성격과 조건은 모두에게 다르다. 그리고 그 차이에는 모두 이유와 배경이 있을 것이다. 게다가 누가 더 잘한 은퇴인지 판단하는 것도 무색하다. 각자의 상황과 조건에 맞춘 최선의 선택일 것이니 말이다. 간혹 티박스에서 멋지게 공을 날리고 그린 근처까지 잘 가서 버디나 파를 눈앞에 두고 마지막 칩샷에서 생크를 내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더블이나 트리플을 적기도 하는데, 은퇴도 마찬가지 아닐까. 잘 가꿔온 인생과 가족이어도 은퇴를 앞두고는 여러 불편함과 위기가 도사릴 수 있다. 남의 눈을 의식해 불필요한 결정을 내리는 것도 포함해서 말이다. 내가 즐겁고 편하고 의미 있다고 생각하는 방식과 시기가 답이 아닐까. 은퇴한 한인들의 다양한 모습이 여러 경로로 잘 소개되면 좋겠다는 바람이다. 최인성 / 경제부 부국장중앙칼럼 은퇴 티샷 은퇴 시기 은퇴 인출 평균 은퇴
2025.10.06. 19:02
샷 동작이나 자세를 스스로 볼 수 있다면 스윙으로부터 파생되는 오류로 인한 어려움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어드레스에 들어가면 시선에 들어오는 것은 단지 그립과 양발뿐이고 스윙이 시작되면 이것조차 확인이 어렵다. 사람마다 생김새와 신체구조가 다르듯 같은 스윙을 하는 사람은 없지만 한 가지 공통점은 스윙은 멋지게, 볼은 멀리 치고 싶어한다는 것이다. 가짜와 진짜 상품을 비교하면 당연히 진짜 상품이 좋다는 것은 누구나 알지만 골프에서는 예외다. 진짜보다 가짜가 더 좋은 것은 ‘연습스윙’으로, 볼을 치지 않는 상태에서의 스윙은 두말할 나위 없이 우아하다. 하지만 이런 멋진 모습도 볼 앞에 다가서 스윙에 들어가면 얼굴과 몸이 빈 깡통 찌그러지듯 일그러져 스윙을 망치고 만다. 이는 모든 골퍼의 결점이며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결과다. 축의 회전에 따라 상체가 돌고 손이 같이 움직여야 하는데도 축과는 상관없이 유독 손만을 사용하려는 의식이 스윙 전체를 혼란스럽게 만든다. 백스윙에서 어깨와 손만을 사용해 스윙을 시작하면 머리가 지면으로 쳐지며 왼쪽 무릎이 앞으로 튀어나와 체중 이동이 불가능해지고 자세가 왼쪽으로 치우치며 첫 단계 실수가 발생한다. 반대로 축을 이용하지만 오른발을 축으로 할 때는 중심축을 벗어나 오른쪽으로 치우치는 이른바 스웨이(sway)가 발생, 이 역시 올바른 샷은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드라이버로 스윙할 때 체중을 양발에 균등하게 배분했다면 몸의 중앙인 목뼈에서 꼬리뼈까지 하나의 중심축이 생겨나며 이것이 회전축 역할을 담당한다. 이 회전축을 적절히 사용하면 클럽헤드가 만들어주는 궤도는 인사이드 인(inside in )으로 손만을 ‘슬쩍’ 들어 올리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축을 이용해 클럽헤드의 바닥 면이 지면에 닿을 정도로 뒤로 낮게 끌어가면 중심축이 흐트러지지 않아 탑 스윙을 정상으로 진입시킬 수 있다. 만약 클럽 헤드를 낮게 끌지 못하고 지면으로부터 급하게 치켜들면 중심축이 왼쪽으로 이동하며 다운스윙의 궤도를 망치고 만다. 따라서 준비자세를 마친 후 왼쪽 눈으로 볼을 주시하면 자연히 턱이 오른쪽으로 살짝 돌아, 백스윙 때 체중 이동이 용이하고 임팩트 순간 머리 들림도 방지할 수 있다. ▶www.ThePar.com에서 본 칼럼과 동영상, 박윤숙 골프 클럽도 함께할 수 있습니다. 박윤숙 / Stanton University 학장골프칼럼 티샷 활용 스윙 전체 체중 이동 회전축 역할
2025.07.24. 1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