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년 역사의 맥도날드가 외식업계의 오랜 팁 문화에 반기를 들었다. 맥도날드는 지난 4일 전미레스토랑협회(NRA)를 공식 탈퇴했다. NRA는 1919년 설립된 최대 규모의 외식업 이익단체다. 최저임금 인상 반대, 팁을 고려한 최저임금 이하 급여 허용 등을 지지해왔다. 맥도날드의 NRA 탈퇴엔 팁 문화에 대한 반대 의지가 담겼다. 맥도날드 최고경영자(CEO)인 크리스 켐프친스키는 지난 2일 CNBC와의 인터뷰에서 팁 문화와 관련해 “현재 불공정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모든 계층 근로자가 연방 최저임금 이상의 급여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팁 문화는 외식업계에 만연한 저임금과 맞물려 있다. 코로나19 위기를 거치면서 외식업 경기는 얼어붙었지만 인건비를 포함한 각종 비용은 크게 뛰었다. 부족한 인건비를 팁으로 메우는 업계 관행은 심해졌다. 부담은 고객과 근로자 몫으로 돌아갔다. 외식 결제 시스템 운영사인 토스트(Toast)의 조사 결과 2021년 초 19.9%에 달했던 평균 팁 비중은 지난해 9월 말 19.3%로 하락했다. 모자란 급여를 팁으로 충당하기가 어려워지고 있다는 의미다. 다만 맥도날드의 주장에 ‘불순한 의도’가 깔려있다는 비판도 있다. 팁을 받으면 직원별 보수 정산 등 관리 비용이 추가로 든다. 또 맥도날드 직원은 서비스 특성상 일반 식당 직원보다 팁을 많이 가져가기 어렵다. 맥도날드 입장에선 팁을 많이 주는 식당과 직원 유치 경쟁에서 불리할 수밖에 없다. 한편, NRA 입장은 강경하다. 팁 덕분에 많은 음식점 직원의 시간당 임금은 27달러(전국 평균)로, 최저임금(연방 기준 시간당 7.25달러)을 훨씬 웃돈다는 주장이다. 조현숙 기자맥도날드 직원 최저임금 인상 맥도날드 최고경영자 팁 팁문화 박낙희 맥도날드 NRA 전미레스토랑협회
2025.09.08. 19:00
재무부가 팁 비과세 대상인 8개 주요 업종과 68개 직종을 확정 발표했다. 팁 비과세는 트럼프 행정부의 핵심 공약으로 최근 의회가 통과시킨 ‘원 빅 뷰티풀 법(One Big Beautiful Bill Act·OBBBA)’에 따라 소득 공제를 받을 수 있는 직종이 구체화된 것이다. 만약 관련 직종에서 일하고 있다면 내용을 숙지하고 회계사를 통해 미리 준비하는 것이 좋다. OBBBA는 팁 소득이 있는 근로자들에게 연간 최대 2만5000달러까지 소득 공제를 허용하며, 일단 2025년부터 2028년까지 한시적으로 적용된다. 추후 연장 여부는 의회의 추가 입법에 달려 있다. 재무부는 수개월 간의 검토 끝에 직종과 산업군을 분류해 발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요 업종과 직종에는 한인들도 많이 종사하는 식당 종업원(웨이터), 요리사 보조, 요양시설 종사자, 가사 도우미, 간병인, 미용사, 피부 관리사, 라이드 셰어(우버, 리프트 등) 운전자 등이 포함됐다. 〈표 참조〉 ‘팁 비과세’ 정책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해 대선 과정에서 강조한 공약으로, 서비스업과 플랫폼 노동자 등 팁 의존도가 높은 근로자들의 실질 소득을 늘리는 것이 핵심 목표다. 행정부의 세수입을 줄이더라도 팁을 온전히 실질 소득에 포함해 소비와 경기 부양을 도모하자는 것이 취지다. 세무 전문가들은 민간 경기 부양 여부까지는 당장 가늠하기 힘들지만, 관련 업계 종사자들의 임금이 10~15% 가량 반짝 상승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히 5~7만 달러대 저소득 또는 중간 소득의 경우에는 소득세 절세 효과가 있지만, 낮은 액수를 보고할 경우 소셜과 메디케어 택스에서는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피터 손 회계사는 “W2가 변경되면서 일부 혼선도 예상되지만, 내년에는 정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한인들에게는 요식업, 호텔, 운전사 직종에서 저소득층이 주로 혜택 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하며 업주들도 꼼꼼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회계사들은 관련 직종 한인들에게 분기별로 팁 액수를 확인해둘 것과 업주와 회계사를 통해 팁 한도를 정확히 가늠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OBBBA 지지자들은 이번 조치로 수백만 명의 근로자들이 재정적인 혜택을 볼 것이라고 환영하는 반면, 일부 전문가들은 특정 업종에만 혜택이 집중되고, 세무 관리가 매우 복잡해질 수 있다고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2028년 이후 이번 공제 혜택연장 여부는 의회의 결정에 달려 있다. 최인성 기자저소득층 비과세 직종과 산업군 관련 직종 소득세 절세 박낙희 팁 팁 면세 OBBBA
2025.09.03. 18:54
서비스 업종 종사자들의 팁 소득에 대해 연방 소득세를 면제하는 법안이 의회를 통과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한인 자영업자들과 회계 전문가들 사이에서 기대와 우려가 엇갈리고 있다. 팁 면세 법안은 2025년부터 식당, 미용실, 호텔 등 전통적으로 팁을 받아온 업종 종사자들의 신고된 팁 소득에 대해 최대 2만5000달러까지 연방 소득세를 면제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 조치는 항목별 공제를 하지 않아도 적용 가능한 방식이 될 것으로 나타났다. 법안은 이미 상원을 통과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선거 기간 내세운 대표 공약인 데다 공화당 내 지지세도 강해, 하원까지 통과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그러나 팁 면세를 두고 실효성과 형평성에 대한 논란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저소득층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 법안의 기본 취지였으나, 오히려 실제 혜택은 중간 소득층 이상에 집중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연 소득이 너무 낮아 표준공제만으로도 이미 소득세를 면제받는 근로자는 법안의 혜택을 체감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국세청(IRS) 자료에 따르면 현재 팁 근로자의 약 37%는 이미 연방 소득세를 내지 않고 있어, 전체 팁 근로자 중 약 3분의 1은 법안의 실질적 수혜자가 아닐 것으로 보인다. 뉴욕타임스는 여름방학 동안 웨이터로 일하며 총 1만8000달러를 번 대학생의 사례를 통해, 면세 혜택이 연간 250달러에 그친다고 소개했다. 반면 라스베이거스 카지노에서 연간 팁으로만 6만 달러를 버는 딜러는 1만 달러 넘는 세금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연 소득이 16만 달러를 초과하는 고소득 팁 근로자는 법안 대상에서 아예 제외된다. 피터 손 공인회계사(CPA)는 “팁 면세의 실질적 혜택은 연 소득이 5만~10만 달러 사이인 서비스직 종사자에게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특히 우버나 리프트 운전자들은 이미 차량 운행에 따른 공제를 받고 세금 부담이 적은 경우가 많아, 이번 법안이 실질적 감세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한인 자영업자들의 반응도 업종에 따라 엇갈리고 있다. 한인 식당이나 미용실 업주들 사이에서는 인력 확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환영하는 분위기다. 반면 봉제공장이나 사무직 위주의 업체를 운영하는 업주들 사이에서는 형평성 문제가 제기된다. 익명을 요구한 한 한인 업주는 “같은 4만 달러를 벌어도 식당 직원은 세금을 덜 내고, 내 직원은 그대로 세금을 낸다면 당연히 불만이 생길 수밖에 없다. 앞으로 팁을 받는 업종으로 근로자가 몰리면 구인이 더 힘들어질 것 같다”고 말했다. 팁 근로자들은 대체로 환영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현실적인 우려도 뒤따른다. 사이프레스에서 식당 매니저로 근무하는 데이비드 이씨는 “일단 팁이 면세된다는 점은 환영하지만, 고용주가 시급을 낮추거나 손님들이 팁을 적게 주는 부작용도 생길 수 있다”며 “실제로 도움이 얼마나 될지는 시행 이후 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 법안은 현재로써는 2028년까지 한시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며, 향후 정치 지형과 정부 재정 상황에 따라 연장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조원희 기자자영업계 초읽기 면세 법안 면세 혜택 한인 식당 팁 봉사료 박낙희 가주 팁면세
2025.06.11. 20:15
레돈도 비치의 한 도넛 가게 주인이 팁 통에서 현금을 훔치려는 남성과 맞서 싸워 지켜냈다. 가게 주인 니코 체아는 “누군가 필요로 한다면, 저는 언제나 도넛 하나나 두 개 정도는 기꺼이 줍니다. 전혀 개의치 않습니다. 하지만 도둑질을 하러 오는 것은 전혀 다른 이야기입니다”고 말했다. 체아는 190번가에 위치한 작은 가게에서 3년 넘게 도넛을 팔아오고 있다. 24일 아침 체아는 카운터 뒤에서 샌드위치를 만들고 있다가 감시 카메라에서 한 남성이 들어와 팁 통으로 곧장 가서 현금을 꺼내는 것을 보았다. 체아는 “첫 반응은 그저 몸을 날려 모든 것을 되찾아 오는 것이었습니다”고 말했다. CCTV 동영상에서는 체아가 주저 없이 카운터를 넘어가 현금을 되찾으려 하는 모습이 보인다. 남성은 현금을 셔츠 안에 넣으려 했지만, 짧은 몸싸움 끝에 체아는 돈을 되찾았고 남성은 돌아서서 가게를 나갔다. 이무영 기자LA 한인 캘리포니아 로스엔젤레스 참교육 도넛 감시 카메라 팁 도둑
2024.06.26. 13:52
할러데이 시즌을 앞둔 가운데 올해 여행 경비가 인플레이션 영향으로 급등했다. 여행경비정보사이트 버젯유어트립(budgetyourtrip.com)에 따르면 국내 1주일간 여행 경비는 1인당 평균 1984달러로 지난해보다 406달러 또는 26% 증가했다. 하루당 평균 283달러꼴로 현지 숙박비, 식비, 교통비, 관광비 등이 포함된다. 저예산일 경우는 숙소, 음식, 교통편 등을 다운그레이드함으로써 하루 105달러(1주일당 735달러)까지 줄일 수 있어 평균 경비보다 62.9% 절약할 수도 있다. 반면, 럭서리 여행을 원한다면 하루 경비가 평균보다 187.6% 증가한 814달러(1주일당 5698달러)로 급등한다. 인기 있는 15개 관광 도시별 1인당 하루 평균 여행 경비를 살펴보면 올랜도가 321달러로 가장 비쌌으며 뉴욕, 라스베이거스가 각각 316달러, 310달러로 뒤를 이었다. 〈표 참조〉 가주에서는 LA가 258달러로 샌프란시스코 222달러, 샌디에이고 202달러보다 높았다. 참고로 전국 도시 가운데서는 플로리다 키웨스트가 551달러로 가장 방문하기 비싼 도시에 올랐다. 일정, 옵션에 따라 다르지만, 집계 자료를 반영한 일반적인 여행사 패키지 투어상품의 평균 가격은 1인당 하루 391달러로 나타났다. 여행 관련 항목별 1인당 평균 비용으로는 1일 숙박 요금이 호텔 129달러, 에어비앤비 84달러였으며 식사비는 하루당 58달러, 액티비티/엔터테인먼트 비용은 55달러에 달했다. 주류비와 식수비로 1인당 하루 27달러, 16달러가 필요하며 1일 교통비는 택시, 버스, 전철 등 평균 46달러, 렌터카는 평균 45달러였다. 지난 6월 정점을 찍은 왕복 항공료는 국내선이 평균 257달러, 국제선 아시아 1417달러, 유럽 813달러였다. 여행자들은 하루 평균 33달러의 팁을 지불하고 있으며 사기, 절도, 사고 등으로 인한 비상지출도 83달러나 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버젯유어트립은 지난 2010년부터 여행객 수만 명을 대상으로 실제 지출한 경비와 여행 관련 예약 플랫폼인 카약, 호텔월드, 투어레이더, 바이에이터 등의 가격을 조사해 분석, 항목별 평균 경비를 발표하고 있다. 한편, 여행보험업체 스퀘어마우스에 따르면 연령대별 여행 경비 지출액에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78세 이상 시니어들이 여행당 평균 3543달러를 지출해 1위에 올랐으며 베이비부머(59~77세)가 3093달러로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는 X세대(43~58세)가 2220달러, Z세대(11~26세) 1953달러였으며 밀레니얼(27~42세)이 평균 1785달러로 지출이 가장 적었다. 글·사진=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여행 경비 여행사 패키지 하루 경비 호텔비 팁 항공료 인플레이션 버젯유어트립
2023.11.30. 22:57
성인 절반 이상이 외식 후 15% 또는 그 이하의 팁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이 올해 레스토랑서 식사할 경우 최소 15%에서 20%의 팁을 주는 것이 전통적인 에티켓이라고 권장하고 있는 것에 대해 실제 소비자들은 다르게 생각하고 있음이 드러난 것이다.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가 지난 8월 7일부터 27일까지 성인 1만1945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57%가 식당에 앉아 식사 후 15% 또는 그 이하의 팁을 준다고 답했다. 이 가운데 37%는 15%가 표준 팁이라고 답했으며 18%는 15% 미만을 준다고 밝혔다. 팁을 전혀 주지 않는다는 응답자는 2%였다. 응답자의 81%가 레스토랑 식사 시 항상 팁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미용실(65%), 음식 배달(59%), 주류 구매(53%), 택시 또는 차량 공유서비스 이용(43%), 커피 음료 주문(12%), 패스트푸드(7%)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수치다. 팁을 주는 이유에 대해 의무감 때문이라고 답한 성인이 29%로 자의에 의해서라고 답한 21%보다 많았으며 경우에 따라 다르다고 답한 응답자는 49%에 달했다. 연령대별로는 의무감에 준다고 답한 18~29세가 38%, 30~49세 31%로 50세 미만이 전체의 69%를 차지했다. 소득, 학력별로는 고소득층의 39%가 의무감에 준다고 밝혀 저소득층(24%)을 상회했으며 석사 이상(41%), 학사(35%) 등 고학력자일수록 의무감에 주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업체에서 권장 팁 금액을 제시하는 것에 대해 40%가 반대한다고 밝혀 찬성한다(24%)를 상회했으며 업체에서 계산서에 팁을 자동으로 포함시키는 행위에 대해서도 72%가 반대하고 찬성은 10%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팬데믹 전후로 팁에 대한 피로감(tip fatigue)도 급증한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인들의 72%가 5년전에 비해 팁을 요구하는 곳이 늘었다고 답한 반면 줄었다고 답한 응답자는 5%에 불과했다. 이런 이유로 최근 팁을 주는 비율과 금액이 줄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레스토랑 서버에게 항상 팁을 주는 소비자는 팬데믹 전후로 4% 감소했으며 지난 2분기 레스토랑 풀서비스에 대한 평균 팁은 전체 금액의 19.4%로 팬데믹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다. 코넬대 호텔경영대학원 교수이자 소비자 행동 및 팁 전문가인 마이클 린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레스토랑에서 팁을 주려는 사람들의 의지가 줄고 있다. 팬데믹 초기에 소비자들은 근로자와 고용주를 돕기 위한 방법으로 팁을 더 많이 주는 데 대해 거부감이 없었으나 이제 지쳐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전통적으로 팁을 주지 않는 상황 및 서비스에 대해 팁 요구가 늘고 있고 팁 액수도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팁을 줄지 안 줄지, 얼마를 줄지 결정하는데 가장 큰 요인은 서비스 질이라고 꼽은 응답자가 각각 77%로 가장 많았으며 사회적 압력에 대해선 47%가 요인이 되지 않는다고 답했다. 어느 경우 팁을 줘야하는지 확실히 알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매우 그렇다(34%), 어느 정도 그렇다(39%)가 73%로 전혀 그렇지 않다(26%)보다 훨씬 많았다. 글·사진=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성인 식당 레스토랑 풀서비스 레스토랑 식사 팁 15% 서비스 봉사료 18% 퓨리서치
2023.11.20.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