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메디캘 자격 확대에도 불안감 여전

캘리포니아주에 사는 한인 서류미비자는 올해 초 큰 시름을 덜었다. 가주 정부가 지난 1월부터 저소득층 건강보험인 메디캘(Medi-Cal) 서비스 가입을 모든 가주민 대상으로 확대해서다.     그동안 서류미비자는 아파도 참거나 현금을 내고 병원 진료를 받아야 했다. 메디캘 가입 대상이 확대되면서 서류미비자들도 의료 사각지대를 벗어나고 있다.   문제는 여전히 정보 부족 등의 이유로 메디캘 가입을 망설이는 이가 많다는 점이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의 취임을 앞두고 이민 정책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메디캘에 가입한 서류미비자 중에는 개인정보가 국토안보부(DHS)에 공유될 수 있다는 불안감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관계기사 4면〉   한인타운 비영리 의료기관들은 현재 서류미비자들을 대상으로 메디캘 혜택 및 가입을 적극 홍보하고 있다. 최근 가입자 중에는 탈북한 뒤 캐나다에서 미국 국경을 걸어 넘어온 한인도 있다.   LA다운타운 자바시장에서 배달 일을 하며 15년째 서류미비자로 살고 있는 김성근(가명·50대)씨의 경우 최근 메디캘에 가입해 의료 혜택을 받고 위암을 고쳤다.   김씨는 “그동안 아프면 현금을 내고 의사 진료를 받았는데 위암 진단을 받게 됐다”며 “비싼 치료비를 감당하기 힘들었는데 다행히 메디캘에 가입해 LA카운티 병원에서 항암 치료를 받고 병을 고쳤다”고 말했다.   KFF 헬스 뉴스를 통해 만난 미리암 나(78·여)씨는 세리토스에서 24년째 서류미비자로 살고 있다. 나씨는 지난 2022년 5월1일부터 메디캘 혜택을 받고 있다. 당시 가주 정부는 체류 신분에 상관없이 50세 이상 저소득층에게 메디캘 가입을 허용했다. 서류미비자 대상 메디캘 가입은 2016년(18세 이하), 2020년(25세 이하), 2022년(50세 이상), 2024년(26~49세) 등 점차 확대되고 있다.   나씨는 “메디캘 가입 후 혈액검사를 매년 두 번씩 받고 있다. 보청기, 치과 치료, 맞춤 안경 서비스도 받았다”고 말했다.   영어가 불편한 나씨에게는 병원 통역 서비스는 물론이고 병원과 집을 오가는 통원 서비스도 제공된다. 처방약 혜택도 마찬가지다. 나씨는 “메디캘이 우리 아들보다 더 효자”라며 웃었다.   LA한인타운 윌셔 불러바드에 위치한 미션시티커뮤니티클리닉(MCCN)에 따르면 지난 10월 YMCA, 헬스넷, 리칼 레이크사이드 IPA 등이 공동 주최한 무료 백신·한방 침술 행사장에서 한인 서류미비자 약 20명이 메디캘에 가입했다.   마크 이 국장은 “올해부터 지난 11월 21일까지 LA한인타운 클리닉을 통해 메디캘에 가입한 서류미비자가 200명을 넘어섰고 이중 95%가 한인”이라며 “대부분 아파도 병원에 못 갔는데 지금은 우리 클리닉에서 혈액검사, 백신 접종, 내과, 정신과, 안과, 치과, 한방 등 종합병원 수준의 원스톱 진료 및 처방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힐링캘리포니아 파이널 한인 서류미비자들 현재 서류미비자들 서류미비자 대상

2024.12.01. 18:14

썸네일

[프리즘] 할리우드 파업과 ‘파이널 판타지’

2001년 콜롬비아 픽처스는 ‘파이널 판타지(Final Fantasy: the Spirits Within)’라는 영화를 개봉했다. 영화는 수작이 아니었지만 특별한 것이 하나 있었다. 모든 등장인물을 컴퓨터로 만들어냈다는 점이었다. 애니메이션과는 또 달랐다. 배우를 컴퓨터 영상으로 만들어 낸 실사영화였다. 당시의 기술력으로는 표정과 움직임이 어색해 현실성이 없었지만 ‘배우 없이 실사영화를 만들겠다’는 의지만은 분명한 현실이었다. 20여년 전 시사회에서 ‘파이널 판타지’의 감상은 찜찜한 의문이었다. 사람 없는 사람 이야기가 영화의 미래가 될 수 있나?   그 뒤로 ‘파이널 판타지’류의 시도는 없었다. 기술력이 뒷받침되지 않았고 흥행에도 참패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20여 년이 흐르고 인공지능(AI) 시대가 열리자 ‘파이널 판타지’가 꿈꾸었던 배우 없는 실사영화는 현실로 훅 들어왔다. 할리우드에서 1960년대 이후 최대 규모의 장기 파업이 발생한 배경에는 ‘파이널 판타지’의 시도가 현실이 된 시대 흐름이 있다. 할리우드 작가조합(WGA)은 5월부터, 영화배우조합·미국방송인연맹(SAG-AFTRA)은 7월 14일부터 동반파업에 들어가면서 AI와 스트리밍 시대에 맞는 계약조건을 요구하고 있다. 상대는 영화·TV제작자연맹(AMPTP)에 소속된 메이저 영화사와 넷플릭스 등 스트리밍 서비스회사다.     이들의 요구에는 당장 배우나 작가가 처한 두려운 현실이 반영됐다. 최근 할리우드에서는 배우들에게 배역 연기가 아닌 단순 촬영을 요구하는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AI가 배우를 촬영한 영상을 데이터로 배우가 실제로 하지 않은 연기를 만들어 영화에 사용할지도 모른다. 이런 일은 이미 벌어지고 있다. 틱톡에는 딥 페이크 기술을 사용해 가짜 톰 크루즈가 춤을 추고 골프를 치는 영상이 화제다. 진짜 크루즈와 구별도 어렵다. 조금 더 진전되면 실제 배우를 촬영하지 않고도 디지털로 새로운 배우를 만들어 낼 것이다. ‘파이널 판타지’가 원하던 배우 없는 실사영화 시대가 열렸다. 제작사들에는 배우를 캐스팅하는 데 필요한 경제적, 법적 제약이 없어지겠지만, 배우들은 일자리를 잃는다. 작가들도 마찬가지다. AI가 만든 스크립트 초본을 작가가 다듬은 일이 벌어지고 있다.       디지털은 본격적으로 영화산업을 뿌리째 바꾸고 있다. 1949년 연방 대법원은 영화사가 제작·배급·상영을 장악하는 수직통합을 반독점법 위반으로 금지했다. DVD를 우편으로 대여하며 비디오 대여 산업 자체를 없앤 넷플릭스는 제작·배급·상영을 수직통합했지만 반독점을 언급하는 이들은 없다. 스트리밍 상영 덕분에 필름을 복사해 전 세계에 배급하고 영화관과 수익을 나누는 비용도 사라졌다.     스트리밍은 기존의 이익 배분도 파괴했다. 디지털 시대 이전 영화는 북미 극장, 해외 극장, 북미 비디오, 해외 비디오, 북미 방송, 해외 방송까지 6개의 시장으로 나뉘었다. 그때마다 감독, 배우, 작가 등은 재상영 분배금(residual)을 받았다. 스트리밍 시대엔 기존의 순차적 개봉 개념이 사라지면서 분배금은 껍질만 남았다. 넷플릭스 초기 히트작인 ‘오렌지는 새로운 블랙(Orange Is the New Black)’의 재상영 분배금에 대해 에마 마일스는 20달러를, 키미코 글렌은 27.30달러를 받았다고 공개했다. 넷플릭스 성공의 일등공신인 ‘오징어 게임’의 제작진도 재상영 분배금을 받지 못해 노동착취라는 이야기까지 나왔다.   AI는 많은 이들의 예상을 깨고 사진과 그림, 문학, 영화 같은 창작의 영역에 제일 먼저 도입됐고 할리우드는 AI와 부딪치는 최전선이 됐다. 할리우드는 싸우고 있고 그 결과는 창작과 다른 분야에 거대한 파문을 일으킬 것이다. 안유회 / 뉴스룸 에디터·국장프리즘 할리우드 파이널 파이널 판타지 할리우드 작가조합 최근 할리우드

2023.09.19. 19:38

썸네일

‘뚝딱이의 역습’ 파이널 무대 찢은 ‘헤이 힙’, 리헤이가 꺼낸 비장의 무기는?

‘뚝딱이의 역습’ 리헤이 팀 ‘헤이 힙’(Hey Hip)이 마지막까지 파워풀한 에너지를 쏟아내며 안방극장에 시원함을 선사한 가운데, 리헤이가 경연 전 팀원들을 위해 선보인 비장의 무기가 주목받고 있다.   지난 28일 방송된 Mnet 예능 프로그램 ‘뚝딱이의 역습’에서 ‘헤이 힙’은 최종 경연으로 YG 패밀리의 ‘멋쟁이 신사’에 맞춰 춤을 추며 걸스힙합 콘셉트의 열정 넘치는 무대를 선보였다. 중간 점검 때보다 더욱 정교해진 안무와 여유 있는 표정으로 무대를 가득 채운 ‘헤이 힙’은 마스터들의 뜨거운 격려와 호응을 얻으며 최종 성적 3위를 거뒀다.   이날 방송에서는 마지막 무대를 앞둔 팀의 긴장 가득한 분위기도 담겼다. 경연 전날 리허설을 위해 무대 위로 올라간 ‘헤이 힙’은 예상보다 더 큰 규모에 “스케일이 너무 큰 것 아니냐”며 팀 마스터인 리헤이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이에 리헤이는 “다 부수면 된다”며 특유의 호탕한 농담으로 경직된 분위기를 풀고, 긴장한 팀원을 위해 사기 충전에 나섰다.   리헤이는 “어제 (헤이 힙이) 연습을 너무 열심히 했기 때문에 피로할까봐 준비했다”며 “이거 먹고 너무 스트레스 받지 말고 재밌게 공연해야 한다”고 준비한 건강기능식품을 건넸다. 팀원들은 리헤이에게 받은 제품을 간식처럼 한입에 털어 넣으며 경연으로 인한 압박감과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중 개그우먼 이혜지는 두 눈을 희번득 뜨고 “피로가 싹 가시는 것 같다. 몸이 벌써 움직인다”며 현란한 스텝을 선보여 웃음을 유발했다.   방송 직후 온라인상에서는 “패키지가 예쁘다” “바로 씹어 먹을 수 있다니 신기하다” “자몽 맛이라니 먹어보고 싶다” 등 제품을 궁금해하는 누리꾼들의 반응이 이어졌다.   ‘헤이 힙’ 멤버들이 즐긴 건강기능식품은 바이오인포메틱스기업 브이앤코의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미민트에서 선보인 ‘마이 부스터’(MY BOOSTER)다.   ‘마이 부스터’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기능성을 인정받은 홍경천추출물을 함유한 제품이다. 물 없이 씹어 먹거나 입 안에서 굴려 먹을 수 있는 캔디 제형으로, 달콤쌉싸름한 자몽 맛에 시원한 자일리톨, 페퍼민트 추출물을 더해 식후 사탕처럼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 한 포에 2정씩 개별 포장이 돼있어 들고 다니며 언제 어디서든 위생적으로 섭취할 수 있다.   미민트 관계자는 “‘마이 부스터’는 학업, 업무 등의 스트레스로 만성 피로를 달고 사는 현대인들을 위한 제품”이라며 “섭취 방식이 간편한 데다 맛있게 즐길 수 있어 많은 관심을 가져 주시는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뚝딱이의 역습’은 춤을 향한 애정을 가진 누구나 춤을 출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하는 프로그램으로, 허니제이 팀 ‘꿀딱’이 우승을 차지하며 28일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지난해 ‘스트릿 우먼 파이터’(스우파) 이후 댄스 열풍이 끊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돌아올 여름에는 ‘비 더 스맨파’(Be the SMF), ‘스트릿 맨 파이터’ 등 남성 댄서들의 춤 대결이 안방을 뜨겁게 달굴 예정이다.     강동현 기자 [email protected]파이널 역습 무대 위로 마지막 무대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2022.06.29. 18:59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