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식품 판매 수익으로 굶는 아동 지원

글로벌 어린이 재단 OC지부(회장 줄리엣 이, 이하 OC지부)가 식품 판매 수익으로 세계 각지의 굶주리는 아동을 후원하는 행사를 마련했다.   OC지부는 오는 12일까지 명품 된장, 매실 고추장(이상 소 25달러, 대 45달러), 매실청(33.8온스 37달러, 128온스 100달러), 매실 식초, 명품 맛간장(이상 500mL 15달러) 주문을 접수한다.   주문한 제품은 오는 19일(일) 부에나파크의 ‘AJL아트 갤러리(8600 Beach Blvd, #201)’에서 수령하면 된다.   OC지부 측에 따르면 판매 제품은 일반 마켓에선 구할 수 없으며, 품질이 좋다. 판매 금액의 30%는 OC지부 후원금으로 기부된다.   OC지부는 어머니의 마음으로 불우 아동을 돕는 데 동참할 회원을 늘 모집하고 있다.   식품 주문과 회원 가입 관련 문의는 전화(714-699-0436, 562-896-5959)로 하면 된다.식품 판매 식품 판매 아동 지원 판매 제품

2025.09.30. 20:00

썸네일

보령머드 화장품 아마존 판매 개시

  머드 축제로 유명한 충남 보령의 머드 화장품을 미국 최대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할 수 있게 됐다. 충남 보령시는 지난 9일 부터 아마존에서 보령머드 화장품 공식 판매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판매 제품은 모이스처 클렌징폼, 에센스 마스크팩, 헤어 에센스 등 3종이다. 보령시는 보령머드 화장품이 K뷰티를 선도할 수 있도록 유통망 확대와 홍보에 전략할 계획이다.     [아마존 웹사이트 캡처]아마존 보령머드 보령머드 화장품 판매 제품 충남 보령시

2025.02.09. 20:32

썸네일

2달새 6번, 트레이더조 리콜 불안감

한인들도 많이 이용하는 트레이더조가 두 달 새 여섯 번이나 리콜을 발표하면서 식품 안전에 대한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CNN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트레이더조는 지난 6월 24일부터 8월 30일까지 약 2달간 매장에서 판매된 식품 중 총 6개 제품을 자발적 리콜했다.   최근 리콜된 트레이더조 제품은 지난달 30일 텍사스 타말레 회사의 ‘고메 블랙 빈 타말레(UPC# 717725000580)’다.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는 유제품이 제품 라벨에 표기되지 않은 채 판매돼 전량 회수됐다. 권장소비날짜(BEST BEFORE date)는 2025년 6월 19일까지이다. 텍사스, 앨라배마, 콜로라도 등 9개 주에 유통됐으며 가주에서는 판매되지 않았다. 〈표 참조〉   지난달 18일에는 제품 내 금속 조각이 포함됐을 가능성이 제기된 ‘멀티그레인 크래커 해바라기와 아마씨(SKU# 76156)’ 제품도 리콜됐다. 제품의 권장소비기한은 2024년 3월 1일~3월 5일까지이다.     이외에도 지난 7월 28일 캘리포니아 랜치 푸드 컴퍼니의 ‘완전 조리 팔라펠(SKU# 93935)’에서는 돌이 발견돼 리콜 대상이 됐다. 제품은 코네티컷, 텍사스, 일리노이 등 3개 주에서 판매됐다.     또한 트레이더조는 6월 29일 윈터가든퀄리티 푸드오브뉴옥스포드에서 제조된 ‘언익스펙티드 브로콜리 체다 수프(SKU# 68470) 20온스’도 제품에서 벌레가 발견돼서 전량회수했다. 가주, 코네티컷, 플로리다, 일리노이, 펜실베이니아, 텍사스, 워싱턴주에서 1팩당 4.99달러에 판매됐다. 소비기한은 2023년 7월 18일~9월 15일까지다.   지난 6월 24일에는 돌 조각이 들어있을 수 있는 ‘아몬드 윈드밀 쿠키(SKU#98744)’와 ‘다크 초콜릿 청크&아몬드 쿠키(SKU#82752)’ 등 쿠키 2종류가 동시에 리콜되기도 했다. 판매기한은 아몬드 윈드밀 쿠키의 경우, 2023년 10월 19일~10월 21일까지이며, 다크 초콜릿 청크&아몬드 쿠키는 2023년 10월 17일~10월 21일이다.     트레이더조 측은 “트레이더조는 식품 안전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며 “작은 문제에도 자발적 리콜을 진행하는 것이 영업 원칙”이라고 밝혔다.   나키아 로데 트레이더조 대변인은 줄 이은 리콜에 대해 “우연의 일치”라며 “트레이더조는 판매 제품에 문제 발생 시 가능한 한 빠르게 제품을 회수 처리하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6차례의 리콜과 관련해 현재(8월 31일 기준) 보고된 부상 또는 질병 발병 사례는 아직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식품 안전 전문가들은 공정 과정이 복잡한 레디투잇(Ready-to-eat) 제품들은 제조 시 거치는 단계가 많아서 사고가 자주 발생한다면서 트레이더조가 계약한 공급망의 문제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다양한 종류의 식품을 저렴한 가격에 판매해 인기를 끈 트레이더조를 애용하는 고객들은 이번에 발생한 식품 안전사고에 대해 많은 우려를 표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리콜된 제품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트레이더조, 연방식품의약국(FDA), 연방농무부(USDA)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트레이더조는 리콜 대상인 제품에 대해 전액 환불을 제공하고 있다. 만약 업체서 구매한 제품에 문제를 발견했다면 트레이더조 서비스센터(626-599-3817)에 문의하면 된다. 우훈식·정하은 기자트레이더조 불안감 트레이더조 제품 트레이더조 대변인 판매 제품

2023.08.31. 21:25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