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3명 중 1명 "한 달 벌어 한 달 생활"

근로자 3명 중 1명은 저금을 하지 못하고 한 달 벌어 한 달 생활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금융정보사이트 뱅크레이트가 근로자 2400여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의 월급으로 겨우 생활비만을 충당하는, 이른바 ‘페이첵 투 페이첵’으로 생계를 꾸리는 사람의 비율이 34%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령대별로 본다면 X세대(44~59세) 근로자 중 저축을 하지 못한다는 대답을 한 비율이 40%로 가장 높았다. 밀레니얼 세대(28~43세) 근로자가 34%로 뒤를 이었다. Z세대(18~27세)와 베이비부머 세대(60~78세)는 28%로 같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30대부터 50대까지의 근로자가 자녀 양육비 등의 지출이 많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역별로 보면 남부(38%)와 중서부(37%)가 페이첵 투 페이첵으로 생활하는 사람이 많은 지역으로 꼽혔다. 가주를 포함한 서부가 32%로 뒤를 이었고 뉴욕을 포함한 북동부에서는 25%만이 저축을 하지 못한다 대답해 비율이 가장 낮았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임금에 대한 불만도 컸다. 현재 받는 임금에 만족한다고 말한 근로자의 비율은 19%에 불과했다. 임금에 대한 만족도는 베이비부머 세대에서 26%로 가장 높았고 X세대(20%)가 다음이었다. 밀레니얼과 Z세대의 불만족 비율은 16%였다. 연령층이 높을수록 임금에 만족하는 비율이 올라가는 경향을 보였다.     많은 사람이 생활비를 충당하기도 힘들다고 말하는 현재 상황의 가장 큰 원인은 고물가로 나타났다.     뱅크레이트의 사라 포스터 애널리스트는 “코로나가 본격적으로 영향을 끼친 2020년 2월에 비교했을 때 생활비 물가는 21%가 올랐다”며 “이는 이전에 2000달러를 생활비로 쓴 사람이 같은 생활 수준을 유지하려면 420달러를 더 내야 한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근로자들의 임금상승이 물가상승을 전혀 따라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은 ‘조용한 도둑’이라고 덧붙였다.   조원희 기자생활 페이 생활비 물가 생활 수준 불만족 비율

2024.07.16. 22:30

코로나 '익스클루션 페이' 연장…가주 5월 종료서 올해 말까지

코로나19 확진 등으로 근무에서 배제될 경우 지급하는 ‘익스클루션 페이(Exclusion Pay)’가 올해 말까지 연장된다.   이는 직장 내에서 직원이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등으로 불가피하게 업무에서 배제될 경우 고용주가 지급해줘야 하는 임금을 의미한다.   가주산업안전표준이사회(OSHSB)는 21일 “오는 5월 시행 만료 예정이던 익스클루션 페이를 올해 말인 12월31일까지 연장한다”고 밝혔다.   OSHSB 데이비드 토마스 의장은 “아직 코로나는 끝나지 않았다. 확진자가 다시 급증할 수 있다”며 “이번 결정은 우리가 노동자를 보호하는 데 있어 취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말했다.   익스클루션 페이 제도가 연장되자 고용주들의 반발은 심하다.   가주상공회의소 롭 무트리 정책 자문관은 “고용주 입장에서 익스클루션 페이를 유지한다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들고 혼란만 야기한다”며 “특히 이는 ‘스몰 비즈니스’ 업체들에게 엄청난 부담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노동법 전문 박수영 변호사(피셔&필립스)는 “그동안 익스클루션 페이는 지급 기준 등이 뚜렷하지 않아서 고용주들도 혼란스러워 했다”며 “익스클루션 페이가 연장됐기 때문에 가주보건국(CDPH)의 자가격리 규정과 직원의 상태를 잘 살펴서 임금 지급기간을 잘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익스클루션 페이는 종업원상해보험(워컴) 혜택을 받고 있는 직원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 김예진 기자코로나 페이 페이 연장 코로나 바이러스 페이 제도

2022.04.21. 22:2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