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퍼라면 누구나 골프에 대한 자신만의 매력 포인트가 있다. 스코어를 낮추기 위해 차곡차곡 노력해가는 것도 즐겁고 의미 있지만, 어떤 이들은 벗과 4시간 이상 대화하며 우애를 나누고, 새로운 동반자와 서로를 알아가는 매력에 골프를 시작했다고 말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주말골퍼라면 프로 골퍼를 따라 하는 전형적인 스윙이나 공략법도 중요하지만, 바로 자신만의 독특한 준비 동작, 스윙 예열, 퍼팅 라인 읽기 노하우 등이 골프의 매력이라는 데 동의할 것이다. 결국 모든 골퍼가 타이거 우즈나 로리 맥길로이가 될 수 없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자신만의 체형과 스타일에 맞춰 습득한 스윙과 스코어 관리방식이 필드에서 의미 있는 스코어로 돌아온다면 그 뿌듯함은 매우 클 것이다. 우리가 모두 언젠가 해야 하는 ‘은퇴’도 마찬가지 아닐까. 한인들이 자주 접하는 신문, 방송, 블로그와 SNS 등을 보다 보면 마냥 재단된 은퇴 시기와 방식을 소개하는 경우를 보게 된다. 소셜연금 신청 시기, 메디케어 선택 사항, 은퇴 연금 인출, 상속과 양도의 방식 등 천편일률적인 경우가 많다. 은퇴 시기부터가 그렇다. 가장 많은 연금을 받고 가장 혜택이 많을 때 은퇴해야 한다고 권하지만 사실 그것보다 더 중요한 가치가 있을 수 있다. 지인 중에는 70세 중반이 넘어섰지만 매일 사무실에 출근해 일을 보고 정기적으로 출장에 나서는 분이 있다. 건강이 허락하기 때문에 가능하기도 하지만 여전히 사람들을 만나고 교류하고 목표를 정해 일해가는 것이 큰 기쁨이라는 설명을 듣게 된다. “내가 즐겁고 편하면 그것이 바로 은퇴”라고 믿는다는 것이다. 선출직으로 일했던 한 한인 1세는 이미 메디케어를 시작한 지 8년이 넘었지만, 여전히 후배들을 만나고 참여와 투표를 주창한다. 이제 좀 쉬어도 되는 연배가 아니냐는 질문에 솔직한 답변이 돌아온다. “그래서 좀 쉬어보려고도 했는데 2~3개월 손주들보고 여행 다녀오니 다시 좀이 쑤셔서 활동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어.” 은퇴하고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을 오히려 경계하는 분들도 적지 않다. 부동산으로 성공해 사우스베이 저택에서 살던 한 지인도 경제 활동은 끝나도 ‘인생 활동’을 멈출 수 없다며 그림과 사진을 배워 늦깎이 예술가가 됐다. 관련된 모임에 나가 더 많은 이들과 만나고 배움을 이어간 것은 탁월한 선택이었다는 설명이 이어진다. 경제적으로 비교적 여유가 있던 한 분은 60대 초반에 경제 활동을 중단하고 해외 봉사 길에 올랐다. 그는 쉽지는 않겠지만 힘겨운 사람들을 돕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젊을 때의 각오를 드디어 실천하게 됐다며 기뻐했다. 돈을 벌지 않으니 은퇴했다고 해야 하지만, 비영리 봉사를 시작해 또 다른 커리어라고 불러도 틀린 말은 아니겠다. 참고로 각종 조사에 따르면 최근 10년 동안 미국인들의 평균 은퇴 시기는 60~62세 사이다. 62세에 소셜연금을 조기 인출할 수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이민사회 한인들의 은퇴는 ‘정답이 없는’ 시대가 됐다. 은퇴의 시기와 방식, 성격과 조건은 모두에게 다르다. 그리고 그 차이에는 모두 이유와 배경이 있을 것이다. 게다가 누가 더 잘한 은퇴인지 판단하는 것도 무색하다. 각자의 상황과 조건에 맞춘 최선의 선택일 것이니 말이다. 간혹 티박스에서 멋지게 공을 날리고 그린 근처까지 잘 가서 버디나 파를 눈앞에 두고 마지막 칩샷에서 생크를 내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더블이나 트리플을 적기도 하는데, 은퇴도 마찬가지 아닐까. 잘 가꿔온 인생과 가족이어도 은퇴를 앞두고는 여러 불편함과 위기가 도사릴 수 있다. 남의 눈을 의식해 불필요한 결정을 내리는 것도 포함해서 말이다. 내가 즐겁고 편하고 의미 있다고 생각하는 방식과 시기가 답이 아닐까. 은퇴한 한인들의 다양한 모습이 여러 경로로 잘 소개되면 좋겠다는 바람이다. 최인성 / 경제부 부국장중앙칼럼 은퇴 티샷 은퇴 시기 은퇴 인출 평균 은퇴
2025.10.06. 19:02
Z세대가 이전 세대들보다 은퇴 대비에 더욱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 및 금융 서비스 전문업체 ‘블랙록’이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현재 18~25세 사이의 Z세대 근로자들은 소득의 평균 14%를 노후를 대비해 저축한다고 답해 이전 세대인 밀레니얼, X세대, 베이비부머 세대 근로자의 평균치인 12%를 상회했다. 또한 Z세대의 69%가 은퇴준비에 ‘자신 있다’고 답해 베이비부머 세대 65%, 밀레니얼 세대와 X세대 60%보다 앞섰다. 앤 애커리 블랙록 은퇴펀드 대표는 “Z세대는 자라면서 부모의 노후대비 중요성을 체감했을 것”이라며 “이제 그들은 스스로 준비하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또한 Z세대가 기록한 높은 수치의 또 다른 원인으로 “2007~2009년 대공황 당시 집과 직장을 잃는 모습을 지켜본 Z세대들은 이를 피하고 싶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계속된 인플레이션과 자산시장의 변동성으로 은퇴대비책의 방향성에 대한 신뢰가 하락했다. 업체에 의하면 ‘제대로 은퇴준비를 하는 중’이라고 한 응답자는 전체의 63%로, 지난해 68%보다 5%포인트 하락했다. 애커리 대표는 “팬데믹이 한창이던 기간에도 떨어지지 않던 응답률이 처음으로 내려갔다”며 “이는 고물가와 불안정한 경제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Z세대 응답자들은 은퇴할 나이로 63.6세를 예상했다. 컨설팅 및 리서치 기업 ‘갤럽’이 조사한 실제 은퇴 평균 나이는 62세였고, 평균 은퇴 예상 나이는 64세였다. 한편, 이번 설문 조사는 지난 3~4월 약 한 달간 은퇴플랜 가입자, 근로자, 은퇴자 등 3200여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우훈식 기자은퇴 소득 근로자 은퇴자 달간 은퇴플랜 평균 은퇴
2022.10.24. 2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