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LAPD, 6월 8일 하루 고무탄 1000발 난사…항의 시위 경찰 대응 보고서

LA경찰국(LAPD)이 불법체류자 단속 항의 시위에서 단 하루 만에 고무탄 등 발사체 1000여 발을 사용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커지고 있다.   LA데일리뉴스에 따르면 LAPD가 주정부에 제출한 보고서에는 지난 6월 6일 약 100명이 모인 시위에서 34발이 사용됐고, 이어 8일 다운타운에서 열린 6000여 명 규모 시위에서는 총 1040발이 발사된 것으로 기록됐다. 이 가운데 최루가스탄(CS가스) 20발도 포함됐으며, 당시 현장에는 경찰관 584명이 배치됐다.   뉴욕대 로스쿨 산하 ‘폴리싱 프로젝트’ 조시 파커 부국장은 “짧은 시간에 이처럼 많은 발사체를 사용한 것은 법과 기준을 위반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캘리포니아주는 2021년부터 군중 통제 무기 사용을 엄격히 제한해 무차별 사격이나 언론인 겨냥을 금지하고 있다.   이에 연방법원도 제동을 걸었다. 지난 10일 헤르난 D. 베라 판사는 LA프레스클럽이 제기한 소송에서 LAPD가 시위 현장에서 기자를 체포하거나 발사체를 사용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예비 금지명령을 내렸다. 해산 명령 불응, 통금 위반, 공무집행 방해 등을 이유로 기자를 구금하는 것도 허용되지 않는다.   같은 날 베라 판사는 국토안보부(DHS)를 상대로 한 별도 소송에서도 유사한 결정을 내렸다. 이민세관단속국(ICE)과 세관국경보호국(CBP) 요원들은 범죄 혐의가 없는 기자를 강제로 해산시키거나 위협·공격할 수 없으며, 군중 통제 무기 사용도 금지됐다. DHS는 관할 요원 전원에게 법원의 지침을 즉시 통보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베라 판사는 판결문에서 “공공 안전이라는 명목 아래 연방 요원들은 평화 시위대와 기자들을 위협해 왔고, 이는 정부를 감시할 대중의 권리를 침해한다”며 “수정헌법 1조의 취지에 어긋난다”고 지적했다.   LA프레스클럽은 이번 소송 배경에 대해 “지난 여름 불법체류자 단속과 방위군 투입 과정에서 수십 명의 기자가 부상하거나 불법 구금을 당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 6월 11일 오후 LA 한인타운 시위를 취재하던 본지 김상진 기자가 LAPD 경관이 쏜 고무탄에 맞아 등에 부상을 입었고, 원고 측에도 참여했다.     한편 트리샤 맥라클린 DHS 대변인은 “이번 판결은 수정헌법 1조의 본래 의미와 동떨어졌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그는 “언론인들도 폭력적 폭동 취재 시 주의해야 한다”며 “질서 회복을 위해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한길 기자대응 경찰 평화 시위대 규모 시위 시위 기자

2025.09.18. 20:59

썸네일

14일 ‘노 킹스’ 트럼프 반대 시위… 스와니 타운센터서도 오후 2시에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불법 이민자 단속에 반발하는 시위가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14일 전국 50개주에서 2000여건의 ‘노 킹스(No Kings·트럼프는 왕이 아니다)' 시위가 열린다. 올해 트럼프 취임 이후 최대 규모다. 조지아주도 애틀랜타를 비롯, 30여개 도시에서 시위가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13일 주애틀랜타 총영사관은 안전 공지를 통해 "14일 주 의사당과 챔블리 터커 로드 등에서 반트럼프 시위가 예정돼 있다"며 체포될 경우 국내 테러혐의 적용 가능성이 있으니 신변안전에 각별히 유의해줄 것을 당부했다. 시위를 예고한 도시는 애틀랜타, 라즈웰, 메이컨, 달튼, 라그랜지 등 30여곳이다.   특히 한인 밀집 거주 지역인 스와니 시의 타운센터에서도 이날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시위가 예정돼 있다. 다만 시위를 조직한 민주당 귀넷 카운티 지부는 불필요한 공권력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평화적 비폭력 시위 원칙을 내세웠다. 이들은 도로 점거 없이 인도로만 행진해 경찰 개입 필요성을 줄이고, 경찰이 해산을 명령할 시 따르겠다고 밝혔다. 시위에는 1700명 이상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자 단속·추방에 반대하는 시위는 지난 6일 LA일대에서 이민세관단속국(ICE) 요원들이 의류 매장 등을 급습해 불법 이민자들을 체포하면서 촉발됐다. 지난 10일 조지아 브룩헤이븐에서도 LA 연대시위가 일어나 경찰이 도로를 봉쇄하고 시위대에 최루탄을 발사하며 강제 해산을 시도했다. 이날 6명이 경찰관을 폭행하거나 해산 명령에 불응해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체포됐다. 존 박 브룩헤이븐 시장은 이에 대해 경찰의 대응이 적절했다고 옹호했다.   조지아 주정부는 폭력 시위를 용납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브라이언 켐프 주지사는 "조지아는 캘리포니아가 아니다. 평화적 시위는 보호 대상이지만, 폭력 범죄를 저지를 경우 엄중 처벌하겠다"고 10일 경고했다. 크리스 카 법무장관 역시 "폭력을 행사하면 최대 징역 35년에 처할 수 있는 테러법을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총영사관은 "혼란을 틈타 약탈과 강력범죄가 발생할 수 있으니 시위 지역 방문을 최대한 자제하고 불필요한 영상 촬영과 논쟁을 삼가달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체류 신분 확인이 필요한 상황에 대비해 여권 사본, 비자 등의 서류를 소지하라고 덧붙였다.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타운센터 시위 평화 시위대 폭력 시위 이민정책 시위

2025.06.13. 15:40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