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전 50개 학교를 폐교하면서 재개발을 약속했지만 아직도 절반 가량의 건물은 사용되지 않고 여전히 방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3년 5월 당시 람 이매뉴얼 시장은 전격적으로 시카고공립학교 50개에 대해 폐교 명령을 내렸다. 이들 학교 대부분은 시 남부와 서부에 집중되어 있었다. 당시 이매뉴얼 시장은 학교 폐교 조치를 내리면서 해당 학교 학생들은 인근 학교로 전학시키고 학교 건물은 재개발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이들 학교 건물은 대부분 오래 돼 수리 비용이 막대할 뿐만 아니라 학교용으로 건축되었기에 재개발에도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폐교된 50개 학교는 공동으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해 모두 46개 건물을 쓰고 있었는데 10년이 지난 현재 20개 건물이 사용되고 있었고 26개는 여전히 방치되고 있었다. 이 가운데 16개는 시가 소유한 채로 방치되었고 10개는 매각됐지만 아직까지도 사용되지 않고 있었다. 현재 활용되고 있는 20개 건물 중에서 7개는 시립 도서관이나 이민자를 위한 임시 쉘터 등으로 이용되고 있었다. 또 7개 건물은 사립학교로 바뀌거나 고급 아파트로 재개발되어 한 채에 60만달러에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6개 건물은 데이케어 센터나 노조 본부, 커뮤니티 센터, 노인 아파트, 공원국 건물 등으로 바뀌었다. 시카고 공립 학교측은 폐교된 건물들에 대한 재개발이 진행되지 않고 있는 것에 대해 로리 라이트풋 전임 시장이 지난 2019년 재개발 계획을 다시 세워야 한다며 매각 중단 지시를 내렸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코로나19 여파로 빈 건물에 대핸 재개발 추진이 어려웠다는 점도 지적했다. 하지만 오랫동안 빈 건물로 방치되고 있는 폐교로 인해 지역 주민들이 불안감을 느끼고 있으며 지역 주민들을 위한 공동의 공간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Nathan Park 기자시카고 폐교 시카고공립학교 50개 학교 폐교 시카고 학교
2023.05.22. 15:14
워싱턴 지역의 대표적인 영리대학(for-profit college)인 스트래트포드 대학이 최근 폐교하면서 재학생들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 스트래트포드 대학에 재학중인 800여명의 간호학과 학생들은 다른 대학으로 전학을 가야하지만, 대학 측이 주선한 대학도 영리대학이며 학점 인증과정이 복잡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번 사태는 스트래트포드 대학 등을 포함해 주로 영리대학 인증기관인 ACICS가 지난 8월 연방교육부로부터 인증 취소결정을 받으면서 불거졌다. 연방교육부는 애초 2016년 ACICS의 인가를 취소했으나, ACICS가 소송을 통해 최종 인가 취소 결정을 막아오다가 최근 연방교육부의 최종결정처분을 받았다. 이번 최종결정으로 ACICS로부터 인증을 받은 영리대학 재학생은 연방정부 재정보조를 받을 수 없게 된다. 이들 대학이 주로 저소득층 학생의 연방정부 학자금 지원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사실상 폐교 결정이나 마찬가지였다. ACICS가 인증한 비영리 대학은 44개 대학 67개 개별 캠퍼스에 이르며, 이중 2/3 이상이 연방정부 재정보조를 받고 있다. 스트래트포드 대학은 버지니아 알렉산드리아, 웃브리지, 메릴랜드 볼티모어 등에 캠퍼스를 두고 있다. 대학 측은 향후 18개월 동안 신입생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다른 인증기관을 찾겠다는 입장이었으나, 재정압박 등을 이유로 갑작스럽게 폐교를 결정했다. 대학 측은 재학생들에게 사우스 대학과 챔벌레인 대학으로 전학을 갈 수 있다고 밝혔으나, 두 대학 또한 영리대학으로 불안하기는 마찬가지다. 조지아주에 본부를 둔 사우스 대학은 전국적으로 캠퍼스를 둔 영리대학으로, 최근 5년동안 주인이 네댓번이나 교체됐다. 이 대학의 2017년 리치몬드 캠퍼스 학생 졸업률은 17.3%에 불과했다. 챔벌레인 대학 텍사스 캠퍼스는 간호학과 졸업생의 간호사 자격시험 성적이 지나치게 낮아 신입생 모집이 금지되기도 했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폐교 대학 영리대학 재학생 사우스 대학 대학 측은
2022.10.06. 1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