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카운티 내 폐기물 수거 비용이 최대 25%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샌타클라리타 지역 매체 더 시그널은 지난 1월 캐스테익 지역 치키타 캐년 매립지가 폐쇄되면서 대안인 선밸리 지역 매립지 폐기물 처리장 비용 상승이 불가피해 보인다고 28일 보도했다. 폐기물 관리 서비스 제공업체인 버텍에 따르면 치키타 캐년 매립지 폐쇄로 곧 일반 주택의 경우 월 평균 14~25%, 상업용 건물의 경우 쓰레기통 크기와 수거 빈도에 따라 6~25%가량 수거 비용이 인상될 수 있다. 치키타 캐년 매립지 운영을 중단할 경우 LA카운티 주민들은 가구당 연간 96~120달러의 요금이 인상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이에 대해 LA카운티 공공사업국 측은 치키타 캐년 매립지 폐쇄와 관련해 지역별로 요금 조정이 어느 정도 가능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지난 1972년부터 운영된 치키타 캐년 매립지는 그동안 유해 물질 배출 및 악취 등으로 인해 논란이 됐었다. LA카운티 정부는 매일 7000톤 이상의 쓰레기를 처리하는 치키타 캐년 매립지 운영 기관을 상대로 유해 물질 배출 관련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한편 치키타 캐년 매립지는 LA카운티 내에서 선샤인 캐년 매립지와 함께 가장 규모가 큰 쓰레기 매립지로 꼽힌 바 있다. 매립지 면적은 639에이커로, 지난해 고압 펌프 시스템 오작동으로 폭발 사고도 발생했었다. 강한길 기자la카운티 폐기물 la카운티 폐기물 폐기물 수거 매립지 폐쇄로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LA뉴스 LA중앙일보 강한길 미주중앙일보
2025.05.28. 20:17
한인 세탁소 업주가 유독성 폐기물 불법 투기 사실이 적발돼 벌금 처벌을 받았다. 벤투라카운티 검찰은 22일 유니크 클리너스(Unique Cleaners·2307 East Main St.)의 업주 조시자(Shija Cho)씨가 폐업 후 한달이 지난 2024년 7월 ‘위험 폐기물’로 표시된 55갤런 드럼통 2개 총 110갤런을 리시다 지역 골목에 불법으로 내다버린 혐의로 벌금 3만2065달러가 부과됐다고 밝혔다. 검찰에 따르면, 드럼통 한 개에는 연방 환경보호청(EPA) 규제 대상인 드라이클리닝용 용제 퍼클로로에틸렌(퍼크)이, 다른 한 통에는 사용 후 버린 필터와 슬러지가 가득했다. 폐기물 샘플을 정밀 분석한 결과, 연방법이 규정한 기준을 초과하는 독성을 띠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찰은 현장 사진과 실험실 보고서, 인터뷰, 폐기물 운송 기록 등을 증거로 제출했다. 수사 결과, 조씨는 정식 허가를 받지 않은 운송업체를 이용해 폐기물을 옮겼으며, 이 과정에서 아무런 안전 조치 없이 위험물질을 투기한 것으로 드러났다. 에릭 나사렌코 벤투라카운티 검사장은 “이 사건은 사업주들이 유해 폐기물의 전 과정(발생, 운반, 보관, 처리)을 철저히 관리해야 할 책임이 있다는 점을 명확히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강한길 기자세탁소 폐기물 폐기물 불법 불법 투기 벌금 부과폐기물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LA뉴스 LA중앙일보 강한길 미주중앙일보 한인 벌금
2025.04.27. 20:12
귀넷 카운티가 내달 10일 토요일 오전 9시부터 정오까지 가정에서 버리기 힘든 화학 폐기물, 오래된 배터리 등을 무료로 대신 버려주는 행사를 진행한다. 이날 행사는 로렌스빌슈가로프 파크웨이 선상에 있는 '귀넷 카운티 페어그라운드'에서 개최되며, 주최 측은 정문으로 들어와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가정에서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모르는 폐기물을 가구당 다섯 컨테이너까지 가져가서 버릴 수 있다. 폐기물이 들은 박스 또는 바구니를 가져올 수 있지만, 이때 박스를 다시 돌려받을 수는 없다. 허용되는 폐기물로 스프레이 살충제, 세척제, 얼룩 제거제, 식용유, 소화기, 휘발유·등유 등 가연성 물질, 수은, 라텍스 페인트, 제초제 등이 포함된다. 단, 탄약, 방사성 폐기물, 약품, 생물의학·생물학적 위험 폐기물은 받지 않는다. 홈페이지를 통해 이날 버릴 수 있는 폐기물의 종류를 자세히 알 수 있으며, 행사 당일 봉사자로 지원할 수도 있다. gwinnettcb.org/signature-events/household-hazardous-waste-collection-day 윤지아 기자폐기물 화학 화학 폐기물 가정 화학 카운티 페어그라운드
2024.01.25. 16:06
쇼핑시즌과 파티시즌이 지난 후 동네 쓰레기통들이 입을 벌린 채 있다. 미국인들은 과하게 물품을 구매하고 짧은 시간 사용한 후 미련 없이 버리는 습성이 있다. 선물로 마음을 전하는 시기이지만 소비주의 풍조와 우리 자신의 소비 습관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환경보호국(EPA)에 따르면, 통상 크리스마스부터 새해 첫날까지 기간의 폐기물은 평상시 같은 기간에 비해 약 25% 증가한다고 한다. 미국인의 하루 평균 쓰레기양은 5파운드다. 현재 미국은 세계 인구의 4%를 차지하지만 폐기물 배출량은 12%를 점유한다. 여기에는 매년 84만 톤의 플라스틱 접시와 컵, 340만톤의 기저귀, 820만톤의 의류와 신발, 91만톤의 수건·시트·베개 커버가 포함된다. 소비는 미국의 정체성처럼 보인다. 소비주의는 역사적, 경제적, 그리고 문화적 상호작용의 복잡한 결과물이다. 2차 대전 이후 대량생산, 광고, 혁신적인 신용제도가 소비문화 정착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경제 발전으로 인한 물질적 풍요가 미국인의 꿈이 되었고 소유가 성공으로 여겨지면서 소비주의가 확산했다. 1950년대 도심 밖의 교외 지역이 발전하면서 많은 주택이 건축되었고, 내부는 가구와 가전제품으로 채워야 했다. TV를 통한 달콤한 광고는 최신 제품과 멋진 라이프 스타일에 대한 소비자의 열망을 자극했다. ‘소비는 자아 표현이며, 브랜드는 정체성과 지위의 상징’이라는 문구에 세뇌됐다. 그 당시 자주 언급되던 ‘존스 가족 따라 하기(Keeping up with the Joneses)’다. 경제적 능력이 없음에도 이웃의 소비 수준에 맞추려고 동일한 제품을 구매하고 비슷한 라이프 스타일을 선택하는 것을 말한다. 그 후, 1980년대 개인주의와 신자유주의의 부상은 소비주의를 더욱 확산시켰다. 고급 브랜드는 부의 상징이 되었고, 크레딧카드의 등장으로 수입 이상의 소비가 가능해졌다. 1990년대의 세계화 역시 다양한 제품에 접근을 쉽게 함으로써 소비를 부추겼고, 2000년대 중반에 등장한 인터넷과 전자상거래는 전례 없는 쇼핑의 편리성을 제공했다. 더불어 소셜네트워크는 물질적 라이프 스타일에 대한 압력으로 작용했다. 쇼핑하려면 현금이나 크레딧카드, 혹은 최근 인기 있는 ‘지금 사고 나중에 지불(buy now-pay later)’하는 할부 시스템 가운데 한 가지를 이용해야 한다. 2023년 말 미국인의 총 크레딧카드 부채는 1조800억 달러 이상이며, 할부 구매 부채는 대략 460억 달러다. 미국인은 학교 개학 시즌인 9월부터 쇼핑을 시작해 세일이 많은 11월과 12월에는 소비를 늘린다. 이후 1월과 2월에는 생활비를 10% 정도 줄여 크레딧카드빚을 상환하거나 비상금을 충전한다. 소비주의 옹호자들은 소비가 혁신, 경제 성장, 일자리 창출의 동력이라 주장한다. 또한, 소비 강도가 미국 경제 건전성의 척도이기도 하다. 그런데 소비 촉진으로 경제 성장을 꾀하면서 폐기물의 축소를 강조하는 것은 지속 불가능한 논리다. 소비주의는 다각적 해결책을 필요로 하는 복잡한 문제이며, 미국인의 쇼핑 액수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하지만 소비주의는 낭비와 환경파괴로 이어진다. 주요 도시마다 폐기물로 인한 문제가 커지고 있다. LA카운티도 예외가 아니다. 카운티에서 두 번째로 큰 쓰레기 매립지인 치키타 캐년 매립지는 화재로 주변에 악취가 퍼지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22년 6월 “폐기물 관리 및 처리는 그 국가의 문화와 관련 있다”고 발표했다. 한국인들은 분리수거와 쓰레기 감축 정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일본인들은 식당에 갈 때 용기를 들고 가 남은 음식을 싸 온다고 한다. 새해에는 일회용품 안 쓰기, 재활용과 재사용, 물건 대신 경험 선물하기, 음식 낭비 최소화, 필요한 것만 구입하기 등 일상에서 폐기물을 줄이는 노력이 확산하길 기대한다. 정 레지나기고 소비주의 폐기물 소비주의 풍조 폐기물 배출량 소비문화 정착
2024.01.02. 19:02
오로라시는 주민들을 위한 특별 전자 폐기물 수거 가격제를 오는 10월 2일부터 10월 7일까지 실시한다. 이 행사는 오로라시의 전자 폐기물 파트너인 ‘Techno Rescue’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주소는 3251 lewiston st. suite 10 aurora co 80011이며, 운영 시간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는 오전 8시부터 오후 4시까지, 토요일에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이다. 이는 오로라시 주민에게만 적용되며, 비즈니스 고객은 해당 이벤트의 혜택을 받을 수 없다. 수락되는 전자 제품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태블릿, 게임기, 그 외 전자제품 등이다. 요금은 일반적인 장바구니 크기 정도를 기준으로 해서 5달러씩을 내야하고, 이보다 큰 경우에는 10달러를 내야 한다. 결제는 현금이나 데빗카드, 신용카드 사용이 가능하다. 단, 일부 전자 제품은 높은 처리 비용이 예상될 경우 추가 요금이 부과될 수 있다. ▷액정 LCD 모니터: 각 5달러 ▷32인치 미만의 크기의 광선 방사관 (CRT) 모니터 및 텔레비전 및 모든 크기의 플랫 스크린 TV : 각각 30달러 ▷33인치 이상의 크기의 CRT 모니터 및 텔레비전: 각 50달러 ▷프린터(Floor model): 각 40달러 ▷프로젝터, 디지털 라이트 프로세싱 (DLP) 및 콘솔 텔레비전: 각 100달러 오로라시측에 따르면 “전자 폐기물 시설인 Techno Rescue는 전자 폐기물 처리 및 데이터 파괴에 대한 인증을 받았다. 모든 데이터 저장 매체를 완전히 삭제 및 파괴하여 재활용을 하는 사람들의 신원을 보호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행사는 환경을 고려한 행사이다. 전자제품을 쓰레기통에 버리는 것은 심각한 환경 문제를 일으키며, 콜로라도 주에서는 쓰레기장에 버리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 오로라시의 이러한 환경정책에 많은 참여를 당부한다”고 밝혔다. 더 자세한 정보는 AuroraGov.org/Recycle 웹사이트를 방문하여 확인할 수 있다. 다음 특별 가격제 일정은 12월 26일부터 29일까지, 그리고 2024년 1월 2일부터 6일까지 예정되어 있다. 김경진 기자오로라 폐기물 전자 폐기물 수거 가격제 오로라시 주민
2023.09.22. 12:47
귀넷 카운티가 오는 22일 주민들이 일반 쓰레기로 버리기 힘든 유해 폐기물을 무료로 수거한다. 이날 행사는 오전 8~11시 로렌스빌 소재 귀넷 카운티 페어그라운스(2405 Sugarloaf Pkwy)에서 진행된다. 주민들은 폐기물을 최대 5 '박스'까지 가져올 수 있는데, 이때 박스는 복사용지 박스, 빨래 바구니 등과 비슷한 크기여야 한다. 폐기물을 담은 컨테이너는 돌려받을 수 없다. 이날 수거하는 폐기물로는 살충제 스프레이, 충전식 배터리, 소화기, 인화성 물질, 형광전구, 페인트, 수은, 잔디 관리 관련 제품, 제초제, 조리용 기름 등이다. 그러나 탄약, 방사성 폐기물, 의약품, 생의학 폐기물은 받지 않는다. 또한 이날 수거를 도울 봉사자들도 모집 중이다. 모집=tinyurl.com/472z385k, 문의=770-822-5187 윤지아 기자폐기물 유해 유해 폐기물 이날 수거 복사용지 박스
2023.07.14. 14:50
음식물·낙엽 등 유기 폐기물을 분리수거하는 프로그램이 뉴욕시 전역으로 확대된다. 30일 뉴욕시 청소국(DSNY) 등에 따르면, 뉴욕시는 2024년 말까지 유기 폐기물 분리수거 프로그램을 5개 보로 전체로 확대할 예정이다. 뉴욕시는 이미 단독주택 비중이 높아 정원 쓰레기 양이 많은 퀸즈에서는 지난해에 파일럿 프로그램을 실시한 바 있다. 분리수거 프로그램이 시작되면, 시 청소국은 거주자들이 전용 쓰레기통에 따로 모아 담아둔 유기 폐기물을 별도로 수거한 뒤 퇴비로 만들게 된다. 아파트와 같은 다가구 주택에는 시 청소국이 유기 폐기물 전용 쓰레기통을 배치해주며, 단독주택인 경우 시 청소국을 통해 쓰레기통을 신청하면 된다. 다만 분리수거는 강제성은 없으며, 자발적 참여를 권장하는 프로그램이다. 지난해 이미 파일럿 프로그램으로 테스트를 끝낸 퀸즈는 올해 3월 27일부터 유기 폐기물 분리수거를 시작할 예정이다. 브루클린은 10월 2일, 브롱스와 스태튼아일랜드는 2024년 3월 25일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맨해튼의 경우 2024년 10월 7일부터 시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유기 폐기물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해 ▶정원 쓰레기(낙엽·꽃·잔가지·풀 등) ▶음식물이 묻은 종이 접시 ▶커피 필터 등이 포함된다. 달걀껍질과 뼈 등도 함께 버릴 수 있다. 시 청소국은 이런 쓰레기를 모아 퇴비로 만들 계획이다. 제시카 티쉬 시 청소국장은 "유기 폐기물 분리수거는 자발적 참여를 권장하는 프로그램이지만, 시정부가 유기 폐기물 배출량을 줄이려는 목표를 갖고 있는 만큼 향후 의무화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분리수거 폐기물 분리수거 확대 유기 폐기물 분리수거 프로그램
2023.01.30. 19:38
음식물·낙엽 등 유기 폐기물을 분리수거하는 프로그램이 3일부터 퀸즈 전역에서 실시된다. 뉴욕시 청소국(DSNY)은 웹사이트와 트위터 계정 등에서 “3일부터 퀸즈 주민 전원을 대상으로 유기 폐기물 분리수거를 시작한다”며 퀸즈 주민들의 많은 참여를 독려했다. 퀸즈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갈색 유기 폐기물 전용 쓰레기통에 쓰레기를 모아두면 시 청소국이 수거해 갈 방침이다. 유기 폐기물을 분리수거하겠다고 따로 신청할 필요도 없다. 유기 폐기물 분리수거는 강제성이 없으며, 자발적 참여를 권장하는 프로그램이다. 10가구 이상인 아파트에는 시 청소국이 유기 폐기물 쓰레기통을 이미 배치했으며, 새 쓰레기통이 필요한 가정은 1일까지 DSNY 웹사이트(www1.nyc.gov/assets/dsny/site/contact/curbside-composting-queens)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뚜껑을 덮을 수 있다면 기존 유기 폐기물 쓰레기통을 계속 사용해도 된다. 시 청소국은 유기 폐기물 분리수거 프로그램으로 악취와 쥐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제시카 티시 시 청소국장은 “매일 2400만 파운드 규모의 쓰레기가 연석에 놓여 있는데, 이 중 3분의 1 이상이 음식물 쓰레기”라며 “음식물 쓰레기만 깨끗하게 분리돼도 쥐가 덜 꼬일 것”이라고 전했다. 유기 폐기물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해 ▶정원 쓰레기(낙엽·꽃·잔가지·풀 등) ▶음식물이 묻은 종이 접시 ▶커피 필터 등이 포함된다. 달걀껍질과 뼈 등도 함께 버릴 수 있다. 시 청소국은 이런 쓰레기를 모아 퇴비로 만들 계획이다. 뉴욕시에서도 퀸즈에서 가장 먼저 유기 폐기물 분리수거가 시작된 이유는 퀸즈의 단독주택 비중이 높아 정원 쓰레기 양이 상당해서다. 뉴욕시는 퀸즈에서 파일럿 프로그램을 시행한 뒤, 다른 보로로 유기 폐기물 분리수거 프로그램을 확장할 지 검토할 예정이다. 김은별 기자분리수거 폐기물 퀸즈 주민들 유기 폐기물 전용 쓰레기통
2022.09.30. 18:40
올 가을부터 음식물·정원·종이 등 유기 폐기물을 따로 분리수거하는 프로그램이 퀸즈 전역에서 실시된다. 8일 에릭 아담스 뉴욕시장은 시 청소국(DSNY)이 오는 10월 3일부터 퀸즈 주민 전원을 대상으로 하는 유기 폐기물 분리수거 프로그램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새 쓰레기 수거 프로그램에 따르면 별도의 신청 없이 퀸즈 지역 주민이면 누구나 유기 폐기물 분리수거 프로그램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번 새 분리수거 프로그램은 강제성이 전혀 없는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권장하는 프로그램이다. 10가구 이상인 아파트에는 자동으로 유기 폐기물 분리수거 쓰레기통이 제공될 예정이며, 프로그램 참여를 위해 새 쓰레기통이 필요한 가정은 오는 10월 1일 전까지 DSNY 웹사이트(www1.nyc.gov/assets/dsny/site/home)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DSNY에 따르면 뚜껑 등으로 쥐를 막을 수만 있다면 분리수거 프로그램 참여를 위해 기존 쓰레기통을 계속 사용해도 상관없다. DSNY는 오는 9월 중순 쓰레기 수거 일정을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심종민 기자분리수거 폐기물 분리수거 프로그램 유기 폐기물 프로그램 참여
2022.08.08. 1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