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철학자 폴 자네의 말에 의하면 나이가 들수록 시간이 더 빨리 가는 것처럼 느낀다고 한다. 젊었을 때는 첫 만남, 첫 여행, 첫사랑 등 매일매일 잊을 수 없는 새로운 경험을 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새로운 경험은 적어지고 ‘출근-일-퇴근’ 같은 일상이 반복되기 때문이다. 미국에 이민 온 우리의 삶은 어떠한가? 직장인이나 자영업을 하는 사람이나 생활에 큰 변화가 없다. 아이들 키우며 생활하기 위해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하루 하루를 보낸다. 새해 시작이 얼마 전 같았는데 벌써 반년이 훌쩍 지나갔다. 머리도 희끗희끗해지고 여기저기 결리고 아프기도 하다. 몸과 마음이 하루가 다름을 느낀다. 노후대책을 생각해 보지만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연하다. 누구는 어떤 특정 기업에 투자해서 돈을 많이 벌었다고 하니 지금이라도 그 종목에 투자해야 하는지 마음이 갈팡질팡한다. 내가 투자하면 폭락할 것 같기 때문이다. 작년 10월부터 주식시장이 20% 이상 상승했다는 보도가 나온다. 오르기 전 투자해야 했는데 아쉬운 마음이고 지금 투자하면 주식시장이 다시 하락할 것 같은 불안한 마음이다. 지난 30여 년 동안 일반 투자자에게는 인덱스 (S&P 500 Index) 펀드를 기본으로 한 투자를 추천했다. 그렇다면 이 종목에만 투자하면 성공하는 투자로 이어지는가? 우리는 이 종목이 지난 2020년 3월 34%까지 폭락한 적도 있고, 2022년에도 거의 20% 폭락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폭락하는 주식시장은 투자자에게 불안하고 두려움 마음을 가지게 한다. 투자자가 두려워하는 주식시장 폭락에 대해서 알아보자. 폭락의 실체를 이해하면 투자에 대한 두려움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주식시장이 20% 이상 폭락할 때를 약세장(Bear Market)이라고 말한다. 주식시장은 약세장과 상승장(Bull Market)을 함께 공유한다. 폭락과 상승을 함께 비교해 본다. *1928년부터 약세장은 27번 경험했고, 상승장 역시 27번을 기록했다. 주식시장이 폭락하면 모든 미디어가 여기에 집중하지만, 주식 폭락이 특별한 것은 아니라는 뜻이다. *약세장일 때 떨어진 낙폭은 35%이고, 상승장일 때는 114% 올랐다. 하락보다 상승의 폭이 훨씬 더 크다는 사실이다. *약세장으로 머문 기간은 292일 즉 9.7 달이고, 상승장은 992일 2.7년이다. 하락하는 기간은 짧고 상승하는 기간은 훨씬 더 오랜 기간이라는 뜻이다. *1928년부터 1945년까지는 약세장이 12번 있었고 평균 1.4년마다 반복했다. 그러나 1945년부터는 약세장을 15번 경험했지만, 평균 5.1년마다 일어난 것이다. *1929년부터 약세장을 27번 경험했지만, 경제 침체기로 이어진 것은 15번이었다. 경제와 주식시장이 다르게 움직인다는 것을 뜻한다. 주식시장에 어느 2년간 나의 돈이 투자되어 있으면 원금보다 높아질 확률이 80%가 되고, 6년간 투자되어 있으면 90%가 되고, 16년간 투자되어 있으면 원금보다 적어질 확률은 0%가 된다. 요약하면 주식시장에 장기간 투자할수록 원금보다 적어질 확률은 점점 낮아지고 같은 기간 주식시장이 창출하는 수익률을 받을 수 있다는 뜻이다. 참고로 오랜 주식시장(미국 500대 기업이 모인 종목)의 연평균은 10%이다. 일반 투자자 대다수는 성공하는 주식투자가 되기 위해서는 투자 종목과 투자 시점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한마디로 말하면 투자자에게 필요한 것은 시간과 인내, 그리고 꾸준함(Time, Patience, Persistence)이다. 투자자는 일시적인 시장 하락을 감수하며 장기적으로 투자하면 높은 이익을 얻을 수 있다. 현재보다 나은 미래를 꿈꾸며 열심히 노력하는 것이 인간의 본성이기에 기업이 발전하고 주식시장 규모가 점점 더 커지는 것이다. 주식시장 변동에 동요하지 않고 꾸준히 투자하면 편안하고 안락한 은퇴 생활로 이어질 것이다. 이명덕 박사재정칼럼 주식시장 폭락 주식시장 폭락 기간 주식시장 주식시장 변동
2023.08.07. 18:45
경제가 침체기(Recession)로 이어진다는 소식이 자주 나온다. 침체기란 국민총생산(GDP)이 2분기 연속 하락하는 것을 뜻한다. 2차대전 후 침체기가 13번 있었는데 그때마다 2가지 요소가 항상 동반했다. 두 가지 요소는 국민총생산량 하락과 실업률 상승이다. 생산량이 줄면 기업의 이익이 감소하고, 이익 감소는 직원 감원으로 이어진다. 수입 감소로 불안함을 느끼는 소비자들이 지출을 줄이게 되고 이는 물건이 팔리지 않는 악순환에 빠져 경기 침체로 이어지는 것이다. 최근 파산한 은행은 안전 자산이라고 생각한 국가 채권에 투자했다. 연방준비제도(Fed)는 물가를 잡기 위해서 이자율을 올리기 시작했다. 이자율이 상승하면 채권 가격은 하락한다. 이자율 상승은 기업이 돈을 융통하기 어렵게 만든다. 현금이 필요한 기업은 은행에서 예금을 인출해야 한다. 인출이 늘자 보유 현금이 부족한 은행은 투자 손실을 감수하며 채권을 팔아야만 하는 상황이 됐다. 이것이 예금 대량 인출(Bank Run)로 이어지며 은행이 파산한 것이다. 비관적 경제 전망과 은행의 파산은 주식시장 하락으로 이어졌다. 투자자 대부분은 주식시장이 완전 바닥인지 아니면 더 하락할지를 알고 싶어 한다. 일반 투자자가 기억해야 하는 것은 ‘주식시장은 미래를 보며 움직인다’는 사실이다. 과거 50년 동안 경제가 침체기로 이어질 때(국민총생산량이 바닥) 단 한 번의 예외는 있었지만, 주식시장은 이미 상승하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주식시장(S&P 500)이 가장 많이 상승했던 날의 절반은 주식시장이 20% 폭락(Bear Market)했을 때다. 다시 말해서 경제가 암울하고 두려운 소식이 난무할 때 주식시장이 상승했다는 뜻이다. 2007년에 주식시장에 1만 달러를 투자했다면 2022년 말 그 가치는 3만5461달러로 불어났다. 평균 수익률이 8.8%이다. 그런데 이 기간에 주식시장이 가장 많이 상승했던 10일 동안 투자가 되어 있지 않았다면 수익률은 3.3%로 떨어지며 1만 달러가 1만6243달러 밖에 되지 않는다. 이것이 주식시장에 투자하며 마켓 타이밍(Market Timing)을 해서는 안 되는 이유이다. 주식시장이 하락할 때 특히 폭락 상황이라면 투자자는 유쾌할 리가 없다. 물가를 잡기 위해서 연준은 급격하게 이자율을 올렸다. 이것이 은행 파산의 한 가지 이유이지만 오히려 주식시장에는 도움이 될 수 있다. 연준이 이자율 인상 결정에 더욱 신중해지기 때문이다. 주식시장이 폭락해도 일상생활에 큰 변화는 없다. 기업은 필요한 물건을 끊임없이 생산한다. 기업의 주식은 실제적인 가치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서 기업 일부분을 소유하는 것이다. 기업은 경제의 기본이며, 경제는 발전의 원동력이 된다. 투자자에게 희망적인 것은 미국 주식시장은 폭락해도 항상 회복되었으며 오히려 더 높이 상승했다는 사실이다. 주식시장이 폭락한 후 1987년에는 582% 상승, 2000년에는 101% 상승, 2008년 401% 상승, 2020년에도 113%나 상승했다. ‘투자의 달인’ 워런 버핏은 은행권과 예금 안전성에 대해 공포심을 가질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은행 파산으로 예금 손실을 보는 미국인은 없을 것이란 데 100만 달러를 걸 수 있다며 반대의 경우에 돈을 거는 사람이 있다면 패자가 200만 달러를 자선단체에 기부하자는 제안까지 했다. 세계 10대 부자는 2023년 1분기 주식시장 상승으로 불어난 돈이 무려 2130억 달러다. 일시적인 시장 하락을 감수하며 장기적인 안목을 가진 투자자에게는 높은 이익이 돌아온다. 현재보다 나은 미래를 꿈꾸며 열심히 노력하는 것이 인간의 본성이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주식시장은 성장하는 것이며, 꾸준한 투자자가 더 많은 혜택을 받는 것이다. 이명덕 / 박사·RIA재정칼럼 주식시장 폭락 주식시장 하락 이자율 상승 국민총생산량 하락
2023.05.19. 18:48
인플레이션의 지표였던 계란 가격이 급락하고 있다. 소매 업계에 따르면, 한때 한판에 18달러까지 치솟았던 계란 가격이 6불대로 내려앉았다. 67%나 떨어진 수치다. 연방 노동통계국(BLS)의 자료에 따르면, 4월 전국 평균 4월 계란값 역시 전달보다 1.5% 내리는 등 하락 추세가 뚜렷하다. 이런 하락세는 LA한인타운 마켓에도 반영됐다. LA한남체인은 계란 한 판(20개)을 지난 11일부터 오늘(17일)까지 2.99달러에 특가 세일한다. 갤러리아 마켓도 6달러대로 계란을 판매 중이다. 계란 가격의 하락 폭은 소매가격보다 도매가격에서 더 컸다. 가격관리 회사인 어너배리에 따르면 지난주 도매시장에서 계란 한판 거래 가격은 0.94달러였다. 이는 불과 6개월 전 5.46달러 대비 83%나 폭락한 것이다. 도매가격의 하락 폭은 커지고 있지만, 소매 가격은 이보다 완만하게 내려가고 있다. 업계관계자는 “도매가격이 내려간다고 해서 소매업체가 즉시 가격을 내리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소매 가격이 더 하락할 때까지는 시일이 더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업계는 계란 수급 부족 현상의 역전 현상과 수요 감소를 계란값이 폭락한 이유로 꼽았다. 지난해 조류인플루엔자로 인해 계란 공급이 턱없이 줄었다. 게다가 사료와 연료 비용까지 치솟으며 계란 가격이 천정부지로 올랐다. 전국 최대 계란 생산업체인 캘에인푸드(CALM)는 계란 가격 상승으로 인해 2월 25일 마감 분기에 700% 이상 수익 성장을 보고했다. 최근 계란 공급량은 정상궤도에 올랐다. 어너배리에 따르면 계란 도매가격 하락은 3월 말부터 시작돼 이달 초 연간 최저치를 기록했다. 조류인플루엔자 상황이 개선되면서 계란 공급이 증가했지만 소비자 수요는 고물가에 되레 줄었다. 업계 관계자는 “몇 개월 동안 계란 가격급등이 지속하면서 소비자들이 계란 구매를 줄였다”며 “계란을 식품 인플레이션의 지표로 인식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소매 판매를 추적하는 NIQ에 따르면 4월 22일로 끝나는 4주 동안 소매업계 달걀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4% 감소했다. 식품 가격은 전반적으로 내림세를 기록 중이다. 식품산업협회(FIA)의 앤디해리그 부사장은 “4월 CPI 보고서에 따르면 식품 가격이 느리지만, 꾸준히 하락하는 추세”라며 “육류, 가금류, 계란, 생선 등 변동성이 큰 식품 가격이 하락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런 흐름을 반영하듯 한인마켓에서 가격이 내린 식품 품목이 눈에 띄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최근 가장 가격이 하락한 품목은 파로 6~7단 0.99달러, 대파 1.99달러에 세일 중이다. 갤러리아마켓 관계자는 “소비자들이 지출을 줄이면서 고기류같이 한 품목에 지출이 많은 식품 구매가 눈에 띄게 줄었다”며 “라면, 두부, 김 등 유통기한에 민감한 식품들의 세일 폭이 크고 식단 주재료인 야채, 김치, 쌀, 밑반찬 식재료 등의 세일을 늘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남 체인도 최상급 무지 후지 흑돼지 삼겹살 파운드 4.99달러, CJ 햇고등어 3.99달러, 냉동 양념 장어 한 팩 9.99달러 등 매주 특가 세일을 진행하고 있다. 이은영 기자계란값 폭락 도매가격 하락 식품 인플레이션 동안 소매업계
2023.05.16. 18:59
가주에서 생산하는 쌀가격 급등으로 한국산 쌀과 가격 차가 좁혀지면서 한국산 쌀의 미주지역 수출 확대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지난주 나흘 동안 열린 LA 한인축제 ‘농수산 엑스포’에 한국 지자체가 대거 참여해 전남, 경북, 전북, 강원도 등이 미주지역 농수산식품 수출 판로 개척을 위해 MOU(양해각서)를 체결하며 쌀수출도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 한국 지자체 관계자는 “한국은 과잉 쌀생산으로 가격이 폭락하고 재고가 늘어 미주지역 농수산식품 수출과 함께 쌀 수출을 늘리는 방안도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가주의 폭염과 극심한 가뭄으로 쌀 가격이 급등한 반면 한국에서는 쌀의 과잉공급으로 가격이 폭락하면서 쌀의 수출 길을 모색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졌기 때문이다. 가뭄으로 가주산 쌀 수확량이 대폭 감소하면서 한인타운에서 판매하는 백미는 2배에서 최대 3배까지 올라 20파운드 기준 17.99~21.99달러에 판매되고 있다. 가주산 쌀 가격의 고공행진으로 시온마켓이 한국에서 직접 수입하는 만세보령 프리미엄 황진쌀은 20파운드에 29.99달러이지만 23.99달러에 할인 판매하며 가주산 쌀과 가격 격차가 거의 없다. 제이 방 시온마켓 버몬점 점장은 “황진쌀은 파운드당 1달러 정도로 판매량은 3개월 전과 비교하면 20~40% 정도 올랐다”며 “가주산 쌀과 가격 차이가 좁혀지면서 숏그레인인 한국산 쌀을 구입하는 고객이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남체인도 경남 가바쌀 5분도 4kg을 할인해 19.99달러에 판매 중이다. 가주산 쌀 가격이 오르면서 가격 차가 좁혀진 데다 건강과 숏그레인 쌀밥 맛을 찾는 마니아층으로 판매가 늘고 있다고 관계자는 전했다. 한국산 최고 프리미엄 쌀인 골든퀸, 삼광, 참드림 등을 주문 즉시 정미해 온라인 배송을 하는 김씨마켓(대표 라이언 김)은 한국산 쌀은 강원도 오대쌀 같은 조생종 경우 벌써 수확을 시작했고 대부분의 품종은 10월 초순 중순경으로 쌀 가격은 그때 더 정확히 알 수 있지만 하락 추세로 10~15% 정도 떨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라이언 김 대표는 “미국산 쌀 가격과 한국산 쌀 가격 차이가 크게 좁혀졌으나 한국과 미국간 물류비 또한 높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한국산 쌀 가격을 마냥 낮출 수 없는 건 사실”이라며 “지금 수확할 햅쌀이 11월 초·중순에 도착하면 쌀가격을 하락해 판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aT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LA지사(지사장 김민호)에 따르면 미국은 한국산 쌀 수출량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는 최대 수입국이다. 2021~2022년 상반기 대미 쌀 수출 규모는 2021년 270톤에서 2022년 329톤으로 21.9% 증가했다. 〈표 참조〉 2022년 국가별 쌀 수출실적을 보면 1위는 미국(167만 달러), 호주(116만 달러), 싱가포르(26만 달러), 베트남(23만 달러) 순이다. 현재 한국은 벼수확을 앞두고 45년 만에 쌀값 폭락으로 농가에 시름이 쌓여가고 있다. 한국 정부가 2월, 5월, 7월 세 차례 걸쳐 37만톤을 비축미로 사들였지만, 과잉 수확량을 감당하기엔 역부족이다. 마켓 관계자는 “한국에서 쌓여가는 품질 좋은 한국 쌀을 미주지역으로 공급하면 한인들이 건강은 물론 그리운 한국의 밥맛을 즐길 수 있을 것”이라며 “한국산 프리미엄 쌀을 찾는 고객들 대부분은 가격보다 품질을 신뢰하기 때문에 향후 한국산 쌀 소비량은 꾸준히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글·사진=이은영 기자미국 폭락 한국산 최고 at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한국 지자체
2022.09.26. 20:45
뉴욕증시, 실적시즌 앞두고 하락..트위터 11.30% 폭락 기업들의 2분기 실적이 부진할 것이란 전망과 인플레이션 우려가 겹치며 11일 뉴욕증시가 일제히 하락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64.31포인트(0.52%) 하락한 3만1173.84, S&P 500지수는 44.95포인트(1.15%) 내린 3854.43으로 거래를 마쳤다. 나스닥 지수는 262.71포인트(2.26%) 급락한 1만1372.60으로 마감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인수를 철회한다고 밝힌 트위터 주가가 11.30% 폭락한 가운데, NYSE 트레이더들이 전광판을 바라보고 있다. [로이터] NYSE 뉴욕증시 주가 트위터 폭락
2022.07.11. 19: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