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식당서 코파 아메리카 결승전 관람하던 시민들 '집단 난투극'

14일 밤 LA의 한 지역에서 코파 아메리카 결승전을 관람하는 행사가 열린 가운데, 과음 등의 이유로 폭력사태가 발생, 여러 명이 병원에 이송되는 일이 발생했다.     KTLA 방송에 따르면 이날 사건은 피코 유니언 지역에 위치한 콜롬비아 식당 인근 주차장에서 일어났다.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 등 수백 명의 팬들이 대회 결승전인 콜롬비아와 아르헨티나의 경기를 보기 위해 모인 상황이었다.     목격자들에 따르면 경기가 끝난 후 폭력사태가 발생했다. 한 목격자는 “많은 사람들이 즐거운 시간을 보냈었다”며 “그러나 너무 많은 사람들이 술을 마셨고 결국 폭력사태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현재까지의 보도에 따르면 유리병이 던져졌고 최소 한 명이 칼에 찔렸다. LA 경찰국(LAPD)은 자상 환자를 포함한 여러 명이 병원에 이송됐고 여러 건의 폭행 신고가 접수됐다고 설명했다.     15일 오전 7시 현재까지 해당 사건으로 체포된 사람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이날 결승전에서는 아르헨티나가 연장 승부 끝에 콜롬비아를 1대 0으로 꺾었다. 아르헨티나는 통산 16번째 트로피를 들어 올리며 15번 우승한 우루과이를 제치고 코파 아메리카 최다 우승 국가가 됐다. 김영남 기자 [[email protected]]아메리카 폭력사태 코파 아메리카 콜롬비아 식당 우승 국가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결승전

2024.07.15. 14:58

썸네일

“전 대통령이 폭력사태 책임자”

조 바이든 대통령이 의회 폭동 사태 1주년을 맞아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을 폭력사태의 책임자로 규정하고 강력하게 규탄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6일 의회 폭동 당시 폭도들이 난입했던 워싱턴DC 연방의사당 스테튜어리홀에서 한 연설에서 “선거에서 패배한 대통령이 폭도들을 의회에 난입시켜 평화로운 정권교체를 방해하려 했다”고 비난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폭도들을 공격으로 내몰았다”면서 “그는 백악관에서 이 모든 장면을 텔레비전으로 지켜보면서도 경찰이 공격당하고 생명을 위협받고 의회가 포위되는 몇 시간 동안 아무 일도 하지 않았다”고 직격했다.     그는 “전직 대통령은 선거 결과에 의심을 표하고, 2020년 대선 결과에 대해 거짓말을 만들고 퍼뜨렸다”면서 “이는 그가 자신의 이익을 조국의 이익보다 더 중요하기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는 트럼프 전 대통령과 그 지지자들이 주장하는 선거 결과 조작론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바이든 대통령은 2020년 대통령 선거에 대해서 “이 나라 역사상 가장 위대한 민주주의의 표현”이라고 설명하면서 그 전의 어느 선거보다도 많은 미국인들이 투표했다고 언급했다. 또한, “미국 역사상 그 어떤 선거도 2020년 대선보다 더 면밀하고 정확하게 집계된 적이 없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그는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해서 “그냥 전직 대통령이 아니라 패배한 전직 대통령이다.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에 의해 700만표로 진 패배한 대통령”이라고 단언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연설 내내 트럼프 전 대통령의 이름을 직접 언급하지 않고 ‘전직 대통령’, ‘패배한 전직 대통령’, ‘그’ 등의 단어를 대신 사용해 지칭했다.     1년전인 2020년 1월 6일, 대선에서 패배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지지자들이 연방의회로 몰려가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의회의 대선 승리 인증을 막기 위해 연방의사당에 무차별 난입, 폭력을 행사하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이 사태로 의회경찰 1명을 포함해 5명이 사망했고, 지금까지 700명 이상이 기소됐으며, 사법당국과 의회는 진상 규명을 위한 절차를 아직까지 진행중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애초 예정된 기자회견은 취소했지만, 바이든 대통령 연설 직후 별도의 규탄 성명을 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의 연설을 “바이든 대통령이 오늘 내 이름을 미국을 더 분열시키는 데 이용했다”며 “이 정치적 연극은 바이든 대통령이 완전히 실패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시선돌리기(distraction)’에 불과하다”고 조롱했다.   장은주 기자 [email protected]폭력사태 대통령 폭력사태 책임자 대통령 선거 전직 대통령

2022.01.06. 20:34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