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랜드캐년 국립공원 인근 하바수파이 폭포에서 다수의 위장 질환 환자가 발생해 관광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해 보인다. 지난 13일 AP통신에 따르면 최근 하바수파이 인디언 보호 구역 내 위치한 하바수파이 폭포를 찾은 관광객 수십명이 위장 질환 증세를 호소했다. 하바수파이 폭포를 방문했던 다수의 관광객이 페이스북을 통해 위장 통증 경험을 밝힌 만큼, 이번 사태로 인한 환자가 최대 수백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하바수파이 폭포는 투명하고 맑은 청록색 물이 흐르는 것으로 유명한 곳이다. 그런데 이번 사태는 하바수파이 폭포의 물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하바수파이 폭포를 찾은 매들린 멜키어스는 폭포 인근 식수대의 물을 마신 이후 심한 구토와 고열 증세를 보였다고 AP통신을 통해 밝혔다. 멜키어스가 사용한 식수대에는 검사를 마쳤고 마시기 적합한 물이라는 안내가 적혀있었다. 그런데 수의사인 멜키어스는 “식수대에 설치된 정화 필터가 세균이나 프로토조아는 걸러낼 수 있어도 바이러스까지 막을 수는 없다”며 이번 사태의 원인을 물이라고 의심했다. 반면, 하바수파이 부족 관광 사무실은 관광객들이 마신 물의 수원지인 지역 샘물은 2주 전 수질 검사를 통해 인체에 무해하다는 판정을 받은 바 있다고 설명했다. 보건당국은 관광객들이 호소하는 통증의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조사를 진행 중이다. 코코니노카운티 보건국 측은 이번 사태를 위장 질환이라고 규정할 뿐, 정확한 피해 규모를 집계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발생 지역이 카운티 관할권 밖인 인디언 보호 구역이기 때문이다. 이에 연방 인디언보건서비스 측은 지난 13일 환경 보건 담당관을 하바수파이 보호 구역에 파견해 위장 질환 발병 원인을 조사 중이고, 확산을 막기 위한 조치도 취했다고 밝혔다. 또한, 보호 구역 내 클리닉에서 환자들에게 필요한 치료를 제공 중이라고도 전했다. 한편, 이번 사태로 구조헬기가 급파돼 환자들을 이송하기도 했다. 하바수파이 폭포는 차량 진입이 불가능하고 도보 혹은 말을 타고 갈 수 있는 곳이다. 도보 이동이 불가능할 정도로 상태가 심각했던 일부 환자는 구조헬기를 통해 인근 병원으로 이송됐다. 김경준 기자그랜드캐년 폭포 위장 환자 그랜드캐년 국립공원 폭포 인근
2024.06.16. 19:25
클리블랜드 국유림의 인기 하이킹 코스인 '쓰리 시스터즈 폭포(Three Sisters Falls)'가 트레일명을 '차차니 하무크'로 바꾸고, 등산객의 편의와 안전을 위해 환경을 대폭 개선했다. 샌디에이고 지역에서 가장 인기 있는 하이킹 코스 중 하나인 이곳은 특히 트레일 끝에 계단식으로 이어지는 3개의 폭포가 유명한데 폭포의 영상이나 하이킹 후 물속으로 뛰어드는 모습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알려지면서 방문객도 증가하는 추세다. 트레일 자체는 난도가 높지 않아도 매년 추락사고나 익사사고가 한두 건씩 발생하고 일사병 신고도 빈번해 안전사고면에서 요주의 트레일이다. 이에 따라 미 산림청은 트레일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보강하기 위해 최근 트레일헤드에 주차장과 화장실 등 편의 시설을 신축하고 경사가 가파른 곳은 완만한 트레일을 따로 내 위험성을 크게 줄였다. 또 헬리콥터 착륙장, 산불진화용 지하 물탱크 등 재해대비책도 강화했다. 한편 산림청과 쿠메야이 토지보존회는 이 지역이 쿠메야이 부족의 성지였음을 기리고 부족의 역사와 존재를 인정하는 의미에서 트레일 명을 '차차니 하무크(쿠메야이 언어로 세자매)'로 변경했다. 시스터즈 폭포 쓰리 시스터즈 유명 폭포 최근 트레일헤드
2024.05.30. 2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