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뉴저지 푸드스탬프 사기 주의보

뉴저지주에서 푸드스탬프 프로그램(SNAP) 카드를 사용하는 저소득층이나 노인층을 대상으로 신원정보를 탈취하거나, 수혜자가 아님에도 불법으로 식품을 구입해 이익을 취하는 사기 사건이 일어나고 있어 주의가 요망된다.   데이터 분석 및 보안 회사인 렉식스넥식스(LexisNexis Risk Solutions)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현재 뉴저지주에서 82만5000명 정도가 푸드스탬프 프로그램 혜택을 받고 있다. 이들 수혜자들은 6개월 기준으로 총 40억 달러 상당의 빵·우유 등 식품을 구입하고 있는데, 사기 또는 불법행위로 인해 수혜자 본인이 아닌 사기범 등이 가져가는 부당이익의 총액은 무려 1억6000만 달러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들어 연방 및 자치단체 정부가 제공하는 각종 사회복지·실업·연금·지원금 등을 대상으로 한 사기 사건이 많아지고 있는데, 사기범들의 대다수는 미국이 아닌 러시아·중국·나이지리아·루마니아 등 외국에 거주하면서 인터넷·전화 등을 이용해 미국인들에게 피해를 입히고 있다.   렉식스넥식스가 밝힌 푸드스탬프 사기 사건 유형은 두 가지로, 하나는 소규모 식품판매업소 업주들이 카드 결제기에 일명 ‘스키머(skimmers)’로 불리는 정보인식 장치를 몰래 설치해 비밀번호 등을 빼낸 뒤 이를 범죄조직에 넘기는 것이다.   또 e메일·전화·텍스트 등으로 푸드스탬프 수혜자에게 “당신의 카드 사용이 중지됐는데, 카드를 다시 쓰려면 비밀번호 등을 알려줘야 한다”고 속여 정보를 빼낸 뒤 식품을 불법 매입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푸드스탬프 사기사건이 빈발하는 데는 정부 책임이 있다는 지적도 있다.   우선 푸드스탬프 프로그램 운영 시스템의 노후화로 아직까지 대부분 카드를 결제할 때 칩 대신 마그네틱 바를 긁어서 사용해야 하고, 업소에서는 본인 확인을 하지 않고 있다. 또 노인아파트·요양원·치료시설 등에 거주할 경우에는 다른 수혜자의 편의를 위해 카드를 최대 50장까지 한꺼번에 사용할 수 있게 허용하고 있다.     한편 푸드스탬프 사기를 막기 위한 요령을 포함해 프로그램 가입과 수혜 자격, ‘패밀리 퍼스트(Families First)’ 카드 발급 등 자세한 내용은 웹사이트(njhelps.org)를 참고하면 된다. 박종원 기자 [email protected]푸드스탬프 뉴저지 푸드스탬프 사기사건 뉴저지 푸드스탬프 푸드스탬프 수혜자

2023.01.31. 21:3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