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이 신규 식료품 배달 구독 서비스를 출시했다. 23일 아마존은 프라임회원과 푸드스탬프(SNAP) 수혜자 대상으로 아마존프레시, 홀푸드마켓 및 지역 식료품점 등에서 35달러 이상 주문 시 무료 배송을 제공하는 구독서비스를 발표했다. 월 구독료는 프라임회원의 경우 월 9.99달러, 푸드스탬프 수혜자의 경우 월 4.99달러다. 특히 푸드스탬프 수혜자는 아마존 프라임 회원이 아니어도 된다. 업체는 전국 3500여개의 도시에서 구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소비자는 30일 무료 체험 기간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 이 서비스는 추가 비용 없이 1시간 이내 배송, 무제한 30분 이내에 매장 픽업, 원하는 시간에 필요한 식료품 미리 주문 등의 혜택이 있다. 업체는 “일반 배송 비용이 9.95~14.95달러인데, 배송 서비스를 한 달에 한 번만 이용해도 돈을 아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하은 기자 [email protected]아마존 프라임회원 푸드스탬프 수혜자 식료품 배달 배송 서비스
2024.04.23. 22:51
앞으로 푸드스탬프(SNAP) 수혜자들이 뉴욕주에 등록된 파머스마켓을 이용할 때 제공되는 혜택이 크게 늘어난다.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는 13일 푸드스탬프 수혜자를 위한 파머스마켓 이용 혜택을 크게 늘리는 '프레시커넥트 프레시투유'(FreshConnect Fresh2You)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푸드스탬프 수혜자가 EBT카드로 파머스마켓에서 쇼핑하면, 2달러를 쓸 때마다 2달러짜리 '프레시커넥트' 체크를 받을 수 있다. 이 체크는 또다시 파머스마켓에서 쓸 수 있다. 당초 뉴욕주는 5달러를 쓸 때마다 2달러 체크를 제공했지만, 혜택을 크게 늘린 것이다. 뉴욕주에서 운영하는 파머스 마켓, 농장 가판대 또는 모바일 마켓에서 식품을 판매하는 모든 판매자는 이 프로그램에 별도 참가비 없이 참여할 수 있다. 혜택 확대는 오는 15일부터 시작된다. 현재 뉴욕주에는 400개 이상의 파머스 마켓, 250개의 농장 가판대 및 10개의 모바일 마켓이 있다. 거주지역 인근 파머스마켓은 웹사이트(https://agriculture.ny.gov/farmersmarkets)에서 확인 가능하다. 김은별 기자푸드스탬프 파머스마켓 파머스마켓 이용 푸드스탬프 수혜자 이용 혜택
2023.04.13. 21:00
뉴저지주에서 푸드스탬프 프로그램(SNAP) 카드를 사용하는 저소득층이나 노인층을 대상으로 신원정보를 탈취하거나, 수혜자가 아님에도 불법으로 식품을 구입해 이익을 취하는 사기 사건이 일어나고 있어 주의가 요망된다. 데이터 분석 및 보안 회사인 렉식스넥식스(LexisNexis Risk Solutions)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현재 뉴저지주에서 82만5000명 정도가 푸드스탬프 프로그램 혜택을 받고 있다. 이들 수혜자들은 6개월 기준으로 총 40억 달러 상당의 빵·우유 등 식품을 구입하고 있는데, 사기 또는 불법행위로 인해 수혜자 본인이 아닌 사기범 등이 가져가는 부당이익의 총액은 무려 1억6000만 달러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들어 연방 및 자치단체 정부가 제공하는 각종 사회복지·실업·연금·지원금 등을 대상으로 한 사기 사건이 많아지고 있는데, 사기범들의 대다수는 미국이 아닌 러시아·중국·나이지리아·루마니아 등 외국에 거주하면서 인터넷·전화 등을 이용해 미국인들에게 피해를 입히고 있다. 렉식스넥식스가 밝힌 푸드스탬프 사기 사건 유형은 두 가지로, 하나는 소규모 식품판매업소 업주들이 카드 결제기에 일명 ‘스키머(skimmers)’로 불리는 정보인식 장치를 몰래 설치해 비밀번호 등을 빼낸 뒤 이를 범죄조직에 넘기는 것이다. 또 e메일·전화·텍스트 등으로 푸드스탬프 수혜자에게 “당신의 카드 사용이 중지됐는데, 카드를 다시 쓰려면 비밀번호 등을 알려줘야 한다”고 속여 정보를 빼낸 뒤 식품을 불법 매입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푸드스탬프 사기사건이 빈발하는 데는 정부 책임이 있다는 지적도 있다. 우선 푸드스탬프 프로그램 운영 시스템의 노후화로 아직까지 대부분 카드를 결제할 때 칩 대신 마그네틱 바를 긁어서 사용해야 하고, 업소에서는 본인 확인을 하지 않고 있다. 또 노인아파트·요양원·치료시설 등에 거주할 경우에는 다른 수혜자의 편의를 위해 카드를 최대 50장까지 한꺼번에 사용할 수 있게 허용하고 있다. 한편 푸드스탬프 사기를 막기 위한 요령을 포함해 프로그램 가입과 수혜 자격, ‘패밀리 퍼스트(Families First)’ 카드 발급 등 자세한 내용은 웹사이트(njhelps.org)를 참고하면 된다. 박종원 기자 [email protected]푸드스탬프 뉴저지 푸드스탬프 사기사건 뉴저지 푸드스탬프 푸드스탬프 수혜자
2023.01.31. 21:31
뉴욕주정부가 공공 복지 프로그램 수혜자들의 권리를 보호하고 서비스 접근성을 강화하는 조치를 시행한다.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는 15일 공공 복지 프로그램 수혜자들의 권리를 고지하도록 해 투명성을 높이고, 기존 푸드스탬프(SNAP) 프로그램 이용자의 불편을 해소하는 내용의 패키지 법안에 서명했다. 호컬 주지사는 “뉴욕주민들이 팬데믹의 경제적 타격에서 회복하는 가운데 공공 복지 프로그램이 취약계층을 제대로 돕고 있는지를 확인해야 할 것”이라면서 “수혜자의 권리에 대해 알리고 푸드스탬프 이용의 편의를 높이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패키지 법안은 소셜서비스국(Office of Social Services)에 공공 복지 수혜자들의 기본 권리사항을 게시하도록 의무화하는 법안과 SNAP 프로그램 특정 수혜자의 경우 신용카드나 직불카드 형태의 전자식 푸드스탬프(EBT)를 복수로 발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법안으로 구성돼 있다. ◆수혜자 권리 게시 의무화 법안(S.3178A·A.5817A)=소셜서비스국은 공공 복지 지원 신청자의 권리를 웹사이트 등에 문서 형태로 게시해야 한다. 게시 내용에는 모든 혜택 및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는 권리, 긴급 지원을 요청할 수 있는 권리, 무료로 언어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는 권리, 선별 서비스와 특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권리, 모든 결정사항에 대해서 서면으로 통지를 받을 수 있는 권리 등을 포함해야 한다. 이에 대해 제임스 샌더스 주니어(민주·10선거구) 뉴욕주상원의원은 “지원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자신의 권리와 혜택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고 법안의 취지에 대해 설명했다. ◆복수의 전자 푸드스탬프 지급 법안(S.8972A·A.9749B)=푸드스탬프 수혜자에게 크레딧카드나 직불카드 형태의 전자 푸드스탬프(EBT)를 2장 지급하도록 해 편의성을 높이게 했다. 여태까지는 1장의 카드만 지급돼 수혜자들이 이용에 불편을 겪어왔다. 이 법안을 공동발의한 줄리아 살라자르(민주·18선거구) 뉴욕주상원의원은 “가족 구성원 여러 명이 한 장의 카드를 돌려가면서 사용했던 불편함을 해결하도록 한 것”이라면서 “소외계층이 느끼는 현실적인 답답함이 간단한 방법으로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장은주 기자 [email protected]뉴욕주 수혜 푸드스탬프 수혜자 공공 복지 수혜자 권리
2022.07.15. 2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