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브랜드 에바 전의 창립자이자 디자이너. LA카운티미술관(LACMA) 이사. LA에서 가장 화려한 행사 중 하나로 꼽히는 아트+필름 갈라 공동의장. 세계에서 가장 고급스러운 중식당 미스터차우를 수십 년간 이끌었던 경영자. 프리미엄 소주 브랜드 키소주(아래 사진)의 창립자. 그리고 뉴욕타임스가 붙여준 별명, LA의 문화 여왕. 오랫동안 LA 사교계에서 다양한 활동을 해온 에바 차우(한국명 전희경)를 수식하는 말은 끝도 없이 이어진다. 그는 최근 아시안 명예의 전당 헌액 대상자가 되며 수식어를 추가했다. 사업가로서 또 문화적 아이콘으로서 성공한 에바 차우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여러 수식어가 있지만 가장 잘 알려진 것은 LACMA 아트+필름 갈라의 공동의장일 것이다. 행사에 관해서 이야기를 들려준다면. “2010년대 초반, LACMA 영화 부분이 예산 부족으로 폐쇄될 위기였다. 그래서 예술과 영화가 만나는 행사를 통해 기금을 마련하기로 했다. 영화계를 나보다 더 잘 아는 사람이 필요하다 생각해 리어나도 디캐프리오에게 공동의장을 맡기고 둘이 운영해 오고 있다. 올해 13회를 맞이하는데 6000만 달러에 달하는 기금을 마련했고 명품브랜드 구찌가 공식 후원을 할 정도로 성장했다. 특히 나에게는 2022년 박찬욱 감독에게 상을 수여한 것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평소 박 감독의 팬이었기에 그의 예술적 성취가 인정받는 것이 매우 기뻤다.” -한인들에게는 키소주(KHEE Soju) 창업자로도 잘 알려져 있다. 소주 브랜드를 만든 이유가 무엇인가. “사실 18살 때 미국에 오고 난 다음에 한국과 교류가 별로 없었다. 하지만 화려한 사교계에 있으면서도 항상 한국문화를 그리워했다. 2006년부터 LACMA 이사직을 맡았고 이때부터 한국의 작가를 미국에 소개하기 위해서 한국을 자주 찾았다. 그제서야 한국 사람들이 얼마나 소주를 많이 마시는지 알게 됐다. 하지만 아쉬운 것은 좋은 자리에서 축하할 때는 소주가 아닌 와인이나 위스키를 마신다는 거였다. 축하할 때도 마실 수 있는 소주를 만들고 싶었다. 그래서 키소주를 만들었다.” -키소주는 이정재나 방탄소년단(BTS) 같은 셀레브러티들이 선택한 소주로 주목을 받으며 크게 성공한 것으로 알고 있다. 비결이 있다면. “난 럭셔리한 걸 좋아한다. 나에게 있어 럭셔리는 높은 가격을 가진 제품이 아니다. 유행을 타지 않고 오래 가는 게 진정한 럭셔리다. 오래 가는 제품이 되려면 제작자가 애정을 듬뿍 담아서 만들어야 한다. 나도 키소주를 만들 때 내 모든 걸 쏟아부었다. 생산공장 선정부터 디자인까지 모두 직접 했다. 럭셔리한 소주로 만들어져서 많은 사랑을 받는 것 같다. 출시 초반부터 ‘완판’을 기록해서 프리미엄이 붙는 일도 있었지만, 생산량을 빠르게 늘리지 않았다. 럭셔리 브랜드는 성장하는데 시간이 든다. 천천히 키워 나가고 있다.” -아시안 명예의 전당에 헌액됐는데 소감을 말해준다면. “항상 주류 사교계에서만 활동했기 때문에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나에게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을 하지 못했다. 하지만 이렇게 내가 한 사업과 활동을 ‘나와 닮은 사람들’이 인정해주니 깜짝 놀랐고 굉장히 기뻤다. 각별한 의미다.” -소주 브랜드 창립자로서 추천해줄 만한 LA지역의 식당이 있다면. “한국계 스타 셰프 아키라 백(한국명 백승욱)의 한식당 ‘AB스테이크’를 추천하고 싶다. 음식과 분위기 모두 최고다. 그리고 AB스테이크에서 키소주가 많이 팔린다. (웃음)” 조원희 기자럭셔리 소주 럭셔리 브랜드 소주 브랜드 프리미엄 소주
2024.10.13. 18:00
참이슬, 처음처럼, 굿데이, 금복주, 한라산, 참순, 대선, 참, 잎새주, 맑을수록…. 모두 한인마켓에서 팔리고 있는 소주의 이름들이다. 이 밖에도 프리미엄 소주와 과일 향을 첨가한 소주까지 합치면 가짓수가 무려 50여 가지에 이른다. 지난 2021년 한국 소주의 대미 수출액은 약 2215만 달러에 달한다. 미국 증류주 수입시장에서 소주의 시장 점유율은 약 0.6%로 전체 국가 중 4위를 기록했다. 수입된 소주 대부분은 한인들이 소비하고 있다. 한인 1.5와 2세들은 소주를 응용한 칵테일로 만든 캔 소주를 개발해 판매 중이기도 하다. 한인들의 소주 소비는 지난 1999년을 기점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지난 1998년 가주 정부의 소주 합법화 법안을 의결함에 따라 리커스토어 등에서만 판매되던 소주가 일반음식점에서 판매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 덕에 한 해 소주 1000만병이 미국에 수입되기에 이른 것이다. 그야말로 소주 전쟁이다. 김상진 기자포토르포 김상진 가주정부의소주 합법화 소주 소비 프리미엄 소주
2023.02.17. 1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