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피부암 괴담, 당신을 노린다… 암센터 전문의의 '진짜' 경고

 BC 암센터 전문의에 따르면, BC주 주민 5명 중 1명은 평생에 한 번 피부암을 겪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늘을 찾고, 모자를 쓰고,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라는 캠페인에도 불구하고 지난 30년간 피부암 발병률은 꾸준히 증가해왔다.       BC 암센터의 피부 종양 전문의이자 BC 아동병원 피부과 의사, UBC 피부과 교수로 재직 중인 수닐 칼리아 박사는 매년 발생하는 피부암 환자 수가 다른 모든 종류의 암 환자를 합친 것보다 많다고 밝혔다.       발병률 증가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다. 사람들이 햇빛에 더 많이 노출되기 때문일 수도 있고, 환자와 의사들이 암을 더 잘 발견하게 되었기 때문일 수도 있다. 하지만 최근 몇 년 사이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들 사이에서 태양이 아닌 자외선 차단제 속 화학물질이 암을 유발한다는 주장이 퍼지는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칼리아 박사는 자외선 차단제가 지난 30\~40년간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여러 연구를 통해 그 안전성이 입증되었다고 강조했다.       자외선 차단제는 크게 '화학적 차단제'와 '물리적 차단제' 두 종류로 나뉜다. 두 종류 모두 자외선을 흡수하여 열로 변환시켜 유해한 광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한다. 화학적 차단제는 탄소 기반 성분을 사용하며 '유기자차'라고도 불린다. 여기서 '유기'는 특정 농약 없이 재배된 유기농 식품과는 다른, 탄소 기반을 의미하는 화학 용어다. 이 성분들은 캐나다 보건부에서 의약품으로 분류되어 제품에 의약품 식별 번호가 표시된다.       물리적 차단제는 '무기자차'라고도 하며, 산화아연과 이산화티타늄 성분을 사용한다. 보건부는 이 성분들을 천연 제품으로 분류하며, 제품에는 천연 제품 번호(NPN)가 표시된다. 두 종류의 성분이 모두 포함된 제품에는 두 가지 번호가 모두 있을 수 있다.       칼리아 박사는 두 종류 모두 피부암 예방에 똑같이 효과적이라며,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이 좋아해서 매일 꾸준히 바를 수 있는 제품을 찾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화장품 화학자이자 과학 커뮤니케이터인 미셸 웡 역시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두 제품의 차이점을 상세히 설명하며 둘 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일부 사람들이 화학적 차단제가 "독성"이 있다고 주장하는 근거는 주로 2001년 연구에서 비롯되었는데, 당시 과학자들은 쥐의 식수에 고농도의 옥시벤존을 투여해 위험성을 발견했다. 하지만 2016년 후속 연구에 따르면, 사람이 이와 유사한 위험 수준에 도달하려면 227년 동안 매일 전신에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칼리아 박사는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고 햇빛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의 이점은, 사실상 신화에 불과한 위험성보다 훨씬 크다"며, 의심스러울 때는 인플루언서가 아닌 전문가를 신뢰하라고 조언했다. 캐나다 피부과 협회의 인증 마크가 있는 제품을 찾는 것이 쉬운 방법이다.       피부암 위험에 노출되는 대상은 모든 사람이다. 칼리아 박사는 피부색이 어둡거나 머리카락이 검은 사람을 포함해 모든 사람이 자외선 지수(UV index)가 3 이상일 때는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야 한다고 말한다.       자외선 지수는 캐나다에서 개발된 측정 기준으로, 대부분의 날씨 앱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보건부에 따르면 밴쿠버의 평균 자외선 지수는 2월부터 10월까지 "보통"에서 "매우 높음" 수준이므로 "가능한 한 피부를 보호해야" 한다.       피부암은 예방 가능성이 가장 높은 암 중 하나라는 점이 다행이다. 칼리아 박사는 햇빛이 가장 강한 오전 11시부터 오후 3시 사이에는 실내나 그늘에 머물고, 외출 시에는 챙이 넓은 모자나 긴 소매 옷을 착용하라고 권고했다. 의도적으로 피부를 태우는 행위는 피해야 한다. 노출되는 모든 피부에 SPF 30 이상의 자외선 차단제를 듬뿍 발라야 한다.       얼굴, 목, 귀를 덮기 위해 최소 1티스푼, 몸의 나머지 부분을 덮기 위해 약 30ml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땀을 흘리거나 수영을 한 후에는 더 자주 덧바르는 것이 이상적이다.       피부암 자가 진단을 위해서는 캐나다 암 협회가 권장하는 'ABCDE 규칙'을 따르는 것이 좋다. 점검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A(Asymmetry): 비대칭 모양의 점       △B(Border): 경계가 불규칙한 점       △C(Color): 색이 균일하지 않은 점       △D(Diameter): 직경이 6mm보다 큰 점       △E(Evolving): 지난 몇 달간 색, 크기, 모양, 느낌이 변한 점       칼리아 박사는 4~6주 안에 정상적으로 아물지 않는 상처가 있거나, 몸의 다른 점들과 달라 보이는 새로운 점이 생기거나 변화가 있을 경우 의사의 진찰을 받을 것을 당부했다.     밴쿠버 중앙일보전문의 암센터 피부암 환자 피부암 발병률 자외선 차단제

2025.07.18. 12:19

썸네일

조지아 '흑색종' 발병률 높다

뜨거운 태양빛 과다 노출 탓   조지아주에서 피부암의 일종인 흑색종 발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암연구소(NCI)가 발표한 2016~2020년 흑색종 진단 현황에 따르면, 조지아는 인구 10만 명당 흑색종 발병률이 25.1명으로 전국 19번째로 높다. 연 평균 2869명이 흑색종 진단을 받는 셈이다.   흑색종 발병률 전국 평균은 인구 10만 명당 22.5명이다. 조지아와 인접한 노스 캐롤라이나(25.7명)와 플로리다(25.4명) 모두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흑색종은 피부암 환자 중 1%에 불과하지만, 사망자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장 치명적인 피부암이다. 2015년 이래 매년 2~3%씩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50세 이상 고령층에서 잦게 발생한다. 미국암학회(ACS)는 올해 흑색종을 새롭게 진단받는 환자가 전국 10만 640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99세의 지미 카터 전 대통령 역시 흑색종 피부암을 앓다가 지난해 2월 연명치료를 중단하고 현재 호스피스 돌봄을 받고 있다.   흑색종 외에도 기저세포암, 편평세포암 등 피부암은 대개 햇빛에 과다 노출돼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색을 결정하는 멜라닌 세포가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때문에 유색 인종보다는 백인에게서 흑색종이 더 흔하게 발생한다. 실제 2019년 기준 조지아 내 흑색종 진단 환자의 97%가 백인이다.   하지만 어두운 피부색이 피부암 전조 증상 진단을 어렵게 만들고, 유색인종 집단의 피부암 위험성 인식이 낮다는 점에서 흑인의 5년 생존율(66%)이 오히려 백인(80%)보다 턱없이 낮다고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기후위기로 조지아의 여름철 태양빛이 더욱 강해지면서 흑색종 위험이 더 커질 수 있다고 본다. 대기 오존층이 파괴돼 자외선 노출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조지아는 지난 22일 낮 최고 기온이 화씨 98도를 기록, 역대 최고 일일 평균 기온을 기록했다. 헨리 림 전 피부과학회 회장은 "정기적으로 야외 직사광선에 노출되는 이들의 흑색종 위험이 가장 높다"며 "자외선 차단제를 수시로 덧바르고 야외에서 모자를 착용해야 한다"고 전했다.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조지아 피부암 흑색종 발병률 피부암 환자 흑색종 진단

2024.06.27. 14:1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