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잠망경] 피자와 막대기

병동의 규칙을 언급하면 묵묵부답. 그러나 피자를 화제로 삼으면 모두의 표정이 환해지는 금요일 오후 그룹 세션이다. 우리는 왜 규칙 따위에는 관심이 없고 피자라면 금세 기분이 좋아지는가.   피자 냄새와 맛이 연상되는 순간 후각과 미각이 합쳐져서 감각적 본능을 강하게 자극하는 것이다. 리처드가 묻는다. 한국인들도 피자를 좋아합니까. 토핑으로 무엇을 얹어 먹습니까.   ‘pizza’는 ‘피쩌’라 발음하면 어쩐지 공격적으로 들린다. 경음을 피하고 ‘피자’, ‘자장면’이라 하면 맥없이 부드러운 기분이다. ‘noodle, 국수’, ‘chop suey, 잡채’ 같은 발음도 다분히 여성적이다.   납작한 빵을 뜻하는 히브리어 ‘pita’와 그리스어 ‘petta’는 ‘pizza’와 말뿌리가 같다. ‘피쩌’는 전인도유럽어의 쪼가리(bit) 또는 깨물다(bite)에서 유래했다는 학설이 유력하다. 그래서 ‘pizza’, 하면 은연중 공격적으로 들리는 게 아닐지 몰라.   병동규칙으로 화제를 되돌린다. 운전할 때 속도제한 규칙을 무시하면 어찌 되느냐. 교통사고가 일어납니다. 차선을 지키지 않고 깜박이도 켜지 않고 함부로 질주해도 마찬가지다. 그러니 샤워를 하고, 남의 방에 몰래 들어가지 말고, 기타 등등 병동규칙, ‘rule’을 잘 지켜야 한다.   ‘rule, 규칙’이라는 명사는 ‘regular, 규칙적인’이라는 형용사와 어원이 같다. 12세기경 고대 불어로 질서, 그리고 라틴어에서 ‘straight stick, 곧은 막대기’라는 뜻의 명사로 쓰였다. 이 컨셉을 현대언어로 풀어쓰면 ‘직설(直說)’에 해당한다.   ‘rule’은 동사로 ‘규칙을 강요하다’라는 의미였고 15세기에 들어서서 남들을 지휘, 지배한다는 뜻으로 변천했다. 심포니 지휘자가 춤추듯 휘두르는 지휘봉도 곧은 막대기다. 오케스트라 멤버들이 연주하는 소리의 강약과 호흡을 통솔하는 센스가 있는 지휘자가 바람직하지. 이 비유는 음악 외에 일국의 정치에도 적용된다. 전 국민을 지휘하는 통치자의 고민(苦悶)이 느껴진다. 쓸 苦. 답답할 悶.   환자를 다루는 능력과 기술이 미흡한 직원들이 고민하는 광경을 곧잘 목격한다. 나를 위시하여 완벽한 병동직원이 되는 것은 완벽한 통치자가 되는 것만큼이나 불가능한 일이다. 환자도 직원도 하나같이 고생하는 나날이 겹치기도 한다.   고민뿐만 아니라 고생(苦生)의 ‘고’ 또한 ‘쓸 苦’. 피자처럼 미각(味覺)적인 표현이다. 직역하면 ‘bitter life’인데 그런 말은 없고 ‘hard life’라는 관용어가 있다. 딱딱한 인생은 촉각(觸覺)의 차원이다. 우리는 인생을 맛보고 서구인들은 인생을 만진다는 차이점이 좀 재미있다. ‘재미’ 또한 자미(滋味)가 변한 미각적 발상이다.   한국 피자에 관심이 많은 ‘리차드’도 재미있는 이름이다. 원래 ‘Richard’는 ‘rich+hard’라는 두 단어의 합성어였다. 고대에서 현대까지 ‘rich’는 부유하다는 뜻 외에 강하다는 의미도 있다. 리차드는 세차고 딱딱하게 경직된 폭군처럼 강한 지배자라는 뜻으로 통했던 것이다.   ‘Richard’의 애칭은 ‘Dick.’ 소문자로 쓰면 일반명사가 되는데 ‘dick’은 음경이라는 품위 있는 말의 비속어로 쓰인다. 슬랭으로 ‘He is a dick’이라 하면 우리말로 ‘걔는 싸가지 없는 놈이야’라고 훌륭하게 번역할 수 있겠다. 어쩌다 참, ‘강력한 지배자’가 ‘싸가지 없는 놈’이라는 모욕적인 표현으로 변했는지, 어원학의 재미가 보통 재미가 아니다. 서량 / 시인·정신과 의사잠망경 막대기 피자 한국 피자 rule 규칙 심포니 지휘자

2024.06.11. 18:52

썸네일

피자도 찍어 먹는다, 미국 홀린 한국 매운맛

K푸드 인기가 고공행진 중인 가운데 매운 라면·핫소스 등 판매가 호실적을 보이며 한인마켓 업계는 매운맛 전성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물가상승으로 소비 지출이 둔화하고 있지만 매운맛 제품의 판매는 꾸준히 상승 중이라는게 업계가 전하는 말이다.     한 마켓업계 관계자는 “팬데믹 이후 매운 라면 판매가 급증해 라면 전체 매출의 20~25%를 차지한다”며 “매운맛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열풍이 Z세대 사이에서 퍼지며 하나의 문화로 자리를 잡게 된 매운맛 챌린지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한인마켓에서 매출이 높은 대표적인 매운맛 제품은 라면과 핫소스다.     매운 라면 인기는 농심 신라면, 오뚜기 열라면, 팔도 틈새 라면으로 시작돼 2012년 삼양 불닭볶음면 출시로 물꼬를 텄다. 불닭볶음면이 인기를 얻으며 부재료를 섞어 다른 색다른 맛을 즐길 수 있는 레시피가 봇물 터지듯 쏟아졌다. 현재 한인마켓에서 판매 중인 불닭볶음면은 치즈, 짜장, 까르보, 미트 스파게티 등 10여 개로 늘어났다.     불닭볶음면으로 매운맛 체험이 쌓이면서 매운 라면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치도 높아졌다. 특히 더 강렬한 매운맛의 라면을 즐기기 위해 마늘, 후추, 캡사이신, 청양고추, 스리라차 등 부재료를 라면에 넣는 소비자가 많아지는 추세다.     이런 소비자들의 니즈에 맞춰 삼양식품은 최근 한국에서 매운 국물 라면 브랜드인 ‘맵탱’을 출시하고 더 매운 국물 라면 시장 공략에 나섰다. 이에 질세라 오뚜기는 마열라면을 내놨다. 열라면의 후속 상품으로 마늘과 후추 맛을 더해 매운맛을 한층 업그레이드했다는 평가다. 농심은 신라면보다 두 배 매운 한정판 제품 신라면 더 레드로 매운 라면 시장 전쟁에 뛰어들었다. 신라면 더 레드는 매운맛을 측정하는 스코빌 지수가 신라면의 2.2배다. 한 업계 관계자는 “매운 라면 수요가 증가해 한국에서 출시한 매운 라면 신제품 물량을 타진 중이라며 매운맛 제품이 매출 효자 상품”이라고 말했다. 삼양식품의 경우, 해외 매출의 80% 이상이 불닭 브랜드에서 나오고 있다.     시온마켓 버몬점 잔 윤 점장은 “삼양 식품의 불타는 고추짜장, 불타는 고추 짬뽕 등 신제품 판매가 시작됐다”며 “판매 중인 팔도 불짬뽕, 수라상 춘하추동 불밀면, 수라상 마라탕 우동면, 팔도 비빔면 매운맛, 동원 얼큰 칼국수 등 강력한 매운맛으로 소비자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고 설명했다.     더 매운맛 전쟁 2라운드는 소스류다. 한인마켓에는 삼양 불닭소스, 청우 캡사이신 매운맛 소스, 팔도 틈새소스, 이슬나라 캡사이신 등 10여 종류가 넘는다.     고추기름보다 더 매운 캡사이신 소스는 라면, 순두부, 짬뽕, 해물찜 등 요리에 칼칼하고 화끈한 매운맛을 더해 매운맛 마니아들 사이에 호응을 얻고 있다.     고추장보다 더 매운 맛 소스를 찾는 고객이 늘면서 시온마켓 버몬점은 핫소스 섹션을 별도로 마련했고 H마트도 핫소스 선반을 마련했다.     한 마켓 관계자는 “유튜브,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핫소스 먹방이 퍼지면서 한인마켓에서 구매로 이어지고 있다”며 “프라이드치킨, 김밥, 만두, 심지어 피자 등을 찍어 먹는 디핑 소스로 활용한다”고 설명했다.       매운맛을 즐기는 타인종 증가는 대미 수출 실적에서 엿볼 수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LA지사에 따르면 올 1월~7월까지 매운맛의 대표 식품인 김치, 고추장 등의 미국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늘었다. 동기간 고추장과 김치의 전년 동기 대비 수출 금액 증가율은 각각 29.8%와 31.3%나 됐다.     또한 매운맛 라면의 수출 호조로 라면 전체 수출액도 늘었다는 게 aT LA의 설명이다. 올 1~7월까지 라면 수출액은 6975만5000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5325만8000달러보다 31%나 더 많았다.     김민호 aT LA 지사장은 “올해 상반기 미국 농수산 식품 수출 실적에서 매운맛 라면, 떡볶이, 김치, 고추장 등 매운맛 식품군 수출이 큰 폭으로 늘었다”며 “K드라마와 유튜브 영상을 통해 매운맛 식품들이 꾸준하게 노출되면서 타인종의 관심도 높다”고 말했다. 이은영 기자 [email protected]미국 피자 한인마켓 업계 삼양 불닭볶음면 마켓업계 관계자

2023.08.27. 18:00

썸네일

[시카고 사람들] ‘피자의 달인’ 지미 강

시카고에 유명한, 소문난 피자 가게, Jimmy’s Pizza Café 대표, 지미 강(37•사진).   최고의 평점과 찬사를 받고 있는 피자가게를 방문한 손님들은 젊은 한인 2세 오너의 모습에 놀라움과 믿을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인다. 그만큼 피자 사업은 한인에게 잘 어울리지 않는 생소하고 어려운 분야이지만 강 대표는 예리한 시장 분석과 기발한 아이디어로 비즈니스에 도전했다.   시카고 북부 한인타운 링컨길에 가게를 오픈한 것이 지난 2011년 7월. 딥디쉬 피자가 대세인 시카고에서 뉴욕 스타일로 승부하겠다는 그의 사업 전략은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고객들의 호응과 주류사회 각종 미디어로부터 호평을 받으며 나날이 성장했다.   어린 시절부터 좋아하며 즐겨 먹던 피자, 요리하는 것을 즐긴 그는 새롭고 맛 있는 피자를 만들기 위한 메뉴 개발에 많은 노력과 정성을 기울인다. 그는 “피자는 경제적 차별 없이 부자나 가난한 사람이나 남녀노소 누구나 먹을 수 있는 음식, 여러 명이 함께 같이 먹을 수 있는 음식”이라고 설명했다.   최고의 피자를 손님들에게 서비스하겠다는 그의 열정은 비용에 관계없이 이탈리아산 밀가루와 토마토 소스, 오가닉 고기 등을 고집하고 있다.   그는 “정직한 재료로 맛 좋은 피자를 만드는 진솔한 요리사가 되고 싶다”고 말한다.   지난 2017년부터 사업이 매년 40% 이상 지속적으로 성장하며 바쁜 시간을 보내던 중 겪은 코로나 팬데믹은 모든 면에서 힘든 시간이었지만 오히려 배달 서비스를 갖춘 비즈니스로 다시 도약하는 시간이 됐다.     원래 있던 곳의 부동산 개발로 인해 지난 3월 현재의 시카고 북부 몬트로즈길로 확장, 이전했다. 예전 장소(1천 스퀘어피트)에서는 피자를 하루 평균 400개 만들었지만, 지금 가게(7천 스퀘어피트)에서는 매일 1000개를 만드는 규모로 성장했다.   가게 운영에 있어 직원이 소중하다고 강조하는 그는 채용할 때 동료로서 융화되어 한 팀으로 일할 수 있는지 성격을 본다며, 열심히 함께 일할 수 있는 좋은 환경을 만드는데 신경을 쓴다고 말한다. 바쁜 하루를 마친 피곤한 직원들을 위해 가게 청소는 전문 용역 회사에 맡기는 등 그의 남다른 경영마인드를 엿볼 수 있다.   “죽도록 한다. 끝까지 한다”는 각오로 11년동안 그의 열정을 담아 온 피자 가게의 괄목할 성공은 이제 미 주류사회의 큰 손들이 찾아 와 투자를 하겠다며 동업을 제안하거나 프랜차이즈 사업을 제안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한다.     시카고에서 태어나 호프만 에스테이츠 고교를 졸업한 그는 학창 시절 레슬링과 육상 3종 경기 선수로 주 대회까지 나갈 정도로 운동을 좋아했다.     강 대표는 “시카고 분들은 착하고 친절하다”며 고향, 시카고에 대한 각별한 애정을 과시했다.     박우성 위원시카고 사람들 피자 지미 대표 지미 시카고 북부 고향 시카고

2022.09.09. 13:38

썸네일

'리틀 시저스' 피자 가격 인상…대표 메뉴 5.55불로 11%↑

유명 피자 체인점 리틀 시저스가 팬데믹 영향으로 25년 만에 가격 인상에 나섰다.   포브스는 리틀 시저스가 팬데믹 비대면 트렌드로 큰 성공을 거둔 5달러짜리 핫앤레디 피자의 가격을 지난 3일부터 55센트 인상했다고 보도했다.   지난 1997년 판촉용 메뉴로 선보인 핫앤레디 피자는 처음으로 11%가 인상되면서 페퍼로니가 33% 더 추가된다.   리틀 시저스의 데이브 스크리바노 대표는 페퍼로니 가격이 팬데믹 기간 중 50% 이상 급등했기 때문에 인건비와 원자재 가격 상승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가격을 인상했다고 밝혔다.   리틀 시저스는 지난 2019년 고객들이 QR코드를 스캔해 피자를 픽업할 수 있는 피자 포털 시스템을 선보인 데 이어 팬데믹 시작 직전인 2020년 1월에 배송 서비스를 하면서 지난해 기록적인 매출 호조를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박낙희 기자피자 리틀 시저스 피자 포털 가격인상 박낙희 NAKI

2022.01.04. 20:18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