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애틀랜타 다운타운에선 "조심, 또 조심!"

애틀랜타 다운타운 피치트리 스트리트에서 지난 2월 보행자가 길을 건너다 차에 치여 사망한 데 이어 18일 또 한 명의 보행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시민들은 2026년 월드컵을 대비해 시 당국이 도로 재포장보다 도심 안전 강화에 더 집중해야 한다고 촉구한다.   지난 18일 일요일 오전 앨라배마 출신 마이클 크랩트리(71) 씨는 피치트리 스트리트와 베이커 스트리트를 건너던 중 검은색 승용차에 치여 사망했다. 지난 2월 아메리카스 마트에서 피치트티센터로 향하던 67세 상인이 사망한 현장에서 불과 몇 블록 떨어진 곳이다.   사망한 크랩트리 씨가 횡단보도를 건너던 중이었는지, 아니면 횡단보도에서 약 10피트(약 3미터) 떨어진 곳에서 차에 치였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보행자 안전을 위한 비영리단체 ‘프로펠ATL’의 레베카 세르나 대표는 애틀랜타 저널(AJC)에 “크랩트리씨가 횡단보도 안에 있었는지, 밖에 있었는지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고 일축했다. 그는 “대부분의 횡단보도는 자연스러운 횡단 위치에 있는 대신, 차를 ‘헤치고 지나가는 데’ 집중돼 있어 사람들이 횡단보도를 이용하지 않는 것은 당연하다”고 주장했다.   존 피셔 애틀랜타 다운타운협회(ADNA) 회장은 3달새 일어난 2건의 사망사고가 모두 피치트리, 베이커, 엘리스 스트리트 사이 구간에서 발생해 특히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이 구간은 교통 체증과 통행량을 줄이기 위해 시 당국이 시범 프로그램을 운영하던 곳이다.   해당 프로젝트는 ‘피치트리 셰어드 스페이스’라는 이름으로 2021년 3블록에 달하는 구간의 차량 통행량을 두 차선으로 줄이고 보행자와 자전거 전용 차선을 두 개 만들었다. 하지만 통근자들과 건물주들이 항의한 끝에 2022년 다시 4개 차선으로 바뀐 바 있다.   피셔 회장은 위 프로젝트를 언급하며 “만약 이런 계획이 있었다면 이 두건의 사망 사고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시장실에 피치트리 구간의 두 차선을 줄여줄 것을 촉구했다.   피셔 회장은 이어 시 측이 내년 여름 월드컵을 위해 도로 포장을 우선시하는 것이 실망스럽다며 “도심 도로를 재포장하는 것은 오히려 사람들이 더 빨리 운전하도록 부추길 뿐”이라며 보행자 안전을 우선시 하면 월드컵 방문자 상당수가 도보로 이동하며 혜택을 누릴 것이라고 주장했다.   시 의회는 지난해 도로포장, 가로등 설치, 보도 보수 등을 위해 1억2000만 달러 규모의 채권 발행을 승인했다   애틀랜타 교통부 대변인은 AJC에 이메일을 통해 도로 재포장으로 팟홀이나 균열과 같은 위험 요소를 제거하여 안전성을 크게 향상할 수 있다고 전했다. 또 “피치트리스트리트 안전 도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7월 초에 보행자 안전 개선 공사가 예정돼 있으며, 상당한 개선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전했다. 공사 시작 전에 시민 참여 회의도 개최할 예정이다. 윤지아 기자피치트리 스트리트 보행자 안전 피치트리쉐어드 스페이스 피치트리 구간

2025.05.22. 14:51

썸네일

피치트리 코너스서 자율주행 택시 운행 시작

  피치트리 코너스 시가 조지아주 최초로 자율주행 택시 운행을 시작한다. 지난해 9월 운전자가 동승하며 시험적으로 운행해온 택시를 6개월만에 무인으로 전환했다.   애틀랜타 비즈니스 크로니클(ABC)은 1일 미시간주의 자율주행 스타트업 ‘메이 모빌리티’가 최근 피치트리 코너스에서 자율주행 택시 운행을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이 회사가 상업용 자율주행차량을 운행하는 것은 조지아가 처음이다.   택시는 시청을 중심으로 호텔, 식당, 오피스 단지 등 주요 8개 거점을 순환하는 방식으로 운행한다. 메이 모빌리티 전용 애플리케이션(앱)을 이용해 부를 수 있다. 운행 시간은 월~금 평일 오전 9시반부터 오후 4시까지다. 택시로 사용되는 차량은 토요타의 미니밴 시에나로 최대 5인 탑승 가능하다.   회사 측은 피치트리 코너스 외에도 SR141 국도를 따라 인근 도시로 자율주행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이다.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피치트리 자율주행 피치트리 코너스 자율주행 택시 상업용 자율주행차량

2025.04.01. 14:36

썸네일

둘루스 PCH 케어센터에 크리스마스 기적 일어났다

재정난 폐쇄 위기서 50만불 모아 기사회생 한인들도 동참...재단 측 폐쇄 결정 뒤집어   치매 및 인지 장애 환자들을 전문으로 돌보는 둘루스의 비영리단체 피치트리 크리스천 헬스(PCH)는 지난달 말 재정적 압박으로 문을 닫을 위기에 처했지만, 후원금 50만 달러를 모아 위기를 넘겼다.     성인 데이케어 센터인 PCH는 올해 초부터 한국인 직원을 고용하여 한식을 제공하는 등 한인 시니어들도 돌보고 있다.   이사회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입은 재정난을 이유로 지난달 폐쇄를 발표했었다. 그러나 환자들과 그 가족들은 센터 폐쇄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직접 힘을 모아 위기를 극복하고자 했다. 이사회는 센터 존속을 위해 11월 30일까지 최소 50만 달러 후원금을 모아야 한다고 밝혔다.     센터 관계자들은 3주간 큰 금액을 구해야 한다는 말에 당황했지만, 열심히 홍보한 끝에 24개 주에서 475명의 후원자가 동참해 마감일인 30일 오전까지 목표보다 많은 59만 3900달러가 모였으며, 66명이 추가 후원을 약속했다. 후원에는 한인들도 상당수 후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PCH의 앤 맨시니 미디어 담당자는 "후원금 하나하나가 모든 것을 바꿔주었다. 그리고 지금도 계속 연락이 오고 있다"며 감사한 마음을 전했다.     이날 오전 PCH 재단 이사회는 특별회의를 소집해 폐쇄 결정을 만장일치로 번복했다.   재단 측은 "우리 모두 크리스마스의 기적이라고 말했다"며 오는 22일 성공적인 모금 결과를 기념하고자 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재단 측은 또 이번 위기를 발판 삼아 재정 안정성을 회복할 수 있는 비즈니스 플랜을 재정비할 것이라는 뜻을 밝혔다. 센터 존속을 위한 모금 운동은 끝났지만, 후원은 상시 할 수 있으며, 자원봉사 및 센터 지원에 관한 문의는 앤 맨시니 담당자에게 하면 된다.   ▶문의[email protected] 윤지아 기자피치트리 크리스천 피치트리 크리스천 센터 존속 비영리단체 피치트리

2022.12.05. 15:43

썸네일

피치트리 코너스서 폭죽 대신 '총기발포'

  독립기념일 연휴였던 지난 3일 피치트리 코너스에서 두명이 남성이 폭죽놀이 대신에 공중에 총을 발사해 체포됐다.   귀넷 카운티 경찰은 이날 두 남성 공중에 총을 쏘고 있다는 신고를 받고 피치트리 코너에 위치한 스프스 레인 지역으로 출동했다.     경찰이 도착했을 당시엔 노크로스 주민 로버트 캠벨-랜디(19)와 데빈 딩글(30)이 권총 몇 자루와 탄창, 90개의 발사된 탄약과 발사되지 않은 탄약을 보유하고 있었다.   두 사람은 경찰에 자신들이 공중에 총을 발포했다는 것을 시인했다. 이들은 즉시 체포됐고 현재 다른 이의 사유재산에 대한 위협적인 행위를 했다는 혐의로 기소된 상황이다.     애슐리 윌슨 귀넷 경찰 대변인은 4일 입장문을 내고 "귀넷 경찰은 모든 주민들이 안전하고 즐거운 휴일을 보내길 원한다"면서 "축하를 위한 총기발포는 주민들에게 위협적이고, 불법"이라고 강조했다. 박재우 기자피치트리 폭죽놀이 피치트리 코너스 폭죽놀이 대신 카운티 경찰

2022.07.05. 15:21

썸네일

스와니 피치트리 리지 고교서 총기 사진 유포

  한인 학생들이 다수 재학하고 있는 스와니 시의 고등학교에서 학생 4명이 소셜 미디어(SNS)에 권총을 든 사진을 유포해 물의를 빚고 있다.    현지언론 WSB TV는 18일 조지아주 스와니 시의 피치트리 리지 고등학교 이름이 적힌 권총 사진 여러 장이 SNS를 통해 유포됐다고 보도했다.   학교 화장실을 배경으로 권총이 촬영된 첫 번째 사진에는 학교 이름과 함께 "준비하라"는 문구가 적혀 있었다. 두 번째 사진에는 권총과 함께 "혼란을 일으키겠다"는 문구가 적혀 있었고, 학교 이름도 노출됐다.   이들 사진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스냅챗을 중심으로 급속히 유포됐다.   스와니 시는 한인들이 다수 거주하는 지역으로, 피치트리 리지 고등학교에는 한인 학생들이 많이 다닌다.     학교 당국은 조사를 통해 이 사건에 연루된 학생 4명의 신상을 파악했다고 밝혔다.   이 학교 재드 자루신스키 교장은 "우리는 이 사건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해당 학생들에게 징계 및 형사처벌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학교는 이날 수업을 중단하지는 않았으나 교내 경찰을 추가 배치하고 순찰을 강화했다. 그러나 상당수 학부모는 불안감에 자녀들을 조기 하교시켰다.   한 한인 학부모는 "이런 사건이 있었는데도, 학교는 수업도 중단하지 않고 학부모들에게 통보도 늦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연합뉴스    

2021.10.19. 15:30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