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총영사관 입주 ‘피치트리센터’ 매물로

주애틀랜타총영사관이 입주해 있는 피치트리센터가 매물로 나왔다. 2022년 압류매각된 지 3년만에 새 주인을 찾고 있다.   26일 애틀랜타 비즈니스 크로니클(ABC) 보도에 따르면 부동산 회사 JLL은 지난 14일 피치트리센터를 1억2100만 달러에 내놨다. 매각 대상은 연면적 250만0554스퀘어피트(sqft)의 7개 동 전체다. 고가 통로로 연결된 A급 오피스 빌딩 6개(마퀴즈 I·II, 225·229·233·235번지)와 지상 3층 규모 리테일상가 ‘더 허브’ 등이다. 전체 또는 부분 매입이 가능하다.   1974년 지어진 피치트리센터는 호가보다 낮은 가격에 팔릴 가능성이 크다. 빌딩마다 다르지만 사무실 점유율이 41%에 불과하고, 잔여 임대 기간도 평균 4.4년으로 짧기 때문이다. 빌딩 점유율은 2019년 72%, 2021년 55% 등으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마퀴즈 I빌딩은 점유율이 74%로 비교적 높아 3100만달러 가치를 인정받았지만, 225번지 빌딩은 점유율이 5%에 불과해 500만달러로 평가됐다. 총영사관이 입주해 있는 229번지 빌딩 가격은 오피스 절반(54%)이 차 있어 평가액이 2600만달러로 매겨졌다.   피치트리센터는 부동산 투자회사 반얀 스트리트 캐피탈이 2022년 1억2500만달러 대출 상환에 실패하면서 JLL로 소유권이 넘어갔다. 채무불이행에 빠진 건 2021년 28만7000스퀘어피트를 사용하던 앵커 테넌트(우량 임차인) 트루이스트 파이낸셜이 마퀴즈 I·II빌딩에서 떠나면서다. 현재 최대 테넌트는 원자력규제위원회(NRC)로 5만4000스퀘어피트를 사용하고 있다.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피치트리센터 영사관 피치트리센터 매물 연면적 250만0554스퀘어피트 사무실 점유율

2025.08.26. 14:55

썸네일

다운타운 피치트리센터 압류

  주애틀랜타총영사관이 입주해 있는 피치트리센터와 주변 사무실 건물 6개가 지난 6일 대출 기관에 의해 압류됐다. 이는 2008년 경기침체 이후 애틀랜타의 가장 큰 규모의 압류 중 하나인 것으로 나타났다.     피치트리센터는 60년대부터 다운타운 애틀랜타의 랜드마크로 이름을 알렸다. 150만 스퀘어피트 크기에 50개가 넘는 음식점과 상점이 입주해 있으며, 호텔 3곳이 고가 통로로 연결되어 있다.     마이애미에 본사를 둔 ‘반얀 스트릿 캐피털’이 2010년대 중반부터 피치트리센터를 소유했지만, 올해 부채 구조 조정 계약을 체결하지 못해 소유 부동산을 압류당했다. 애틀랜타 저널(AJC)은 “이날 압류 통지서에는 총 1억 4000만 달러가 넘는 부동산 목록이 명시되어 있었다”고 보도했다.     이날 진행된 경매는 ‘스투파’라는 회사가 ‘시터스AMC’ 사를 대신해 참가하여 1억 2750만 달러의 신용 입찰(Credit bid)을 제시하며 끝났다. 신용 입찰은 현금 입찰과 달리 부동산 소유주의 빚에 대한 권리를 받게 된다.   매각된 부동산에는 총영사관이 있는 229 피치트리와, 마르키 I, II 등 사무실 건물이 여럿 포함되어 있다. 건물의 소유권이 바뀌면서 이들에 대한 처우도 불확실해졌지만, 세입자의 임대가 만료되지 않았다면 소유권 변경에 대한 영향은 없다.     AJC는 피치트리센터가 압류된 원인으로 코로나19팬데믹 이후 사무실 공간에 대한 수요가 줄어든 것이 가장 크다고 분석했다.     재택근무와 하이브리드 근무 형태가 출현하며 회사는 사무실 규모를 줄이거나 아예 없애는 추세다. 부동산 서비스 회사인 ‘존스 랭 라셀’에 따르면 메트로 애틀랜타 사무실의 공실률은 6월 말 기준 21.3%로 집계됐다.     AJC가 입수한 재무 문서에 따르면 피치트리센터의 공실률은 2022년 초 기준 55%까지 떨어졌다.     윤지아 기자피치트리센터 다운타운 다운타운 피치트리센터 다운타운 애틀랜타 이날 압류

2022.09.06. 15:29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