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검진의 종교·철학 여행] 원죄 탓 하느님 은혜 없이 구원 못 받아
아우구스티누스는 원하는 것을 소유하면 행복할지를 질문한다. 가령, 다이아몬드를 차지했다면 진정으로 행복할지를 묻는 것이다. 그는 진정한 행복을 위한 두 가지 필수 요건이 있다고 한다. 첫째로, 그 대상 자체가 영원히 존재해야 하고, 둘째로, 다른 이가 빼앗을 수 없도록 우리와 필연적인 관계를 맺는 것이어야 한다고 한다. 다이아몬드는 깨질 수도 있고, 남이 훔쳐 갈 수도 있으니 두 가지 모두 충족시키지 못한다. 답은 신이라는 것이다. 그는 영원한 진리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내면으로 들어가라고 한다. 즉, 내적인 스승인 신의 지혜와 진리, 로고스인 그리스도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라고 한다. 양심의 목소리에 따른 자기 돌봄의 중요성을 설파하고 있다. 그는 또한 올바른 것이 무엇인지 알고 있는 사람이라도 윤리적인 행위는 지혜와 진리를 사랑하는 사람의 의지로부터 생긴다고 하면서 사랑의 윤리 실천을 강조한다. 즉, 신 플라톤주의자들이 주장하는 일자(一者).정신(지성).세계 혼(영혼)은 '향유'의 자세로, 사물 자체를 목적으로 사랑해야 하고, 동물.식물 그리고 무생물.질료는 사용의 자세로,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사랑하라고 한다. 가치나 윤리의 왜곡을 피하고자, 사랑해야 할 것을 올바른 방식으로 사랑하는 사랑의 질서가 요구된다고 주장한다. 이것을 사랑의 윤리학이라고 한다. 가령, 요즘은 반려견 가족들이 많은데 그들을 사람과 같이 사랑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처럼 들린다. 동물애호가인 필자는 받아들이기 힘든 요구다. 필자는 반려견을 가족이라고 생각한다. 인간과 다를 바가 없다고 본다. 아우구스티누스에 따르면, 신은 인류를 신의 선택을 받은 자와 신의 버림을 받은 자로 나누었는데, 사람들의 공로와 과실 때문이 아니라 신의 뜻대로 나누었다고 한다. 성 바오로의 성서 구절에서, 악한 자는 사악하여서 신의 버림을 받은 것이 아니라 신의 버림을 받았기 때문에 악해진 것이라는 결론에 도출된 것은 아닌지 러셀은 생각한다. 아우구스티누스가 '신국'을 통해서 던진 메시지는 결국, 교회와 국가를 분리하고 국가란 신국에 속한 일부에 불과하므로 종교와 관련된 문제라면 교회의 권위에 복종해야 한다는 분명한 가르침을 제시한다. 이후,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은 교회의 교리로 굳건히 자리 잡는다. 그는 서로마 교회의 정책을 정당화하는 이론을 중세 내내 제공했다. 그러나 동로마는 황제의 권력이 교회보다 강했으므로 별개로 취급해야 한다. 되레, 교회가 국가에 종속된 상태에 놓여 있었다. '에라스투스주의'는 교회가 국가에 복종해야 한다는 학설을 주장했다. 또한 펠라기우스는 인간은 자유의지를 믿고, 원죄설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덕을 행한다면 그것은 도덕을 행하려는 인간 자신의 노력이므로 올바르게 행동하는 정통 그리스도 교도라면 덕의 보상으로 천국에 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즉, 인간은 자기의 노력으로 구원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런 그의 견해는 아우구스티누스가 말한 인간은 원죄 때문에 하느님의 도움(은혜) 없이는 인간 스스로 구원받을 수 없다는 사상에 반하는 주장이었고, 당시에 그의 사상은 이단이었고, 아우구스티누스에 의해 단죄되었다. 당시에 펠라기우스의 단죄 후에도 유사 펠라기우스파로 불리는 사람들이 약화한 펠라기우스 교리를 지지했다. 프랑스에서는 기원후 529년에 오랑주 공의회에서 유사 펠라기우스를 이단으로 단죄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완벽한 승리로 막을 내렸다. 박검진 단국대 전자공학과 졸업. 한국기술교육대에서 기술경영학(MOT)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LG반도체 특허협상팀 팀장, 하이닉스반도체 특허분석팀 차장, 호서대 특허관리어드바이저, 한국기술교육대 산학협력단 교수를 거쳐 현재 콜라보기술경영연구소 대표.박검진의 종교·철학 여행 하느님 원죄 하느님 은혜 유사 펠라기우스파 펠라기우스 교리
2025.06.30. 19: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