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용 항체치료제가 안 듣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의 새 하위 변이 BQ.1과 BQ.1.1이 조만간 미국에서 우세종이 될 전망이라고 CNBC방송이 11일 보도했다. 연방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자료에 따르면 현재 BQ.1과 BQ.1.1은 미국의 신규 코로나19 감염자의 44%를 차지해 지난주 32%에서 10%포인트 이상 급증했다. 한때 우세종이었던 오미크론 BA.5 변이는 신규 감염자의 29%로 줄어들었다. BQ.1과 BQ.1.1 변이는 장기 이식 환자나 화학요법 암 치료를 받는 환자 등 면역체계가 심각하게 저하된 사람들에게 특별히 위험하다고 방송은 지적했다. 면역저하자들은 코로나19 백신으로 충분한 면역 반응을 도출하지 못해 예방용 항체주사제 이부실드와 같은 일명 ‘항체 칵테일’을 6개월마다 두 차례씩 주사해야 한다. 그러나 BQ.1과 BQ.1.1 변이는 이부실드에 대해 저항력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고 국립보건원(NIH)은 밝혔다. 이부실드뿐 아니라 면역저하자들에게 예방용으로 투여하는 단일클론항체인 벱텔로비맙 역시 BQ.1과 BQ.1.1이 저항력을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새 하위 변이가 우세종이 될 경우 면역저하자들이 더욱 취약해질 수 있다고 보건 전문가들은 경고한다. 화이자의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는 BQ.1과 BQ.1.1에 대해서도 효력을 유지하지만, 장기이식 환자들에게 필요한 다른 약과 충돌할 수 있어 이들은 팍스로비드를 함부로 복용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앤서니 파우치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은 지난주 한 라디오 방송 인터뷰에서 “새로운 변이가 우세해지면 우리의 도구 중 일부가 무력화할 수 있다는 것이 걱정거리”라며 미국이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의 기로에 설 수 있다고 말했다. 파우치 소장은 면역저하자 등 코로나19 고위험군은 물론 이들과 함께 있는 사람들은 실내에서 마스크를 써야 하고, 실내 모임에 가기 전 코로나19 검사를 받을 것을 권고 했다. 신규감염 치료제 예방용 항체치료제 하위 변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2022.11.11. 19:58
세계보건기구(WHO)가 오미크론(BA.1) 하위 계통의 새로운 두 변이에 대한 위험성 평가를 진행 중이라고 11일 밝혔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날 WHO는 각각 BA.4, BA.5로 명명된 두 변이를 모니터링 목록에 추가했다며 “면역 회피력 등에 대해 더 연구가 필요한 이들 변이를 추적하기 시작했다”. 전문가들은 하위 변이에 대한 지나친 우려를 경계하고 나섰다. 뉴스위크 등에 따르면 프랑수아 발룩스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 교수는 “델타 변이도 오미크론에 밀려나기 전까지 200개 이상의 하위 변이가 있었지만, 이들 중에선 더는 확산하지 않고 소멸된 것들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전염병 전문가 앤드류 프리드먼은 “지금까진 오미크론의 하위 변이나 재조합 변이가 오미크론과 크게 차별화되는 위험성이 있어 보이진 않는다”고 말했다. 임선영 기자오미크론 전문가 오미크론 하위 하위 변이 델타 변이도
2022.04.12. 1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