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LG엔솔 합작공장 무더기 체포·구금 사태에 “한국 기업 다단계 하청 관행 탓” 비판 쏟아져
이민세관단속국(ICE)이 지난 4일 조지아주 현대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현장을 단속해 한국인 300여 명을 체포·구금한 사태와 관련, 한국 대기업의 건설현장 하청구조 관행에 이민단체들의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5일 크리스 수속 북미 제조총괄책임이 직접 협력업체, 하청업체, 인력공급업체 등에 걸쳐 고용계약의 합법성을 철저히 검증하겠다고 했지만, 그간 많은 경고가 있었음에도 방치한 끝에 한국 기업 이미지에 타격을 입혔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조지아의 이민자 권익 옹호 단체 25곳은 8일 성공회 사바나교구에서 단체 합동 기자회견을 열어 현대차가 하청업체 소속 노동자들에 대한 불법고용 책임을 질 것을 요구했다. 단체들은 이날 임금·고용 불안정, 사고 위험을 낳는 하청 구조를 강하게 비판했다. ‘마이그랜트 에퀴티 사우스이스트'(MESE)의 다니엘라 로드리게스 이사는 발표문을 낭독하며 “이번 공사현장 단속은 뜻밖의 일이 아니다. 메타플랜트 배터리 공장에서 예방가능한 산재로 두 명의 하청업체 노동자가 사망했다. 그들의 죽음은 시스템의 변화를 위한 경종이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지난 3월 LG엔솔 공사현장에서 유 모씨(45)는 배 모씨(54)가 몰던 지게차에 치여 사망했다. 두 달 뒤인 5월 앨런 코왈스키씨(27)는 지게차에 실린 철근을 내리던 중 짐에 깔려 숨졌다. 멕시코계 이주노동자 권익단체인 CDM는 현대차 공급망이 값싼 멕시코 외국인 노동력을 확보하려는 목적으로 조직적인 비자 사기를 저질렀다는 혐의로 제기된 소송을 언급하며 생산비 절감을 위한 노동 외주화 문제를 지적했다. 이 단체는 현대모비스와 기아 조지아 공장(KMMG)을 상대로 제기된 멕시코 비자 사기 집단소송의 원고를 대리했다. CDM의 줄리아 솔로르자노 변호사는 “현대차는 하청·파견 노동자만 사용함으로써 공사비를 줄이고 불법고용 책임을 회피하려 했다”고 주장했다. 애틀랜타 저널(AJC)은 지난 6월 기준 사바나 현대차 건설현장 노동자는 2000~8000명이라고 보도했다. 대부분 공사 책임을 맡은 현대엔지니어링이 4~5단계에 걸쳐 하청을 맡기는 과정에서 고용된 인력 공급업체 인부들이다. 이번에 체포된 이들의 국적은 한국 외 과테말라·콜롬비아·칠레·멕시코·에콰도르·베네수엘라 등 대부분 남미 출신이다. 제니 마이론 MESE 활동가는 “기업이 간접고용 방식으로 근로자가 입은 피해에 대한 책임을 회피했다”고 비판했다. 이들 단체들은 이민당국이 “군사화된 급습 작전”을 펼쳐 인권을 침해했다고도 주장했다. 아시안정의진흥협회(AAAJ) 애틀랜타지부의 제임스 우(한국명 우찬) 대외협력부장은 “적절한 사전 설명 없이 휴대전화를 강제 압수하고 서류 양식에 서명할 것을 강요하는가 하면, 합법 신분의 노동자가 소명 기회도 얻지 못한 채 함께 구금됐다. 요원을 피해 숲속으로 도망친 임산부 노동자도 있었다”고 밝혔다. 또 그는 “군사작전에 쓰이는 헬기, 드론, 장갑차가 동원됐을 뿐 아니라 최루탄(tear gas)이 사용됐다는 증언을 확보했다”며 “노동자들이 드나들 통로를 물리적으로 차단하고 법을 집행한 점도 위법성이 있다”고 했다. 비영리단체인 한미연합회(KAC)의 사라 박 애틀랜타 지회장은 “단순히 억류된 사람들을 전세기로 이송한다고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며 “노동자들은 일회용이 아니다. 한미 양국간 신뢰, 파트너십을 회복하기 위해선 기업과 주정부가 투자 책임을 지고 노동자를 보호하는 태도를 보이라”고 했다. ▶이민단속 한국어 상담 핫라인=312-210-0102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하청노동자 파견 노동자 현대 메타플랜트
2025.09.09. 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