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34세 여성의 대학 졸업 비율이 동년배 남성보다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9일 퓨리서치센터에 따르면, 인종을 막론하고 이 연령대의 여성 학위 소지자가 1995년 각각 25%로 동률을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올해 기준 여성 학위 소지자는 전국 47%로 1995년 대비 22%포인트 올랐고, 남성은 37%로 12%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쳤다. 아시안은 여성 77%, 남성 71%로 타인종 대비 월등한 학사 학위 보유 비율을 보였다. 1995년엔 아시안 여성과 남성 모두 각각 42%로 동률을 이뤘다. 여성의 경우 인종별로는 올해 기준으로 아시안에 이어 ▶백인(52%) ▶흑인(38%) ▶히스패닉(31%) 순이었다. 남성은 ▶백인(42%) ▶흑인(26%) ▶히스패닉(22%) 순으로 집계돼 모든 인종에서 여성 학사 학위 소유 비율이 남성을 웃돌았다. 1995년 대비 증가폭 역시 아시안 여성이 우위를 점했다. 여성의 경우 증가폭은 ▶아시안(35%포인트) ▶흑인(24%포인트) ▶백인(23%포인트) ▶히스패닉(21%포인트) 순서였다. 남성은 ▶아시안(29%포인트) ▶백인(13%포인트) ▶히스패닉(13%포인트) ▶흑인(10%포인트) 순으로 집계돼 증가폭이 여성보다 훨씬 작았다. 센터는 남녀간 격차에 대해 학위에 대한 적극성에서 인식 차이가 있었다고 분석했다. 예를 들어, 2021년 조사 과정에서 학사 미소지자에게 이유를 물었더니 남성의 경우 “그저 원하지 않는다”고 답했고, 여성의 경우 “4년간의 학비를 댈 수 없어서”라고 답했다는 것이다. 한편 센터는 센서스국과 노동통계국의 인구 조사(CPS)를 기반으로 미네소타대학과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해 조사를 수행했다. 강민혜 기자 [email protected]학위자 학사 학사 학위자 여성 학사 비율 여성
2024.11.19. 20:22
4년제 대학 학사 학위 보유자들은 성별에 따른 직업 차이가 적은 반면, 학사 학위가 없는 근로자의 경우 성별 '직업 분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퓨리서치센터가 센서스국과 노동통계국의 인구 조사(CPS)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학사 학위가 없는 25~34세 근로자의 직업은 성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연구원들이 성별 직업 차이를 '분리 지수'로 계산한 결과, 학사 학위를 보유한 젊은 근로자(41)는 그렇지 않은 젊은 근로자(55)보다 분리 지수 값이 낮았다. 학사 학위가 없는 젊은 남녀 근로자의 상위 10개 직종을 각각 살펴봤을 때, 이중 겹치는 직종은 2개(소매점 판매 직원, 판매직 일선 관리자)에 불과했다. 지난해 기준 학사 학위가 없는 25~34세 여성의 경우 ▶고객 서비스 담당자(33만4064명) ▶간호 및 가정 건강 보조원(28만8439명) ▶판매직 일선 관리자(26만9789명)로 가장 많이 종사하고 있었다. 그런가 하면 남성의 상위 3개 직종은 ▶트럭 운전 등 운전사 ▶건설 노동자 ▶화물 및 자재 운반원이었다. 특히 학사 학위가 없는 젊은 남녀 근로자는 같은 직장 내에서도 다른 업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당에서 일하는 젊은 여성 근로자의 경우 웨이트리스로 일할 가능성이 높고, 학위가 없는 젊은 남성은 요리사나 조리사에 종사할 확률이 높았다. 한편 학사 학위를 보유한 젊은 남녀 근로자의 경우 성별 직업 분리가 적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은 상위 10개 직종 중 ▶소프트웨어 개발자 ▶초등·중학교 교사 ▶회계사 ▶경영 관리자 등 4개 직종이 겹치는 등 성별에 관계없이 직업을 가진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대학 학위가 없는 젊은 근로자의 성별 직업 분리가 여전히 크지만, 그래도 2000년 이후 직업 분리 현상이 크게 감소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대학 학위가 없는 근로자 중 ▶여성 사진사 비율은 2000년 16%에서 2023년 89%로 ▶여성 제빵사 비율은 2000년 16%에서 지난해 69%로 ▶여성 화가는 2000년 15%에서 지난해 64%로 늘어나는 등 특정 직종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이 급증한 것으로 파악됐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근로자 학사 성별 직업 학사 학위 여성 근로자
2024.07.15. 20:58
커뮤니티 칼리지가 4년제 학사 학위 프로그램 등록을 대폭 확대한다. 캘리포니아 커뮤니티 칼리지(CCC)는 22일 산하 116개 커뮤니티 칼리지에 필요할 경우 연간 최대 30개의 학사 프로그램을 개설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가주 의회에서 통과시킨 법(AB927)에 따른 것으로, 커뮤니티 칼리지는 UC나 캘스테이트(CSU)가 제공하는 학사 학위 프로그램과 유사하지 않으면 최대 30개 과목까지 개설할 수 있다. 소냐 크리스티안 CCC 총장은 “무엇보다 저소득층 성인이 4년제 대학 학위를 저렴한 학비로 공부해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큰 변화”라며 “이는 가주 주립대의 운영 방식을 보다 광범위하게 리메이크하는 과정에서 주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커뮤니티 칼리지는 지난 2014년 처음 15개 캠퍼스에 파일럿 프로그램 형식으로 학사 과정을 개설한 후 성공적으로 운영되자 현재 샌타모니카, 세리토스, 앤틸롭밸리 등 28개 캠퍼스에서 총 40여개 과목을 제공하거나, 개설될 예정이다. 학위 프로그램은 기체제작기술, 공업자동화, 항공기관리기술, 치아위생, 인터랙션디자인, 바이오제조, 건강정보매니지먼트 등 주로 취업 기술 관련이다. CCC는 팬데믹을 전후해 학생 수가 급감하면서 운영이 위태로워지자 4년제 학위 프로그램을 전격 도입했다. 연간 2000달러 정도의 학비만 내면 4년제 학위를 받을 수 있게 되면서 재취업을 원하거나 기술직을 원하는 성인들이 앞다퉈 등록하고 있다. CCC에 따르면 올 가을학기 현재 산하 116개 캠퍼스에 재학중인 학생은 150만 명이다. 학사 학위 프로그램 등록생은 2018~19학년도에만 약 38만 명으로 집계됐으며 이중 백인 학생이 36%, 라틴계 29%, 아시안 21%으로 파악됐다. 장연화 기자 [email protected]커뮤니티칼리지 학사 커뮤니티칼리지 학사 학사 학위 학사 프로그램
2023.09.25.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