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통합교육구(LAUSD)가 급격한 학생 수 감소로 예산 문제에 직면했다고 LA데일리뉴스가 26일 보도했다. LA교육위원회에서 지난 25일 채택한 LAUSD의 2024-25학년도 예산안은 총 184억 달러 규모이나, 학생 수가 지속해서 줄어들고 있는 데다 연방 지원금도 만료돼 재정 운영이 불투명해지고 있다고 이 기사는 지적했다. 전국에서 두 번째로 큰 교육구인 LAUSD는 현재 수입보다 지출이 더 많은 상황이다. LAUSD는 부족한 예산을 메우기 위해 예비비 형식으로 관리하는 ‘비 지정금’을 사용하고 있는데 8억450만 달러에 달했던 잔액이 오는 2026-27학년도에는 고갈될 것으로 예상될 만큼 적자 규모가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LAUSD는 당장 예산 절감을 위해 학교가 다음 해로 이월할 수 있는 미 사용금의 배정 비율을 기존의 60~80%에서 50~70%로 낮춘다. 그동안 학교들은 남은 예산을 학교 행사비와 방과 후 프로그램 운영비로 사용해왔지만, 미 사용금 비율이 줄어드는 만큼 당장 올 가을학기부터 각 학교의 살림도 빡빡해질 전망이다. LAUSD가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학생 수 감소다. LAUSD는 캘리포니아 주 정부로부터 교육 기금을 지원받고 있는데 이는 등록 학생 수와 출석일을 토대로 나온다. LAUSD가 예상하는 올 가을학기 등록생 규모는 40만3000명 수준이다. 이는 2018-19학년도의 48만6000명에서 약 17%가 줄어든 규모다. 학생 수 감소가 가장 많은 곳은 초등학교들로 파악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연방 정부에서 지원받은 팬데믹 지원금 56억 달러도 6월 말로 종료돼 예산 마련이 쉽지 않다. 반면 올초부터 교육구가 버스 운전사, 청소부, 교육 보조원 등 약 3만 명에 달하는 서비스 근로자들에게 시간당 2달러씩 임금을 인상해 인건비 부담은 커진 상황이다. LAUSD의 알베르토 카발로 교육감은 지난 25일 열린 교육위원회 회의에 참석해 “솔직히 우리만 어려운 게 아니다. 이는 전국에서 발생하고 있는 현상”이라고 강조했지만 교육구 상황이 나아지지 않을 것이라는 데에는 동의했다. 이와 관련 가주공공정책연구소의 줄리엔라포춘 연구원은 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학생 수 감소 현상은 LA 뿐만 아니라가주 전체에서 감지되고 있다. 이는 낮은 출산율과 탈 가주 또는 탈 LA 현상 때문”이라며 “결국 학교들은 줄어들 것이다. 문제는 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LAUSD의 내년도 예산 항목을 보면 음악, 미술 등 예술 교육에 3000만 달러를 추가로 배정했으며, 정신 건강 지원에 3억3400만 달러, 이중언어교육에 1억 6200만 달러, 학교 녹화작업에 8800만 달러가 투자된다. 장연화 기자 [email protected]학생수 감소 25학년도 예산안 예산 문제 예산 마련
2024.06.26. 20:59
덴버 공립학교 교사들의 대부분이 학급당 학생수와 수업 등 업무량이 너무 많아 학생들과의 소통에 지장을 겪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학교의 안전도 우려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덴버 CBS 뉴스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덴버 공립교 교사들은 학군이 새로운 안전 계획을 개발함에 따라 어떤 변화를 보고 싶은지와 학교 안전에 대한 우려를 공유하고 있다. 특히 최근 덴버시내 이스트 고등학교 재학생 1명이 2명의 교직원에게 총격을 가한 후 도주했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건과 또다른 재학생 1명이 학교 캠퍼스 인근에서 총에 맞아 숨지는 등 학교 폭력이 가중되면서 변화를 요구하는 움직임이 그 어느때 보다도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덴버 교실 교사 협회(Denver Classroom Teachers Association/DCTA)는 최근 소속 회원 교사 4천여명을 대상으로 학교 안전 등과 관련된 설문 조사를 실시해 그 결과를 발표했다. 1,500여명의 회원 교사들이 응답한 이번 설문 조사에서는 다양한 답변이 도출됐으며 단기적이거나 체계적인 해결책들도 건의됐다. 설문 조사 결과, 교사들을 좀더 안전하다고 느끼게 만드는 것에 대한 1위의 대답은 학급 규모(class size)와 업무량(caseload)을 줄이는 것이었다. 이어 선생님들은 정신 건강 지원을 늘리는 것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 이와 관련, 25년차 교사 경력의 로버트 굴드 DCTA 회장은 “나는 우리가 기로(crossroads)에 서 있다고 생각한다. 학생-교사간 관계와 소통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고 모든 교육자들은 그것을 잘 알고 있다. 학급 규모가 작아지고 업무량도 줄어든다는 것은 교육자들이 실제로 학생들과 연결할 수 있고 학생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아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설문조사에서는 또, 교사들이 학생들의 안전 요구사항을 좀더 잘 지원하거나 개입하는 방법에 대한 훈련과 명확성을 원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여기에는 회복 작업 및 확대를 저지하는 기법(de-escalation technique)에 대한 더 많은 훈련이 포함된다. 이은혜 기자학생수 업무량 학급당 학생수 학급 학생수 고등학교 재학생
2023.05.23. 8:21
학생수 감소로 고민하고 있는 LA통합교육구(LAUSD)가 새로운 학생 모집 캠페인을 시작해 눈길을 끈다. 캠페인 이름은 배우기 위해 태어났다는 뜻의 ‘본투런(Born to Learn)’. LA카운티 병원에 다니는 산모들과 신생아들이 대상이다. 알베르토 카발로 LAUSD 교육감은 1일 LA카운티-USC 메디컬센터 산부인과 병동을 방문해 산모들에게 신생아용 모자, 턱받이, 의복과 담요 등이 담긴 선물 상자를 전달하며 예비 학생들을 모집하는 등록 캠페인을 진행했다. 선물 박스 안에는 LA교육위원들의 환영 메시지가 담긴 편지, 연령대별 신체발달 표와 교육 내용, LAUSD에서 제공하는 수업 내용과 각종 방과후 프로그램, 이중언어 교육 등 을 설명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LAUSD의 목표는 매달 1000명의 신생아 정보를 등록하는 것이다. LAUSD는 카운티 병원에서 목표를 성공할 경우, 학군 내 다른 병원들도 돌면서 캠페인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캠페인은 미국에서 두 번째로 큰 공립학교 시스템인 LAUSD가 이민자 인구 감소 등의 영향을 받아 현재 등록생 규모의 30%가 10년 안에 감소할 것이라는 지적을 받은 뒤 추진됐다. 카발로 교육감은 “태어난 아이들이 나이에 맞춰 제대로 인지 및 신체 발달을 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겠다”며 “또한 아이들이 제대로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부모들을 교육하는 과정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카발로 교육감은 이어 “LAUSD는 아이가 2살 때부터 등록해 공부할 수 있다. 그만큼 아이의 성공을 보장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학부모들도 방과 후 교육 프로그램을 살려 이 교육기회를 활용했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LA카운티-USC 메디컬센터의 흐르헤 오로스코 대표는 “건강에 대한 개념은 병원의 벽을 넘어섰다. 교육 문제 역시 아이들의 발달에 매우 중요하다” 며 “앞으로도 교육구와 함께 육아와 아동 발달에 관한 지원을 계속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LAUSD의 재학생 규모는 약 42만2000명이다. 장연화 기자학생수 신생아 학생수 감소 신생아용 모자 카발로 교육감
2022.11.02. 20:35
대학들이 코로나19 사태의 충격을 완전히 극복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0일 비영리단체인 전국학생정보처리연구센터(NSCRC)를 인용해 올해 전체 대학의 등록 학생 수가 1년 전에 비해 1.1% 줄었다고 보도했다. 대학들은 코로나19 발생 이후 3년 연속 학생 수가 줄었다.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의 경우 신입생의 수가 16.1%나 감소한 것을 포함해 전체 학생 수가 4% 줄었다. 방역 탓에 수업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았던 상황이라는 점과 캠퍼스 내 감염에 대한 공포 등이 학생 수 감소의 원인으로 분석됐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타격 탓에 대학 학비가 부담스러워진 가정이 늘어난 것도 이유로 꼽혔다. 지난해에도 대학의 등록 학생 수는 3.1% 감소했다. 등록 학생 감소 현상은 중서부나 북동부의 중위권 이하 대학에서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대신 명문대로 분류되는 대학들은 큰 피해를 보지 않았다. 또 온라인 대학과 흑인 대학들은 오히려 등록 학생 수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온라인 대학의 등록 학생 수는 1년 전과 비교해 3.2% 늘었다. 특히 18~20세 연령대가 적극적으로 온라인 대학에 등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만 명의 학생이 온라인으로 수강하는 웨스턴 거버너스대의 경우 18~24세 연령대의 학생이 5년 전에는 6%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11%로 늘었다. 스콧 펄시퍼 웨스턴 거버너스대 총장은 “저렴한 학비에 비해 얻을 수 있는 것이 많다는 실용성이 온라인 대학에 대한 젊은 층의 관심을 증가시켰다”고 말했다.학생수 코로나 온라인 대학 코로나 여파 대학 학비
2022.10.20. 20:01
LA통합교육구(LAUSD)의 학생 숫자가 향후 10년내로 급감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LA타임스는 LA교육위원회에서 진행된 프레젠테이션 내용을 인용, “앞으로 10년간 LAUSD의 등록 학생 수가 30% 가까이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학업 프로그램, 캠퍼스 폐쇄, 교육구 직원 베니핏, 교원 채용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18일 보도했다. 지난 17일 진행된 LA교육위원회 프레젠테이션에 따르면 현재 킨더가튼~12학년까지 학생 수는 약 43만 명이다. 앞으로 매해 약 3.6%씩 감소하며 9년 후에는 학생 수가 30만9000명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알베르토 카발로 LAUSD 교육감은 “등록 학생 감소, 불안정한 교육 예산 지원 등으로 폭풍이 몰아치고 있다”며 “재정적 안정을 위한 쉬운 길은 없는 상황”이라고 경고했다. 실제 LAUSD를 포함, 가주 지역의 공립학교의 학생 수 감소 문제는 심각한 상황이다. LA타임스는 “현재 교육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에 대해 정확한 설명을 못 하고 있지만 타지역으로 이사, 출산율 감소, 이민자 감소, 차터스쿨의 성장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고 지적했다. 특히 등록 학생수 급감 예측은 현재 LAUSD 교원 노조가 교육구와 임금 인상을 두고 협상을 하는 가운데 발표된 내용이어서 주목된다. 현재 가주 공립학교의 교육 기금은 등록 학생 수에 따라 지원되기 때문에 등록 학생이 감소하면 자연스레 학교 운영의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노조의 임금 인상 요구는 교육구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LA타임스는 “교원 노조는 교육구가 겪는 재정적 위기에 대해 듣고 싶어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제프 굿 노조위원회 디렉터는 지난주 기자회견에서 “교육구는 항상 세입을 적게 예측하면서 과도한 지출만 우려한다”고 말했다. 장열 기자la교육구 학생수 la교육구 학생수 등록 학생수 la교육위원회 프레젠테이션
2022.05.19. 20:39
뉴욕시 공립교 등록 학생수가 전년대비 1.9% 감소했다. 지난달 29일 시 교육국(DOE)이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2021~2022학년도 가을학기 기준 뉴욕시 공립학교 등록생은 약 93만8000명으로 전년도인 2020~2021학년도 가을학기의 약 95만5000명보다 1.9% 줄었다. 2020년 3월 코로나19가 뉴욕시에 상륙하기 전 통계가 잡힌 2019~2020학년도 가을학기 공립교 학생 수는 100만2000명에 달했었다. 즉 2년 사이에 6만4000명(6.4%)이 줄어든 것이다. 교육전문 매체 초크비트에 따르면 교육국은 공립교 학생 수 감소세와 관련 출산율 감소가 한 요인일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일각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주민 가정의 교외 이주 증가 ▶신규 이민자 감소 등 다양한 원인을 제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가운데 차터스쿨의 경우 이번 가을학기 등록생이 전년 대비 3.2% 증가해 14만3000명 수준까지 늘어났다. 초크비트는 교육국이 공립교 등록생 감소 현상과 관련 차터스쿨이나 사립학교, 홈스쿨링 등으로 빠져나간 기존 학생 수 등을 보여주는 자료는 제공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또 이날 발표된 통계는 얼마나 많은 학생들이 장기결석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교육국에 따르면 현재까지의 일일 평균 출석률은 89%에 달한다. 하지만 이는 얼마나 많은 학생이 학교를 나오지 않고 있는지를 나타내지는 않는다는 지적이다. 심종민 기자학생수 감소 등록 학생수 등록생 감소 뉴욕시 공립학교
2021.11.01. 1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