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성인의 학위 및 자격증 취득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인종간 격차는 여전히 큰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달 30일 교육 비영리단체 ‘루미나재단’이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25~64세 전국 성인의 54.9%가 학위, 자격증(certificate) 또는 업계에서 인정하는 자격증(industry-recognized credential)을 취득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2022년 54.3%, 2021년 53.7%보다 증가한 수치다. 루미나재단이 데이터 수집을 시작한 2009년 이후로 그 수치는 17%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데이터를 상세히 살펴보면, 전국 성인의 ▶23.4%가 학사 학위를 ▶9.2%가 준학사 학위를 ▶14.5%가 석사 또는 전문 학위를 ▶4.2%가 자격증을 ▶3.6%가 업계에서 인정하는 자격증을 취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인종별 격차는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25~64세 아시안 중 67.1%, 백인 52%가 학위 및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는 반면, 흑인의 학위 및 자격증 보유 비율은 36.1%, 히스패닉은 29.7%에 불과했다. 주별로 보면, 워싱턴DC 성인의 학위 및 자격증 보유 비율이 75.1%로 가장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각종 명문대들이 위치하고 있는 매사추세츠주가 63%, 콜로라도주가 63%로 뒤를 이었다. 뉴욕 일원 역시 학위 및 자격증 보유 비율이 높은 편이었다. 뉴욕의 경우 그 비율이 56.8% ▶뉴저지는 59.3% ▶커네티컷은 60.2%로 학위 및 자격증 보유 비율이 전국 평균보다 높았다. 주목할만한 점은 뉴욕 내의 학위 및 자격증 보유 비율은 아시안보다 백인이 더 높다는 점이다. 25~64세 백인 뉴욕 주민 중 61%가 학위 및 자격증을 보유한 것으로 파악됐으며, 아시안은 그 비율이 59.9%로 백인보다 약간 낮은 수치였다. 뉴욕에 거주하는 흑인 중 39.9%, 히스패닉 중 33.6%가 학위 및 자격증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학위 취득 준학사 학위 학위 자격증 학위 취득
2025.02.03. 21:40
미 전역서 지난 10년간 청년(25~34세)의 소득이 학위 유무와 관련없이 증가했지만, 격차는 존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상황에서도 미 전역 성인 다수는 학위 중요성이 낮다고 인식했다. 24일 퓨리서치센터가 발표한 ‘대학 가치, 여전한가’ 보고서에 따르면, 미 전역 청년의 소득은 학위 유무와 관련없이 일괄 증가했으며, 빈곤 상태에 처한 이들은 극소수다. 이 같은 상황에서 양질의 일자리를 위한 학위는 20년 전 대비 덜 중요하다는 응답자는 49%였다. 17%만이 중요하다고 했다. 이 같은 인식과 달리, 취업 시장서 학위 소지자와 미소지자의 격차는 여전했다. 25~34세 응답자의 54%는 4년제 학위가 없다고 답했고, 이들의 소득은 지난 1970년대 중반부터 지난 2014년 전까지 하락세다. 특히 남성 학위 미소지자의 취업률 하락폭이 컸다. 학위 미소지자의 취업률은 팬데믹 영향으로 지난 2021년 이후 하락했다. 반면 학위 소지자의 경우 정규직 근로자의 비율은 같은 기간 안정적이었다. 다만 학위 미소지자중 청년층 빈곤율은 지난 10년간 크게 줄어 지난해 기준 청년 남성 12%만이 빈곤 상태다. 이는 지난 2011년 최고치(17%)를 기록했던 것보다 낮다. 여성의 경우 학위 보유와 무관하게 경제 참여가 미진하던 지난 1970년 대비 정규직 근로자 및 소득은 늘어 역대 최고 수준이지만, 지난 2014년 기준 학위 미소지 여성의 31%가 빈곤했고, 지난해는 21%가 빈곤했다. 보고서는 학위 미소지자와 소지자 사이의 간극을 보이는 지점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학위를 위해 대출을 받을 만한 가치가 없다는 이들은 전체 응답자의 29%였다. 47%는 대출이 필요 없는 경우에만 학위가 중요하다고 답했다. 대출을 받을 만큼 중요하다고 한 이들은 22%였다. 4년제 학위를 가진 이들중에서는 32%만이 대출을 받을 만한 가치가 있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1월 27일부터 12월 3일까지 미 전역 성인 온라인 패널 5203명을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오차범위는 ±1.8% 포인트다. 강민혜 기자소득 학위 학위 미소지자중 학위 유무 소득 격차
2024.05.24. 21:21
모든 직업이 박사 학위자만을 찾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학력만 높다고 해서 모두 일을 잘 하는 것도 아니고 직업을 구하기 좋은 것도 아니다. 여러가지 고수익 직업에 맞는 학위를 정리해 봤다. 이런 직종에서는 최소한 이정도 학위면 취업이 가능하다는 정도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래머의 경우 4년제 학위로 BS를 받아도 좋겠지만 탁월한 프로그래머라면 굳이 AA나 BA일 필요는 없다. 〈아래 표 참조〉 직업별 학위 박사 학위자만 컴퓨터 프로그래머 여러가지 고수익
2024.04.07. 17:27
말리부 지역 퍼시픽 코스트 하이웨이(PCH)에서 발생한 차 사고로 한 순간에 모두 목숨을 잃은 4명의 페퍼다인 대학교 여학생들을 추모하는 기도회가 19일 오전 캠퍼스에서 열렸다. 차 사고는 지난 17일 오후 8시 30분경 2만1500블록 퍼시픽 코스트 하이웨이에서 일어났다. 당시 이 하이웨이 서쪽 방면으로 운전하던 프레이저 봄(22)은 자동차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한 채 갑자기 길 옆에 주차된 최소 3대의 차량과 부딪힌 뒤 인근에 모여있던 여학생들을 덮쳤다. 이 사고로 4명이 숨지고 2명이 부상을 입었다. 페퍼다인 대학 측은 이날 사고로 숨진 학생은 니암 롤스턴(20), 페이턴 스튜어트(21), 아샤 웨이어(21), 데슬린 윌리엄스(21)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들 희생 학생은 모두 페퍼다인 대학교의 시버 인문 단과대 4학년에 재학 중이었고 같은 사교클럽 회원이었다. 학교 측은 19일 오전 강의를 취소하고 학생들이 희생자들을 추모할 수 있도록 파이어스톤 필드하우스에서 기도회를 열었다. 학교 측은 이와 함께 숨진 4명의 여학생에게 명예 졸업장과 학사 학위를 수여하겠다고 발표했다. 한편 사고를 일으킨 운전자는 사고 직후 현장에서 차량 중과실 치사 혐의로 체포됐다가 석방됐다. 음주운전 여부를 검사했으나 의미있는 결과는 나오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LA 소방국의 한 관계자는 이번 사건의 주요 원인이 과속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현재 정확한 사고 원인에 대한 수사가 진행 중이다. 김병일 기자명예 학위 명예 학위 대학교 여학생들 명예 졸업장
2023.10.19. 16:22
미국 전역에 거주하는 한인 10명 중 약 6명은 학사학위 수준 이상의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인들의 학력은 아시안 중에서는 인도계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혼혈을 포함한 한인 가구당 중간소득은 8만1072달러로 집계됐다. 16일 연방 센서스국이 발표한 ‘인종·민족별 상세 특성’ 보고서에 따르면, 한인(혼혈 포함) 중 학사학위 이상의 교육을 받은 비율은 57.9%로 60%에 육박하는 수준을 보였다. 커뮤니티칼리지를 졸업한 한인들(20.1%)까지 합하면, 미국 거주 한인 중 78%가 대학에 진학한 것으로 파악됐다. 아시안 중에서 학사학위 이상 교육을 받은 이들의 비율이 가장 높은 그룹은 인도계였다. 인도계 중 75.1%가 학사학위 이상의 교육을 받아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인도인들의 높은 교육열을 실감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외에 파키스탄계는 58.6%, 중국계(대만계 제외) 55.9%, 일본계 51.9% 등 모두 절반 이상이 학사 학위 이상을 소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인 중에서도 비혼혈 한인들의 학사학위 이상 교육비율(59.3%)이 혼혈 한인(57.9%)의 학사학위 이상 교육 비율보다 높았다. 이런 현상은 다른 아시안 그룹에서도 비슷한 모습이었다. 한편 미국 내에 거주하는 한인들의 평균 연령은 41.2세였으며, 한인 혼혈의 경우 평균 연령이 35.6세였다. 아시안 민족 중에는 일본인들의 평균 연령이 52.3세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일본인 다음으로는 필리핀인(42.8세), 한인(41.2세), 베트남인(40.0세) 등의 순이었다. 혼혈을 포함한 미국의 총 한인 인구는 194만5880명으로, 미국 내 아시아계 인구 중 다섯 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이 104만3736명, 남성은 90만2144명으로 집계됐다. 한인 가구당 중간소득은 8만1072달러, 가구당 평균 소득은 11만6475달러로 집계됐다. 센서스국은 ‘2021년 아메리칸커뮤니티서베이(ACS)’를 토대로 민족별 세부 내용을 분석, 이같은 보고서를 내놓았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한인 학위 학사학위 수준 학사학위 이상 비혼혈 한인들
2023.06.16. 21:08
대학 진학의 대안으로 견습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NBC는 연방 노동국의 최신 자료를 인용해 최근 10년간 등록된 견습생수가 64% 증가하는 등 대학 진학 가치에 대해 재고하는 젊은이들이 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인력 수요 증가, 수업료 상승 및 학자금 대출 부담 증가로 인해 더 많은 학생이 4년제 대학보다 직업과 연결되는 경로를 선택하고 있다는 것이다. 대학 등록생 수가 감소하고 비싼 대학 등록금에 부담을 느끼는 가족들에게 견습 프로그램과 같은 대안은 조용히 힘을 얻고 있다. 칼리지보드에 따르면 학비, 수수료, 숙식비를 포함한 2022~23년 학기 대학 평균 경비는 공립 4만550달러, 사립 5만3430달러에 달하고 있다. 뉴욕의 대학진학상담업체 라카니 코칭의 하피즈 라카니 대표는 “우리는 사회적 전환점에 있다. 주변 사람들이 먹고 살기 위해 4년을 기다릴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한다”고 밝혔다. 일부 전문가들은 학사 학위에 대한 가치가 점차 떨어지고 있으며 커리어 트레이닝에 보다 중점을 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테크 기업 등 다수의 회사도 중급 기술직은 물론 고급 기술직까지 학위 요구 기준을 낮추고 있다. 견습 프로그램에서는 회사가 일반적으로 특정 분야에 대한 한가지 기술로 학생들을 교육하며 이는 종종 전통적인 대학 교육 과정 및 비용을 피하고 바로 취업할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있다. 하지만 조지타운대학 교육노동센터의 보고서 ‘칼리지 페이오프' 에 따르면 학위 취득은 거의 항상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사 학위 소지자는 고교 졸업자보다 일반적으로 84% 이상의 수입을 더 받는 등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임금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프로그램 학위 조지타운대학 교육노동센터 견습 프로그램 학사 학위
2023.02.16. 22:00
조지아공립대, 비인기 전공 무더기 폐지 조지아 공립대학 18곳에서 비인기 전공 215개를 폐지한다. 최근 교육위원회는 해당 전공의 폐지를 결정했으며, 학교들은 폐지가 결정된 전공의 학위 수여를 중단한다. 해당 전공들은 등록률 저조로 이미 2년 이상 비활성화되었으며, 이번에 영향을 받는 학생들에게 학교는 다른 학위를 취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로 했다. 해당 전공들은 아예 폐지되거나 커리큘럼 혹은 이름이 변경됐다. 스튜어트 레이필드조지아공립대학 시스템(USG) 리더십 담당은 "이 중 일부는 다른 프로그램과 통합 및 간소화되었으며, 일부는 곧 없어질 예정이다"라며 "애초에 낮은 등록률 때문에 프로그램을 리부트해서 살리려는 노력이 부족했다"고 전했다. 종료된 프로그램은 조지아대학(UGA)에서 43개, 조지아 서던 대학에서 32개, 조지아 주립대(GSU)에서 28개, 어거스타 대학에서 26개가 포함됐다. 이중에는 학사, 석사, 박사 등 포함되었다. UGA에서 폐지되는 전공 및 학위는 고전 교양 학사, 신문·잡지 저널리즘 학사, 작물학 학사, 정치학 석사, 낙농학 석사 등이 있다. GSU에서는 마케팅, 부동산 박사, 지리학 석사, 국제 비즈니스 박사 등의 학위가 중단되며, 조지아 서던 대학에서는 영어·수학 교육학 석사, 역사학 학사 등이 포함된다. 윤지아 기자폐지 대학 조지아 중단 학위
2022.09.13. 1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