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난임부부, ‘가성비 갑’ 한국 병원행

LA한인타운 인근 병원에서 일하는 김모(38)씨는 한 달 전 3개월 병가를 내고 한국 친정에서 지내고 있다.     결혼 5년 차인 김씨는 시민권자 남편과 한국에서 난임치료를 받기로 결정했다.   김씨는 “한국은 30~40대에 아기를 가지려는 부부가 많아 난임치료가 전문화된 점이 가장 끌렸다”면서 “한국 병원 난임치료 비용이 미국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저렴한 것도 장점”이라고 말했다.   한국에서 임신에 성공하는 사례가 알려지면서 한국행을 택하는 한인 난임부부가 늘고 있다. 대부분 30~40대인 이들은 자연임신이 어려워지자 한국의 ‘시험관 아기(IVF)’ 시술에 희망을 걸고 있는 모습이다.   한국에서 난임치료를 시도한 이들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 ▶우수한 난임치료 전문의와 체계적 병원 시설 ▶환자 맞춤형 서비스 등이 한국 난임치료의 장점으로 꼽힌다.   차 여성의학연구소 서울역 김혜옥 제2진료부원장은 본지에 "차병원 서울역 난임센터는 2016년 개원 이후 미국에서 오는 환자 수가 2배 정도 늘었다"며 "한국계 미국인은 미국보다 약 3분의 1 수준 비용으로 고품질 난임치료를 받을 수 있어 문의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특히 차병원의 경우 최근 강서구 마곡지구에 아시아 최대 규모의 글로벌 난임센터(마곡차병원)도 개소했다. 〈본지 11월14일자 A-2면〉   관련기사 "역시 K-의료" 난임 치료 '어벤져스'에 AI 전문가도 나섰다 한국에서 난임시술을 받은 이들은 건강보험 적용을 받지 못해도 ‘배란유도, 인공수정, 체외수정, 배아 착상 시도’ 등 전체 비용이 미국 병원의 30~50% 수준이라고 말했다.   지난 1월부터 두 차례 한국을 방문해 난임치료를 받은 이민정(43)씨는 “어바인이나 샌타모니카 난임 전문병원은 1회 시도에 평균 2만 달러가 들었다”며 “한국은 서울 전문병원에서 3000~5000달러면 1회 시도가 가능한데 전문의 상담부터 착상 시도까지 포함됐고, 남은 배아는 동결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한국의 저출생·산모 고령화 추세에 따라 국가 차원의 난임치료 지원도 한 이유로 꼽힌다. 서울시 등 지방자치단체는 주소지를 둔 주민에게 시술비 일부를 지원한다. 다만 영주권자 등 한국 국적자나 외국인은 건강보험 가입자여야 한다.   한국행 난임치료는 한인 온라인포털에서도 단골 화제다. 최근 한 포털의 ‘한국 시험관 어떻게 하세요’라는 게시글에는 유명 난임 전문병원 정보와 경험담 댓글이 이어졌다.   한국 난임치료가 모두 임신 성공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아기를 바라는 이들은 한국의 전문화된 난임 시스템을 시도해 볼 가치는 충분하다고 입을 모은다.   한편 LA한인회(회장 로버트 안)는 지난 6월 차 여성의학연구소 서울역(원장 윤태기)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해 부부 모두 시민권자일 경우 난임치료비 20%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제프 이 사무국장은 “MOU 체결 후 10건 이상 문의가 올 정도로 반응이 좋다”고 전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예비 난임부부 가성비 한국 병원행 한국 난임치료 난임부부 가성비

2025.11.19. 20:0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