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중근 의사의 조카인 안원생 지사의 묘소가 43년 만에 애리조나주에서 확인돼, 국가보훈부가 유족 협의를 거쳐 유해의 한국 봉환을 추진할 계획이다. 국가보훈부는 3일 안 지사의 묘소가 애리조나주 선랜드 메모리얼 파크에서 발견됐다고 밝혔다. 해당 묘소는 작년 말 보훈부가 서남부 지역 내 독립유공자 묘소 실태조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처음 확인됐다. 안원생 지사는 안중근 의사의 동생인 안정근 지사의 아들로, 1925년 중국 상하이 프랑스 조계지에서 반일 시위와 전단 배포 활동을 벌였다. 이후 1933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외무부 선전위원 및 선전부 편집위원 등을 역임하며 독립운동에 기여했으며,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미국과 영국 측과 접촉하며 외교 활동도 펼쳤다.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해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보훈부는 다양한 자료 분석을 통해, 선랜드 메모리얼 파크에 ‘데이비드 W. S. 안(David W. S. Ahn)’이라는 이름으로 안장된 묘소가 안원생 지사의 것임을 최종 확인했다. 안 지사는 1982년 애리조나주에서 별세한 것으로 알려졌다.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하신 안 지사님의 묘소를 확인하게 된 것은 매우 뜻깊은 일”이라고 강조했다. 보훈부는 대한인국민회(이사장 클라라 원) 등과 함께 잉글우드 묘지에 안장돼 있던 임창모 애국지사의 유해도 오는 11일 한국으로 봉환한다.〈본지 7월16일자 A-3면〉 보훈부는 이번 실태조사 과정에서 LA인근에 안장된 송헌주 지사(1995년 독립장 추서) 등 총 40기의 독립유공자 묘소 관리 상태도 점검했다. 그간 소재가 확인되지 않았던 강영승 지사(2016년 애국장 추서) 등 29기의 묘소도 새로 확인했다. 보훈부는 이들 묘소에 대해서도 유족 확인 및 협의를 통해 유해 봉환 또는 관리 방안을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정재홍·강한길 기자안중근 안원생 안원생 지사 안중근 의사 한국 봉환
2025.08.03. 19:08
광복 80주년을 앞두고 임창모(사진) 애국지사의 유해가 한국으로 봉환된다. 대한인국민회(이사장 클라라 원) 등 항일 유공 단체들에 따르면 잉글우드 묘지에 안장돼 있던 임 애국지사의 유해는 내달 11일 고국으로 돌아간다. 이번 유해 봉환은 3년 전부터 준비됐다. 가족들의 양해와 정부의 최근 수년간의 추모 사업 계획에 따른 것으로, 한국 보훈부에서도 각별한 예우를 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894년 출생한 임 애국지사는 1919년 3·1운동에 참여했으며, 1922년 일본과 중국을 거쳐 1926년 도미했다. 그는 도미 후 대한인국민회에서도 활동했다. 시카고와 LA에서 유학을 하며 미주 흥사단 임원 활동을 통해 독립운동에 투신했다. 이후 식품 도매업을 하며 독립운동을 재정적으로 후원했다. 임 애국지사는 1967년 73세를 일기로 타계했다. 임 애국지사는 독립운동에 투신한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 2019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대한인국민회 측은 내달 10일 오후 임 애국지사 고별식과 추모식 등을 계획하고 있다. 최인성 기자애국지사 독립운동 임창모 애국지사 한국 봉환 애국지사 고별식
2025.07.15. 2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