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만3000명. 주한미군전우회(KDVA) 회원 수다. ‘한국 복무’라는 공통점으로 모인 이들은 단순한 전우회를 넘어 한미동맹의 가치를 확산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KDVA는 지난 24~25일 샌디에이고에서 연례 총회 및 한미동맹 콘퍼런스를 개최했다. 참석자들의 ‘한국 사랑’은 여전했다. KDVA 회장이자 제25대 주한미군사령관을 지낸 로버트 에이브럼스 전 사령관은 자신의 군 경력 중 유일한 아쉬움으로 “좀 더 일찍 한국에서 근무하지 못한 점”을 꼽았다. 그는 현재 미주리주의 한 시골 마을에 거주하고 있다. 에이브럼스 전 사령관은 “한국에서 3년간 근무했다고 하면 ‘아직도 한국에 미군이 있느냐’고 묻는 이들이 있다”며 “그럴 때마다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새삼 깨닫는다”고 말했다. KDVA는 단순한 전우 모임을 넘어 미국 내 최대 ‘친한’ 싱크탱크로 발전할 잠재력을 지닌 조직으로 평가받고 있다. 단체 측에 따르면 전직 주한미군이 모두 가입할 경우 회원 수는 최대 330만 명에 달할 수 있다. 특히 에이브럼스 회장을 비롯해 커티스 스캐퍼로티, 빈센트 브룩스, 월터 샤프 등 전직 4성 장군들도 대거 포함돼 있다. 이들의 풍부한 전략 경험과 전문성은 한미 군사동맹 강화의 중요한 자산으로 꼽힌다. 정책적·외교적·군사적 측면에서 이들의 조언은 한국 정부의 그 어떤 로비 활동보다 값진 자원이라는 평가다. 하지만 KDVA의 현실은 녹록지 않다. 자체적인 펀드레이징이 어려워 사실상 한국 보훈단체인 한미동맹재단의 재정 지원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한미동맹재단은 KDVA의 운영을 우회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단체다. KDVA가 미국 내 비영리법인이라는 한계 때문에 한국 정부로부터 직접적인 보훈단체 지원을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KDVA는 한미동맹의 최전선에서 여론을 형성하고 한국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확산시키는 사실상 ‘비공식 외교 사절단’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런 조직을 한국 정부와 한인사회가 외면하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다. 미국 내에서, 그것도 비(非)한인들이 중심이 되어 한국과의 동맹 강화를 위해 헌신하는 단체가 얼마나 될까. KDVA 회원들이 내는 목소리는 한미 양국의 신뢰를 다지는 일이며, 그 속에는 한국의 위상을 높이려는 진심이 담겨 있다. 그들이 한미동맹의 가치를 미국 사회 전반에 확산시킬 수 있도록 돕는 일, 그것이야말로 진정한 동맹 강화의 출발점일지도 모른다. 김경준 기자취재 수첩 한국 노병 한국 사랑 노병들 한국 한국 정부
2025.10.29. 22:05
한국 전쟁 때는 자유를 지켜주기 위해 싸웠고, 전쟁이 끝난 후에는 한국의 고아들과 불우 아동에게 장학금을 모아 전달하는 ‘대한민국의 수호 천사’ 같은 단체가 있다. 뉴욕에 있는 ‘한미사랑의재단(이사장 휴버트 리 박사)’이 바로 그 단체다. 사랑의 재단이 올해도 어김없이 장학금을 들고 한국을 찾아간다. 이제는 많이 고인이 된 한국전 참전용사들의 유지를 이어받아, 여전히 어려운 처지에 놓인 한국의 소외 계층 청소년들에게 조용한 응원을 전하고 있다. 올해로 설립 23주년을 맞는 한미사랑의재단은 오는 25일 경기도 양평군을 방문해, 소년소녀 가장과 장애인 학생 등 총 25명에게 1만 달러의 장학금을 전달한다. 이 장학금은 미주 지역 참전용사들과 한인 동포들의 기부금으로 조성되었으며, 양평군이 선발한 저소득층 학생들에게 직접 수여된다. 전달식은 양평음악회관에서 열릴 예정이다. 전달식은 음악회와 함께 거행되며 음악회는 협성대 음대 김미미 교수가 주관할 예정이다. 17일 장학금 전달을 위해 한국 방문을 앞두고 뉴욕중앙일보를 찾은 한미사랑의재단 이호제 총재는 “대한민국이 세계적인 경제 대국이 되었지만, 아직도 도움을 필요로 하는 청소년이 많다”며 “죽는 순간까지 고국의 불우 아동을 돕는 것이 애국의 한 방식이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지금 우리가 누리는 자유는 공짜가 아니며, 부모 세대의 희생으로 얻어진 것”이라며, 한미동맹의 소중함을 후세가 잊지 않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한미사랑의재단은 2002년 뉴욕에서 설립되어 현재까지 경기도 화성, 부천, 인천, 금천구, 의왕시 등 전국 각지에서 소외 청소년들에게 총 27만 달러가 넘는 장학금을 전달해왔다. ‘사랑과 나눔을 실천하는 한미 관계의 가교’를 모토로, 참전용사의 명예를 기리고 다음 세대를 위한 사회 공헌 활동을 꾸준히 펼쳐오고 있다. 참전용사의 헌신과 후손들의 연대가 빚어낸 조용한 연민과 사랑은, 국경을 넘어 진정한 동맹의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 글·사진=서만교 기자참전용사 장학금 한국전 참전용사들 한미사랑의재단 이호제 한국 사랑
2025.04.17. 18:02
미주통일연대 워싱턴(회장 김유숙)이 주최하는 통일강연회가 ‘한국인만 모르는 다른 대한민국’의 저자 임마뉴엘 케스트라이쉬 박사를 초청해 오는7일(화) 오전 11시30분 한인커뮤니티센터에서 개최된다. 이번 강연회는 ‘외국인의 눈으로 본 한반도 통일의 길’에 대한 주제를 잡고 경희대학 교수를 역임한 바 있는 페스트라이쉬 박사의 한국에 대한 진지한 애정을 엿볼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박사는 한국문화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인문학자로서 서울대학교에서 고전문학을 공부하고 한국인 여성과 결혼했다. ‘이만열’이라는 한국이름도 갖고 있다. 박사의 저서로는 '연암 박지원의 단편소설(2011)’, '세계의 석학들 한국의 미래를 말하다(2011)’, '한국인만 모르는 다른 대한민국(2013), '지구경영, 홍익에서 답을 찾다'(2016), '한국인만 몰랐던 더 큰 대한민국'(2017), '한국의 보물'(2020) 등이 있다. 강연회는 무료 입장, 간단한 간식이 제공된다. 문의:202-577-3284 김유숙 회장 김윤미 기자 [email protected]페스트 박사 한국 사랑 한국인 여성 석학들 한국
2024.05.03. 1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