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가장 감동적인 예술 작품들 중 일부는, 무명의 재능 있는 예술가들에 의해 탄생했다. 종교적 황홀경 속에서 그려진 신앙 예술, 가정의 안녕과 보호를 기원하며 정성껏 만든 민속 예술, 그리고 실용적인 물건이면서도 창의적인 공예품들이 그렇다. 불행하게도, 오랫동안 일부 사람들은 공예를 ‘예술’로 인정하지 않았다. 입거나, 마시거나, 혹은 어떤 방식으로든 사용되는 물건이라면 ‘진정한 예술’이 될 수 없다고 믿은 것이다. 다행히 이제 그런 편견은 점차 사라지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공예의 예술성을 새롭게 인식하는 이 변화는, 자신들의 이름을 작품에 남길 수 없었던 과거의 창작자들에게는 너무 늦었다. 그들 중 다수는 문자 그대로 ‘노예처럼’ 일했다. 실제로 많은 이들이 진짜 노예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들과 마찬가지로, 수세기 동안 ‘노예 바로 위의 존재’로 취급받았던 또 다른 예술가들이 있었으니, 바로 여성들이었다. 여성들은 붓과 캔버스를 사용할 수 없었고, 청동으로 조각할 수도 없었다. 예술적 감수성을 지닌 여성이 창의력을 펼치려면, 자신에게 허락된 재료로 작업해야 했다. 그것이 흙일 수도 있었지만, 대개는 직물이었다. 그러나 역사가 증명하듯, 예술가가 억압받을수록 그들의 창조적 에너지는 자신에게 주어진 좁은 통로를 통해 폭발적으로 표출된다. 예를 들어, 오직 턴테이블과 마이크로만 음악적 아이디어를 표현할 수 있었던 이들이 만들어낸 것이 바로 ‘힙합’이다. 오늘날 대중문화의 가장 혁신적인 예술 중 하나로 평가받는 장르다. 이와 같은 창조적 폭발은 한국의 섬유 예술에서도 발견된다. 색채와 창의성, 예술적 감각, 그리고 생명력으로 터져 나오는 한국의 직물 예술은 경이롭다. 몬드리안보다 훨씬 이전에 등장한 듯한 기하학적 구성의 보자기 패치워크, 바늘로 그린 회화 같은 자수, 잃어버릴 뻔한 상징의 의미를 매듭으로 보존한 노리개, 대나무와 종이까지 확장된 직조 예술에 이르기까지…. 이름 없는 여성 예술가들이 창조한 아름다운 한국 예술의 세계는 끝이 없다. 다행히 오늘날 섬유를 예술적 표현의 매체로 선택한 여성 예술가들은 더 이상 익명이 아니다. 이는 수십 년간 역사적 소외를 바로잡기 위해 헌신해온 여러 단체들의 노력 덕분이다. 그중에서도 특히 주목할 만한 단체가 풀브라이트 장학생 출신 이정희 교수가 설립한 ‘코리아 보자기 포럼(Korea Bojagi Forum)’이다. 이정희 교수는 수년간 국제 심포지엄과 전시, 행사를 꾸준히 주최하며 보자기와 한국 섬유 예술을 통해 한국 문화를 알리는 데 힘써왔다. 그녀는 미국, 한국, 핀란드 등지에서 교편을 잡으며 국제적 교육자로서 폭넓은 경험을 쌓았다. 그녀의 작품이 소장된 주요 미술관 목록은 세계 유수의 예술 기관 목록과 다름없다. 만약 11월에 보스턴 지역을 방문할 계획이 있다면, 11월 8일부터 23일까지 렉싱턴 예술공예협회(Lexington Arts and Craft Society)에서 열리는 그녀의 개인전을 놓치지 말기를 바란다. 그녀의 놀라운 작품 세계를 감상하며, 동시에 그녀가 예리하게 다루는 여성의 권리 문제를 함께 성찰해볼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일본은 사상 처음으로 여성 총리를 임명했다. 한국 역시 몇 주 전 최초의 미국 주재 여성 대사로 강경화씨를 임명했다. 물론 여성의 완전한 대표성에 이르기까지 아직 갈 길은 멀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분명 진보의 신호다. 우리는 이 방향으로 계속 나아가야 한다. 정부와 기업뿐 아니라 예술의 세계에서도 더 많은 여성이 힘을 갖게 될수록, 결국 그 혜택은 우리 모두에게 돌아오기 때문이다. (이 글의 일부는 곧 출간될 로버트 털리의 회고록 『잉크타운(Inktown)』에서 발췌했습니다.) ▶코리안아트소사이어티: 이메일([email protected])/페이스북(Facebook.com/RobertWTurley) 로버트 털리 / 코리안아트소사이어티 회장K컬처에 빠지다 익명 여성 여성 예술가들 한국 예술 예술 작품들
2025.11.06. 20:16
내가 한국 예술을 사랑하는 이유는 그 자연스러운 진정성, 소박한 영혼, 유쾌한 에너지, 꾸밈없는 솔직함, 그리고 자연에 대한 경외심과 친화력 때문이다. 이러한 특징은 한국의 민속예술에서 잘 드러난다. 민중에 의해, 그리고 민중을 위해 만들어진 예술이다. 그저 예술을 위한 예술이 아닌 것이다. 이러한 점이 내가 초기 어쿠스틱 블루스와 고대 예술을 비롯한 인간의 보편적인 갈망, 두려움, 실망, 그리고 승리를 여과 없이 표현한 모든 작품들에 끌리는 이유이기도 하다. 한국 민속예술의 광범위한 영역 중에서도, 샤머니즘 예술은 한국인의 가장 깊은 염원을 표현한다. 예를 들면 그림, 탈, 의상 등은 가정을 보호하고, 병을 치유하며, 죽은 이들과 소통하고, 농사를 축복하고 보호하며, 결혼과 가족, 신생아에게 복을 빌어주고, 사람들에게 삶의 목적과 안정을 제공하는 의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의 왕실은 국교를 제정하고 그에 부합하는 예술을 주문한 반면, 평민들은 삶을 직접 살아가며 불교, 유교, 도교, 고대 애니미즘(정령신앙) 등을 혼합한 가장 포용적인 신앙 체계를 형성하고 이를 수 세기 동안 유지해왔다. 이 신앙은 자연과 그 에너지와의 강한 연결을 형성한다. 한국 샤머니즘은 공적인 교리와는 다른 건강한 반항 정신과 개방적인 사고방식, 그리고 진정성을 강조한다. 그 예술 작품들이 과거뿐만 아니라 오늘날까지도 세계인들에게 직접적인 감동을 줄 수 있는 이유다. 무당들은 문화적 기억을 지켜낸다. 호주 원주민들은 수천 년 동안, 어쩌면 빙하기 이전부터 300개 이상의 언어 그룹에 속한 100만 명의 사람들을 연결하는 ‘노랫길(Songlines)’을 유지해왔다. 세속화는 발전을 가져오지만, 우리가 주의하지 않으면 그것이 고대 역사와의 연결을 단절하고, 모든 문화가 공유하는 원형적 상징들을 통해 형성된 우리의 공동 정신과의 유대를 끊어버릴 수도 있다. 한국 샤머니즘의 예술과 문화는 한민족의 가장 깊은 뿌리에서 비롯되었다. 무당의 다원적 신격 체계 중에는 한국에서 유일하게 토착적으로 발생한 신들이 존재한다. 산신(山神)이나 독성(獨聖) 같은 신령들은 한국 고유의 신들이다. 이들과 관련된 의식과 신화를 연구하면 한 민족의 기원과 그 민족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산신도(山神圖)는 이를 잘 보여주는 예다. 이 그림들은 대개 산신과 한국 민속에서 중요한 존재로 여겨지는 호랑이를 함께 묘사한다. 한때 한국의 산과 들을 누비던 호랑이는 이제 멸종되었지만, 이 그림들은 한국 전역을 누비던 호랑이의 흔적과 그들이 사람들의 상상력과 신앙에 끼친 깊은 영향을 오늘날까지 전해준다. 지난해 한국 프로야구(KBO)에서 우승을 차지한 기아 타이거즈를 비롯해, 한국에는 ‘타이거즈’라는 이름을 가진 스포츠 팀들이 많다. 나의 고향팀인 디트로이트 타이거즈(Detroit Tigers)도 마찬가지다. 디트로이트에서는 호랑이가 로고나 인형 속에만 존재하는 먼 환상에 불과하다. 반면, 한국에서는 호랑이가 민족의 정신과 연결되어 있으며 훨씬 깊은 의미를 지닌다. 샤머니즘 예술이 제공하는 이러한 고대 유산과의 연결이 유지될 때, 그 의미는 더욱 커지고 더욱 깊이 느껴진다. 그러니 다음번에 기아 타이거즈나 한국의 모든 타이거즈 팀을 응원할 때, 그 원초적인 정신을 느껴보라. 그리고 전통을 지켜나가는 것이 우리의 삶에 얼마나 더 큰 의미와 충만함을 가져다주는지를 기억하길 바란다. (이 글의 일부는 곧 출간될 로버트 털리의 회고록 『잉크타운(Inktown)』에서 발췌되었습니다.) ▶코리안아트소사이어티: 이메일([email protected])/페이스북(Facebook.com/RobertWTurley) 로버트 털리 / 코리안 아트 소사이어티 회장K컬처에 빠지다 타이거즈 산신도 한국 민속예술 한국 예술 한국 샤머니즘
2025.03.31. 17:09
뉴욕한국문화원이 링컨센터와 함께 ‘코리안 아츠 위크’를 개최한다. ‘코리안 아츠 위크’는 SK 그룹이 후원하는 ‘썸머 포 더 시티’ 축제의 일환으로 한국 문화 전통을 기념하는 행사다. 12개 이상의 무료 행사를 제공하는 코리안 아츠 위크는 경이로운 깊이와 폭을 자랑하는 한국 문화를 주제로 하며, 링컨센터와 뉴욕한국문화원을 비롯해 다양한 기관들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한국 예술의 과거, 현재, 미래를 한 자리에 아우를 예정이다. 댄스 공연, K-인디 뮤직 나이트, 시각 예술 전시회, 뮤지컬 씨어터 스토리타임, 웰빙 행사, 가족 프로그램 등 다양한 이벤트를 만나볼 수 있으며 크라잉 넛, 세이수미, 백예린 등의 아티스트들이 행사에 참여해 자리를 빛낸다. 행사는 7월 19일부터 22일까지 진행되며 자세한 일정은 링컨센터 웹사이트(www.lincolncenter.org)에서 확인 가능하다. 윤지혜 기자문화원 코리안 링컨센터 웹사이트 한국 예술 한국 문화
2023.06.06. 18:04
전통과 현대, 한국과 미국, 세대를 잇는 전시회 ‘라인 앤 제스처(Line & Gesture)’가 LA 한인타운에서 열린다. 삼평장학재단(회장 이유생)과 한국서예협회(회장 김기동) 공동 주최로 한국 전통 예술과 문화를 미국 현지에서 재조명하는 이번 전시는 오는 17일부터 23일까지 E.K. 아트 갤러리(관장 유니스 김)에서 일주일 동안 진행된다. 삼평장학재단은 “대한서예협회, WTC 무도회, 미주한인무용협회가 협력해 이번 행사를 기획했다”며 “LA 주민들에게 100여 점의 전통 서예작품과 전통 예술 공연을 통해 한국 예술의 역사를 기념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회는 전시장 벽면을 따라 서예가 100명의 한국 전통 서예 100여 점의 작품이 전시된다. 족자에 담긴 서예작품부터 대형 부채 작품 등 한국에서 작품으로서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장식으로 인기인 다양한 서예작품을 선보인다. 또 일부 작품은 NFT로 디지털화되어 메타버스에서 전통 예술 작품과 디지털 아트와의 연결을 보여준다. 17일 열리는 개막 행사에서는 서예, 태무, 장구춤, 부채춤 공연이 오후 2시부터 7시까지 열린다. 재단측은 “할리우드 영화 ‘브라인드스티치’의 한인 배우 김종만 씨가 홍보 대사로서 행사 진행을 맡고 서예뿐만 아니라 부채춤, 아리랑, 장구춤, 태권도 시범, 서예 퍼포먼스 등 한국 전통 예술 라이브 공연을 선보인다”며 “오늘날 한국 대중문화의 발판을 마련한 한국 전통 예술을 감상할 수 있는 시간을 선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시가 진행되는 일주일 동안 모든 작품 구매가 가능하며 협회 회원들이 기부한 작품 100여점 판매 수익금은 온누리교회(ANC)를 통해 2세와 3세 한인들을 지원하는 데 사용된다. 삼평장학재단 설립자인 이유생 회장은 “한국 전통문화를 세계로 알리는 것이 이번 전시회의 첫 번째 목적”이라며 “두 세대의 교량, 양국 문화 가교, 전통과 현대를 잇는 전시회로 자리 잡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주소: 1125 S. Crenshaw Blvd. LA ▶문의: (213)268-1177 이은영 기자미국 예술미 전통 서예작품 한국 전통 한국 예술
2022.09.11. 1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