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하버드거쳐 예일대 공부… '한국문학' 전공 입양인

"친부모에게 화가 나지 않아요. 친부모의 삶과 건강 생활이 궁금할 뿐이에요. 물론 형제가 있는지도요."   미국 입양 한인 스펜서 렌필드(한국명 이영일.33) 씨는 지난 1일 한국의 아동권리보장원 입양인지원센터에 보낸 뿌리 찾기 사연을 통해 "친부모가 연락해준다면 대단한 영광일 것 같다"며 이렇게 말했다.   그가 확인한 입양 기록에 따르면 그의 한국 이름은 친모에게서 받은 게 아니라 입양기관에서 받은 것이라고 한다. 이씨의 친부모는 모두 대학에서 경영학과를 전공했고 1988년 9월 근무지에서 처음 만났다.   당시 친부는 아르바이트하고 있었고 친모와는 1989년 6월부터 함께 살았다. 친부 오모 씨는 네 남매 중 셋째로 솔직하고 외향적인 성격의 소유자였다. 친모인 이모 씨는 네 남매 중 첫째로 1965년 12월 7일에 강원도에서 태어났다.   이씨는 1990년 8월11일 오후 1시42분 서울 도봉구 쌍문동 한일병원에서 태어났다. 친모는 당일 오후 1시 35분에 입원해 국소마취제를 맞고 이씨를 낳은 뒤 다음날 퇴원했다.   친부는 이씨가 태어난 뒤 어딘가로 떠났다. 친모는 혼자 아이를 키울 수 없다고 생각해 이씨를 입양 기관에 데려갔고 한국사회봉사회를 통해 같은 해 11월 13일 미국의 한 가정에 입양됐다.   이씨는 항공 관련 수력 부분 공장에서 일하는 양부와 비서였던 양모 사이에서 자랐다. 그의 여동생도 한국에서 입양된 한인이다.   미시간주가 고향인 이씨는 18살 때까지 그곳에서 자란 뒤 하버드대에서 역사와 문학을 공부했다. 영국 옥스퍼드대에서 근무하기도 한 그는 2018년부터 예일대에서 비교문학 박사 과정을 밟고 있다. 이씨는 중간에 한국의 한 중학교에서 원어민 교사로 일하기도 했다.   그는 "한국 문학을 연구하기 때문에 미국과 한국으로 자주 오간다"고 설명했다.   이씨는 2016년부터 친부모 찾기를 시작해 입양기관과 경찰 등에 도움을 요청했지만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했다. 이씨는 "경찰 데이터베이스 상 친부모의 이름과 생년월일이 일치하는 분들이 함께 같은 주소에서 살고 있다고 들었다"면서도 "경찰 측은 두 분의 승낙 없이 연락처 등 정보를 전달할 수 없다고 했다"고 도움을 요청했다.한국문학 하버드 한국문학 전공 아동권리보장원 입양인지원센터 예일대 공부

2023.08.07. 19:11

“한국문학 세계화 꿈꾼다”

오랜 세월 미주 문단에 몸담고 작품 활동을 해 온 김준철 시인이 비영리 문화예술재단 나무달(Tree & Moon Foundation)을 설립했다.     나무달은 한국의 대표 시인인 박목월 시인의 이름에서 만들어졌다. 박목월 시인은 김준철 대표의 외조부다. 김 대표는 유일하게 시를 쓰고 있는 박목월 시인의 자손으로서 ‘나무달’을 통해 한국문학의 세계화를 이뤄보겠다는 당찬 목표를 세웠다.     해외에서 한국문학을 생업으로 삼거나,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어 본국에서 주목받는 것은 사실상 어려운 일이었다.     김준철 대표는 “한류 여파가 K-팝, K-드라마, K-영화 등으로 범위를 넓혀가고 얼마 전에는 ‘파친코’가 한류의 중심에서 그 역할을 했다”며 “이 모든 중심에 K-문학이 자리하고 있고 문학은 다양한 문화예술의 기초이자 중심”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가 설립한 ‘나무달’은 크게 세 가지 사업을 준비 중이다.     먼저 줌 아카데미 KCLS(Korean Creating Literature School)다.     줌을 통해 수준 높은 강사들을 섭외해 다양한 문화예술 및 인문학 강연을 마련한다는 계획으로 10월부터 강의를 시작한다. 김 대표는 “일회성이 아니라 최소 3개월에서 최대 1년 이상의 장기 프로젝트로 입문반에서부터 중급반, 심화반까지 구성하고 보다 전문적 수업으로 한국 문단으로의 진출과 미주 문단에서 활동을 돕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K 라이터(K-Writer)’라는 한영문예 계간지를 출간할 계획이다. 다양한 장르의 문화예술과 연결하는 콜라보 형식의 잡지로 전 세계에서 한국어로 문학을 하는 작가들의 소식과 작품을 담는 문학지로 준비 중이다.     최근에는 ‘나무달’ 안에 한미문화예술인회를 결성했다.     재단 사업의 하나로 ‘한류예술인상’을 제정하고 지난달 19일 제1회 한류예술인상 수상자로 선정된 3명에게 상패와 상금을 전달했다.     제1회 수상자는 시 부문에 도종환 시인, 영화 부문에 배창호 감독, 문화잡지 부문에 쿨투라 손정순 대표가 선정됐다.     ▶문의: [email protected] 이은영 기자한국문학 세계화 한국문학 세계화 한류예술인상 수상자 비영리 문화예술재단

2022.09.11. 14:3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