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아름다운 우리말] 한류의 몰락

당연한 이야기지만 문화에도 흥망성쇠가 있습니다. 한류라는 한문화의 현상이 예쁨을 받음은 반갑고 고마운 일이지만 이도 언제까지나 이어질 수는 없습니다. 그리고 그 시기는 생각보다 빠르고 급작스러울 수도 있습니다. 나쁜 마무리가 아니기를 빌고 있습니다.    한류가 세계 속에 널리 자리한 것을 기적이라고 표현하는 사람도 있지만 생각해 보면 한류는 결코 기적이 아닙니다. 일제 강점기나 한국전쟁 후의 참혹한 상황을 떠올리면 기적으로 보일 수 있겠지만, 우리의 역사를 생각해 보면 기적은 아닙니다. 한민족은 오랜 역사 속에서 이미 세계적인 문화 수준을 가졌던 경험이 있습니다.         우리끼리 하는 이야기가 아닙니다. 원효나 퇴계의 정신세계는 불교나 유학에서 높은 경지에 있었습니다. 고려청자나 종묘의 미, 판소리 풍류 같은 흥은 세계 속에서도 훌륭한 모습입니다. 먼 옛날 북을 치며 신을 맞는 부여의 영고(迎鼓), 춤을 추면서 제를 올리는 예의 무천(舞天)은 신명의 세계였습니다. 정신도, 예술도, 흥도 한류 속에 깊이 담겨있습니다.   대중음악이나 영화, 드라마의 인기도 어느 날 갑자기 생긴 것은 아닙니다. 이미 6,70년대에도 수많은 영화를 찍어 왔고, 서양의 대중음악을 우리 것으로 훌륭히 소화해낸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또한 세계 어디에서도 찾기 힘든 청중과 시청자, 관객이 있습니다. 한국에서 성공하면 세계에서 성공한다는 말이 그냥 나온 것이 아닙니다. 한류는 듣는 이, 보는 이, 하는 이가 함께 만드는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물론 한국의 경제발전과 민주화라는 두 날개가 더해져 있음도 잊어서는 안 됩니다. 넉넉해지면서 더욱 연예계에 투자되는 액수가 커졌음도 사실입니다. 더 좋은 인재가 모이기도 했죠. 민주화로 상징되는 한국의 사회 분위기는 다양한 모습을 담는 바탕이 되었습니다. 영화, 드라마의 다양한 소재와 표현방식은 민주화의 덕을 보았습니다. 그리고 내용 속에는 민주화를 비롯해 고통을 이겨낸 역사의 자취가 담깁니다. 일제강점기, 분단, 독재는 상처이면서 귀중한 경험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보자면 한류는 모든 한국인의 공입니다.    그런데 한류를 한류답게 만드는 또 다른 요소가 있었음도 기억해야 합니다. 이것이 오늘 이야기의 핵심입니다. 한국 드라마가 세계 속에서 호평을 받은 이유는 가족의 따뜻함, 사랑이 기반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배우나 가수의 겸손하고 노력하는 자세, 나누는 모습이 한류 열풍을 크게 만들었습니다.     그래서 한류에 열광하는 사람은 한국 가수나 배우를 따라서 기부를 하고, 때로는 좋아하는 아이돌이나 배우의 이름으로 나눕니다. 한국 드라마처럼 사람을 귀하게 여기는 겁니다.   허나 한류가 조금씩 위험한 길로 가기도 합니다. 자칫 잘못 디딘 한 걸음은 한류를 몰락으로 이끌 수 있습니다. 사람보다 돈이 중요시되어 수많은 간접 광고로 작품을 망치거나 다른 문화를 가볍게 여기기도 합니다. 쉽게 차별을 용인하거나 차별의 주인공이 되기도 합니다. 영화나 대중음악이 점점 말초적으로 되는 것도 경계해야 합니다. 말초는 말초를 부릅니다. 자극은 더 큰 자극을 원합니다. 그리고 그러한 자극은 오래가지 못합니다. 무너지는 겁니다. 그것이 바로 한류의 몰락입니다.   언젠가 한류는 다른 문화에 자리를 내어 줄 겁니다. 그렇다고 해도 한류가 가졌던 좋은 가치는 좋은 기억으로 남기 바랍니다. 가족을 소중히 여기고, 울고 웃고, 신명 나게 표출하면서도 나눌 수 있던 모습 말입니다. 얼마 전 방탄소년단의 10주년 기념행사가 서울에서 있었습니다. 행사가 끝나고 팬들이 자발적으로 깨끗이 뒷정리를 하였다고 합니다. 한류의 희망이 다시 보였습니다. 조현용 / 경희대학교 교수아름다운 우리말 한류 몰락 한류 열풍 한국 드라마 영화 드라마

2023.06.25. 16:49

세계 최초의 한류 열풍을 일으켰던 태권도의 기백

 지난 8일 리치몬드의 리치몬드올림픽오발 경기장에서는 제6회 주밴쿠버총영사배 태권도 대회가 열렸다. 이날 장암용 사범이 운영하는 Chang's Taekwondo의 30여 명 시범단의 태권도 격파 시범 등을 선보였다. 표영태 기자태권도 세계 한류 열풍 주밴쿠버총영사배 태권도 태권도 격파

2022.10.11. 13:21

썸네일

[기자의 눈] PGA투어에 부는 한식 열풍

 “나는 우리나라가 남의 것을 모방하는 나라가 되지 말고, 높고 새로운 문화의 근원이 되고 목표가 되고 모범이 되기를 원한다.”   백범 김구 선생이 ‘백범 일지’에 쓴 내용이다. 당시 김구 선생이 언급한 ‘문화’가 지금의 한류와 같은 성격이 아니었을지라도, 우리 문화가 전세계 곳곳으로 확산되고 있다는 점에서는 비슷한 맥락일 것이다.   K팝, K드라마, K푸드 등 한류가 전세계에 급속도로 퍼지고 있다. 그룹 방탄소년단(BTS)은 단연 한류 확산의 1등 공신이다. 팬클럽 ‘아미’들은 BTS 노래를 한국어로 따라 부른다. ‘가사의 의미’를 더 알고 싶어 한국어도 공부한다. BTS 춤을 배우려 한인타운을 찾는다.     드라마 ‘오징어 게임’의 인기도 못지않다. 문화적 자존심이 강한 프랑스 파리에선 ‘오징어 게임’ 팝업 스토어에 입장하려 수시간을 기다리던 사람들 사이에서 실랑이가 벌어지기도 했다. 미국에서도 오징어 게임 패션, 달고나,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게임 등이 유행이다. 지난 23일 LA한인타운에선 ‘오징어 게임’에서 소개된 게임 테마를 체험해 보는 이벤트가 열렸다. 오징어 게임 복장을 차려 입은 참가자들은 드라마를 보면서 느꼈던 팽팽한 긴장감을 직접 경험하며 짜릿해했다. 유튜브에도 오징어 게임 패러디 영상이 수두룩하다.   K푸드는 이미 한류를 이끄는 선두에 서 있다. 미국 주류 마켓에선 한국 라면, 소주 등을 쉽게 구입할 수 있다. 영화 ‘기생충’에 등장한 ‘짜파구리’도 큰 공을 세웠다. 실제로 지난해 농심 미국 법인 라면 매출액은 전년 대비 26.5% 증가한 2502억원을 기록했다.     이번엔 ‘오징어 게임’에 등장한 삼양라면이 다시금 주목 받고 있다. 소주를 마시며 안주로 삼양라면을 끓이지 않고 먹는 장면이 관심을 끌었다. 라면을 스낵처럼 먹을 수 있다는 점이 타인종들에겐 새로운 접근이었을 터. 어릴 때 엄마 몰래 생라면에 스프를 뿌려 먹던 그 맛은 분명 타인종들에게도 신세계일 것이다. 한층 더 뜨거운 한류 열풍이 불 것으로 예상된다.   프로농구(NBA) 명문팀 LA레이커스 선수들은 앞으로 CJ ‘비비고’ 로고를 유니폼에 달고 경기를 뛴다. 단순히 기업 로고가 아닌 한식 브랜드를 내걸었다는 점에서 홍보의 파급 효과는 남다를 것이다. LA레이커스는 후원사 선정에 까다롭기로 유명한데, CJ에 먼저 파트너십을 제안했다. 영화 ‘기생충’ 제작사이자 프로골프(PGA)투어 ‘더CJ컵’ 등의 활동이 파트너십 결정에 주요 역할을 했다.     실제로 지난 14일부터 나흘간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PGA ‘더 CJ컵’에서 K푸드의 존재감은 엄청났다. 이안 폴터, 티럴 해튼, 제이슨 데이, 애덤 스콧 등 유명 PGA 스타들이 만두와 치킨, 김치볶음밥을 먹으며 극찬했다. 폴터는 만두를 찍어 먹기 위해 고추장을 이용한 자기만의 소스를 즉석에서 만들어 선보이기도 했다.   CJ컵에서 두 차례 우승한 저스틴 토머스 역시 한식 마니아로 잘 알려져 있다. 토머스는 “골프 대회장에서 먹는 한국식 BBQ는 대단했다”고 인터뷰 했을 정도다. 콜린 모리카와는 한국 만두 마니아로 유명하다. CJ의 한식 마케팅이 PGA투어 속 또 하나의 한류 열풍을 만들어낸 셈이다.   다만 문화라는 것이 유행처럼 반짝 주목 받았다가 언제든 사그라들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이를 이어가기 위한 노력도 함께 병행돼야 하는 이유다. 다음엔 어떤 한류 콘텐트가 세계를 들썩일지 주목된다.  홍희정 / JTBC LA특파원·차장기자의 눈 투어 한식 오징어 게임 한류 열풍 한식 브랜드

2021.10.25. 17:2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