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한반도 적대와 대결의 시대 종식”
이재명 대한민국 대통령이 세계 최대 다자외교 무대인 유엔(UN)총회 데뷔전을 치렀다. 20분간의 연설에서 이 대통령은 한반도 냉전을 종식할 방법론으로 이른바 ‘엔드(END) 이니셔티브’를 제시했다. ‘교류(Exchange)·관계 정상화(Normalization)·비핵화(Denuclearization)’의 영문 첫 글자를 딴 것으로, 이를 중심축으로 삼은 대화를 통해 평화를 앞당기겠다는 구상이다. 이 대통령은 23일 뉴욕 맨해튼 유엔본부에서 요르단 압둘라 2세 국왕에 이어 7번째 순서로 기조연설에 나섰다. 짙은 남색 정장에 회색 사선 무늬 넥타이, 태극기 배지를 달고 오후 12시 49분께 연단에 오른 이 대통령은 차분한 목소리로 준비한 원고를 읽어 내려갔다. 이 대통령은 연설에서 12·3 비상계엄 사태를 극복한 ‘민주주의 대한민국’의 국제사회 복귀를 선언하고, 한반도 대결 종식의 방법론으로 ‘엔드(END) 이니셔티브’를 제시했다. 단절된 남북 대화와 교류를 복원하고 서로의 체제를 존중하는 가운데 공동 성장의 길을 모색하고, 핵 없는 한반도를 향해 다가가자는 의미로 풀이된다. 북한에 다시금 대화 손짓을 보낸 것이기도 하다. 그는 “상대 체제를 존중하고 어떠한 형태의 흡수통일도 추구하지 않을 것이며 일체의 적대행위를 할 뜻이 없음을 다시 한번 분명히 밝힌다”며 “3가지 원칙을 바탕으로 불필요한 군사적 긴장과 적대행위의 악순환을 끊겠다”고 강조했다. 이 대목에선 박수가 터져 나왔다. ‘민주주의 대한민국’의 국제사회 복귀도 공식 선언했다. 그는 “민주주의 위기 앞에서 대한민국 국민이 들었던 오색빛 응원봉처럼, 국제사회와 유엔이 인류의 미래를 밝힐 희망의 등불을 들어달라”며 “평화공존과 공동 성장이라는 한반도의 새 시대를 향해 함께하는 더 나은 미래의 길을 향해 우리 대한민국이 맨 앞에서 담대하게 나아가겠다”고 강조했다.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한강의 ‘당신이 나를 밝은 쪽으로, 빛이 비치는 쪽으로, 꽃이 핀 쪽으로 끌고 가기를 바란다’는 말을 인용하기도 했다. 유엔의 지원을 받기 시작해 유엔과 80년 역사를 함께한 한국이 경제적 성장을 넘어 정치적·문화적 성취까지 이뤄내며 글로벌 선도국가로 자리매김했음을 부각한 것이다. 한편 이 대통령은 연설에서 ‘대한민국’ 33회, ‘평화’ 25회, ‘민주주의’ 12회, ‘한반도’를 8회 언급했다. >> 관계기사 한국판 관련기사 대통령 "비핵화 현실적 방안 모색"…핵 보유만 인정 우려도 이 대통령, 북핵 ‘END’ 구상 발표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한반도 이재명 한반도 대결 이재명 대한민국 한반도 냉전
2025.09.23. 2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