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미동부한식세계화추진위 ‘K푸드 글로벌 비전 포럼’

미동부한식세계화추진위원회(KCGC)는 7일 뉴욕한국문화원에서 2025년 운영 컨설팅 사업의 일환으로 ‘K푸드 글로벌 비전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한식진흥원과 뉴욕한국문화원 후원으로 진행됐다. 컨설팅 사업에는 80여명이 참석했다.     ‘한식의 산업화, 정착화를 위한 현재 해야할 일과 미래 조명’이라는 주제로 강연과 포럼이 진행됐으며, 세계 3대 요리학교 CIA 양종집 교수와 GIANT FOOD SYSTEM의 장진호 대표가 개별 강연을 진행한 후 포럼을 진행했다. Urimat Hospitality의 JK KIM 팀장은 현실적인 위생교육 매뉴얼과 대응 방안 등에 대한 강의를 진행했다.   동시에 진행된 한식 워크숍에서는 르 꼬르동 블루, 푸드 스타일리스트 출신의 티 전문가인 임보은 티 디렉터가 한식 디저트 시연을 진행했다. 한국에서 직접 가지고 온 우리농 고추장 밀키트로 만든 막장, 고추장을 활용한 디저트 메뉴인 ‘우엉 튀김을 곁들인 막장 고구마 앙금’과 ‘고추장 크림이 올라간 팥 찹쌀떡’을 한국 전통차와 함께 시식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한국의 도예가 김길산 작가의 정가로이 브랜드 쇼케이스를 함께 진행했으며, 정가로이 그릇들의 생활 속의 미학을 한식 디저트과 차 시연 시식을 통해 선보였다. 김 작가는 쇼케이스에서 아버지인 명인 김종훈 도예가의 달항아리, 해항아리도 함께 전시했다.   미동부한식세계화추진위원회는 운영 컨설팅 행사 종료 후 ‘한식의 밤’도 진행했다. CIA 양 교수가 한식 세계화 상을, COTE의 David Shim 셰프는 셰프상을, ‘김차열의 명품갈비’ 김차열 셰프는 공로상을 수상했다.     문준호 미동부한식세계화추진위원회 회장은 “한식 세계화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한식 산업화를 목표로 그 기반을 단단히 하고자 다양한 형태의 교육과 토론으로 K푸드 관계자들의 큰 관심과 호응을 받았다”며 “앞으로도 더 적극적이고 새로운 형태의 행사로 한식 산업화를 주도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미동부한식세계화추진위 글로벌 한식 디저트과 k푸드 글로벌 한식진흥원과 뉴욕한국문화원

2025.10.08. 22:18

썸네일

미동부한식세계화추진위, 한식 사업가 대상 컨설팅 행사

미동부한식세계화추진위원회가 지난 1일 뉴욕한국문화원에서 ‘2024년 K-푸드 글로벌 비전포럼’을 열고, 한식 사업가들을 대상으로 컨설팅과 강연 등을 진행했다. 이번 포럼 행사는 미동부한식세계화추진위가 주최하고, 한식진흥원과 뉴욕한국문화원 후원으로 진행됐다.     오후 1시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 이어진 이번 컨설팅 행사에는 뉴욕 한식당 운영자 혹은 운영 예정자 100여명이 참가했다. 추진위는 사전 접수를 통해 컨설팅이 필요한 참가자들을 모집했다.   프랜차이즈 교육 및 상담, 위생 교육에는 한국의 ‘글로벌 K-푸디로’(Global K-Foodiero)와 뉴욕 우리맛 컨설팅의 임도균 팀장이 참가했다. 글로벌 K-푸디로는 한국 프랜차이즈 브랜드 소개와 사업설명을 진행했고, 임 팀장은 현실적인 위생교육 매뉴얼과 대응 방안 등에 대한 강의를 진행했다.     이어진 포럼에서는 한국 ‘글로우 서울’(Glow Seoul)의 유정수 대표, ‘아머드 프레시’(Armored Fresh)의 루디 유 대표, 한국 난로회의 최정윤 이사장, 그리고 LA의 이요한 변호사 등이 연사로 나섰다. 이 자리에서 참가자들은 한식세계화와 한식의 산업화, 그리고 한식이 글로벌 트렌드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강연을 듣고 토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난로회 최정윤 이사장은 26년째 한국·스페인·호주에서 셰프와 한식 연구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2022년 글로벌 한식 브랜딩을 주제로 난로회를 결성, 총 300명이 넘는 한식 전문가들의 모임을 진행하는 인물이다. 공간 기획력을 기반으로 독창적인 브랜드를 창출하는 글로우 서울의 유정수 대표는 한국의 온천집, 청수담 등 브랜드로 서울 익선동을 핫 플레이스로 재탄생시킨 인물이다. 아머드 프레시의 루디 유 대표는 혁신적인 대체 유제품 개발과 지속 가능한 식품 기술로 비건 치즈를 포함한 다양한 대체 유제품을 개발해 미국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한 바 있다. 그는 강연에서 향후 K-푸드가 나아가야 할 전문성과 비전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이요한 법무법인 대표는 프랜차이즈 및 라이선스 등에 대한 의견과 주의점 등에 대해 논의했다.   미동부한식세계화추진위원회는 행사 종료 후 한식의 밤을 진행하고 한식 유튜버 망치에게 한식세계화 상을, 핸드호스피탈리티 백인근 셰프에게 셰프상, 글로우 서울 유 대표에게 기업상을 수여했다. 문준호 미동부한식세계화추진위원회 회장은 “한식세계화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한식 산업화를 목표로 삼았다”며 “더 적극적이고 새로운 형태의 행사로 한식 산업화를 주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미동부한식세계화추진위 컨설팅 한식진흥원과 뉴욕한국문화원 한식 사업가들 글로벌 한식

2024.10.03. 20:26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