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또 대대적 판매허가서 단속…가주 6개지역 업소 대상

가주 정부가 또 대대적인 판매허가서(Seller's Permit) 단속에 나선다. 가주조세형평국(BOE)은 주내 6개 집코드 지역의 7400여개 소매업소들에 단속을 시작한다는 내용의 서한을 이미 발송했다고 밝혔다. 대상은 한인 업소도 상당수 있는 셔먼옥스(91403) 캐년카운티(91351) 시미밸리(93065) 칼스배드(92009) 등 남가주 4개 지역과 북가주의 폴섬(95630) 그래나이트 베이(95746) 등이다. 단속반은 8명이 한팀으로 총 7개조로 구성되며 업소를 직접 방문해 상점 정면의 판매허가서와 각종 라이선스 부착 여부를 비롯해 판매세 등 세금 관련 서류도 조사하게 된다. 그러나 개인 재정에 대한 정보는 묻지 않는다. 적발된 업소들은 현장에서 판매허가서와 라이선스 등록 절차에 대한 교육 받게 되며 차후에 벌금과 밀린 세금에 대한 이자까지 부과될 수 있다고 BOE측은 전했다. BOE의 한 관계자는 "판매허가서나 적법한 라이선스를 취득하지 않은 채 비즈니스를 운영하며 부당 이익을 챙기는 업소가 상당 수"라며 "이 같은 부당행위를 근절하기 위해 단속을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단속은 지난 2008년 9월 이래 지속적으로 펼치고 있는 SCOP(Statewide Compliance and Outreach Program)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실시되는 것이다. SCOP는 가주 전역의 업소를 무작위로 선택해 BOE 단속반이 직접 방문해 판매허가서와 비즈니스에 필요한 각종 라이선스 판매세 및 사용세 납부 여부 등을 확인하는 프로그램이다. 한편 BOE는 판매허가서를 취득하지 않거나 적법한 라이선스 없이 운영하는 업소들로 인해 연간 20억달러의 세수가 덜 걷히고 있다고 밝혔다. 진성철 기자

2011.05.05. 18:28

'노동허가' 빨라졌다…늦어도 4주면 수속 가능

취업이민 수속의 첫 관문인 노동허가 수속이 앞당겨졌다. 연방노동부가 공개한 수속 현황에 따르면 1월 3일 현재 2010년 12월 접수분을 수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허가는 그동안 서류 심사를 강화하면서 지난 해 중순까지만 해도 평균 3~6개월까지 소요되며 적체 현상까지 발생했었다. 그러나 한인타운내 이민법 관계자들에 따르면 평균 3~6개월이 걸리던 노동허가 수속일은 현재 평균 2주에서 최고 4주로 줄어 적체 현상도 완전히 해소된 것으로 보인다. 노동허가서 처리기간이 단축된 것은 경기침체 여파로 취업이민 신청자들이 크게 줄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민법 관계자들은 "최근 수속을 처리하고 있는 전산 시스템(PERM)을 업그레이드하면서 서류 처리에 대한 정확도가 높아졌다"며 "이 때문에 수속도 빨라지고 재심사를 요청하는 케이스도 감소해 적체 현상이 줄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장연화 기자

2011.01.07. 20:13

노동허가 거부율 급증 '10건중 3건' 기각…평소 3배

취업이민의 첫 관문인 노동허가 거부율이 급상승했다. 신청서 접수도 급감한 것으로 드러났다. 연방노동부가 4일 공개한 2009회계년도 1/4분기(2008년 10월 1일~12월 31일) 노동허가 발급 통계에 따르면 신청서 10건 중 3건이 기각된 것으로 파악됐다. 지금까지 노동허가서 거부율이 평균 10% 내외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3배 가까이 증가한 셈이다. 이번 노동부 통계에 따르면 이 기간동안 수속이 완료된 노동허가서는 4571건이며 이중 29%인 1328건이 서류 불충분 등의 이유로 기각됐다. 또 신청자가 스스로 포기한 케이스는 169건이다. 따라서 이 둘을 합칠 경우 전체 수속 서류의 33%가 거부된 셈이다. 전문가들은 노동허가 거부율이 증가한 이유로 노동부의 서류 심사 강화를 들었다. 노동부는 지난 해부터 이민서비스국(USCIS)과 공조해 가짜 서류를 이용해 영주권을 신청하는 케이스 단속을 해왔다. 노동부에 따르면 2008회계연도 1/4분기동안 접수된 노동허가 신청서는 2만667건이었다. 장연화 기자

2009.02.04. 20:25

한인 노동허가서 승인, 캘리포니아주 가장 많다

한국인들의 취업이민 신청자가 가장 많은 지역은 캘리포니아주로 조사됐다. 〈표참조> 연방노동부가 최근 발표한 2007년도 노동허가서 신청 및 발급 현황에 따르면 전체 한국인 취득자 5159명 가운데 40%인 2069명이 가주에서 승인받았다. 그 뒤로 뉴욕주는 573명이며 뉴저지 371명 버지니아 235명 텍사스 207명 일리노이 203명 조지아 182명 펜실베이니아 149명 메릴랜드 141명 워싱턴 98명 순이다. 국가별 노동허가서 승인 통계를 보면 인도가 2만4573건으로 전체 승인서류(8만5112건)의 28%를 차지했으며 중국 6846건 멕시코 6442건으로 집계됐다. 전국적으로 노동허가 신청률이 높은 한인 업체는 LG전자 앨라배마 디펜스 랭기지 인스티튜트 어게인스트 올 오즈 USA 뉴저지 프로토콜 등이 포함됐다. 가주의 경우 직업별로 분류하면 컴퓨터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2295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컴퓨터 시스템 엔지니어가 1697명으로 2위를 기록했으며 전자공학(컴퓨터 제외.1416명 컴퓨터 시스템 분석가(679명) 자택건강보조(639명) 등이다. 농장을 제외한 서비스직 종사자에게 발급하는 단기취업비자(H-2B)의 경우 식당 종업원(876건)이 가장 많았으며 가정부.청소부(615건) 놀이공원 직원(586명) 세일즈 사무원(305명) 정원노동자(275명) 순이다. 장연화 기자

2009.01.16. 21:49

한인 신청 노동허가서, 요리사 가장 많다

지난 2007년 한해동안 한국인들이 가장 많이 신청한 취업은 식당 요리사로 조사됐다. 또 노동허가 신청서 10건 중 1건은 거부된 것으로 드러났다. 〈표참조> 연방노동부가 14일 공개한 2007년도 노동허가 발급 통계에 따르면 이 기간동안 한국인이 신청한 노동허가는 5880건이며 이중 87.7%인 5159건에 대한 승인이 이뤄졌다. 직업별로 보면 레스토랑 요리사가 247건으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3위로 오른 수석 요리사 134건까지 합하면 400명에 가까운 한인들이 요리 관련 직업으로 노동허가서를 신청한 셈이다. 그 뒤를 이어 시장조사 분석가가 203건으로 두번 째로 많았으며 건축가 125건 회계사 114건 전기엔지니어 109건 컴퓨터시스템 엔지니어 108건 컴퓨터소프트웨어 개발자 98건 테일러.봉제사 96건 재정분석가 90건 순이다. 전체 신청자의 36.5%인 2152명이 취업비자(H-1B) 소지자였으며 학생비자(F-1)가 637명 관광비자(B-2) 486명 투자비자(E-2) 434명 학생비자 배우자(F-2)로 파악됐다. 이밖에 신청자의 평균 연령은 38세로 파악됐으며 평균 임금은 5만1600달러로 나타났다. 장연화 기자[email protected]

2009.01.14. 21:4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