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업체인 PMK를 운영하는 폴 김 대표가 휴대폰으로 사진들을 건넸다. 사진 속 짙은 회색 연기 너머로 보이는 것은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폐허가 된 집터뿐이다. 그는 “다시 돌아갈 줄 알고 양말 몇 개만 챙겨서 나왔는데 나중에 가보니 모든 게 잿더미가 됐더라”며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를 정도로 머리가 텅 빈 상태”라고 말했다. 하루아침에 보금자리를 잃어버린 김 대표는 현재 아들 집에 머물고 있다. 살던 동네를 떠올리면 가슴이 먹먹해진다. 김 대표는 “지금으로서는 살던 곳에 다시 가보는 게 너무 힘들 것 같다”며 “평온했던 동네가 모두 사라져버렸다”고 전했다. 상흔은 곳곳에 역력하다. 13일 오전 10시, 이튼 산불 피해 지역인 노스 알타데나 드라이브와 가피아스 드라이브 교차로 인근이다. 산불 발생 직후였던 지난 8일 이곳은 잿빛 하늘 가운데 옷깃이 휘날릴 정도의 강풍으로 재들이 가득했던 지역이다. 닷새 만에 다시 찾은 이곳은 바람 소리가 귓가를 스칠 정도로 고요했다. 간간이 보이는 골조는 이곳이 집터였다는 사실만 알리고 있다. 구름 한 점 없는 푸른 하늘이 무색할 정도다. 한 노인이 곡괭이와 삽을 들고 잔해 속에서 뭔가를 찾고 있다. 그는 “이곳은 내 딸이 살던 집”이라고 했다. 호세 씨는 “딸이 지금 너무 힘들어해서 대신 남은 물건을 찾으러 나왔다”며 “이쪽이 거실과 안방이었는데 이 근처에 분명 사진이나 귀중품들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차를 몰고 알타데나의 워싱턴 불러바드와 델레이 애비뉴로 향했다. 닷새 전 마스크 없이는 숨 쉬기조차 어려웠던 이곳은 노인들이 머물던 ‘투팜스 너싱 센터’가 있던 자리다. 곳곳에 보이던 불길, 파손된 휠체어, 병원용 침대, 부서진 나무 조각 등이 널브러져 있던 투팜스 너싱 센터는 이제 검게 그을린 철골 구조물만 앙상하게 남아 있다. 인근의 맥도널드 알타데나 지점은 이번 산불로 유리창이 모두 깨져 있었다. 외벽 곳곳의 그을음은 화마가 할퀴고 간 흔적이다. 그 옆으로 완전히 사라져버린 ‘아베슨 차터 스쿨’의 건물터도 보였다. 철조망 너머로 농구 골대와 학교 표지판만 덩그러니 남아 있다. 학생들이 공부하고 뛰놀던 학교였다는 것을 상상하기 힘들 정도다.이곳을 지나던 한 주민에게 인터뷰를 요청했지만 “지금은 아무 말도 하고 싶지 않다”며 “사람들이 북적이던 이 동네가 순식간에 이렇게 변했다는 게 믿기지 않아 너무 힘들다”고 말했다. 특히 알타데나는 라크레센타, 라카냐다 등과 함께 한인들이 많이 사는 지역이다. 이번 산불의 또 다른 피해 지역인 퍼시픽 팰리세이즈에도 메이저리거였던 박찬호를 비롯한 한인들이 다수 살고 있다. 본지는 부동산 명의 정보 회사인 시카고타이틀에 알타데나 지역의 주택 소유주 현황을 의뢰했다. 시카고타이틀 측이 김(Kim), 이(Lee), 박(Park), 정(Jung) 등 주요 한인 성씨를 검색한 결과에 따르면 알타데나 150채, 팰리세이즈 130채 등 약 280채가 한인이 소유한 주택으로 추정된다. 이는 주요 한인 성씨만 검색한 것으로 실제 한인 피해는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 산불의 확산으로 연기 냄새가 가득했던 알타데나 지역은 이제 잔해 속에서 복구를 위한 첫걸음을 내딛고 있다. 우드버리 로드와 페어옥스 애비뉴 교차로에는 멕시칸 케이터링 업체인 ‘플러프스 타코스(Fluff’s Tacos)‘ 측이 천막을 치고 무료로 타코를 나눠주고 있었다. 소방대원과 주민들을 위해 마련한 자리다. 천막 옆으로는 이재민들을 위한 물, 의류, 통조림과 같은 구호품도 쌓여 있었다. 이 업체의 직원 라파엘 로드리게스는 주민들에게 “타코도 먹고 필요한 물품이 있으면 가져가라”며 “이 음식과 물품이 조금이라도 힘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패서디나 컨벤션 센터는 피해자들을 위한 대피소로 지정됐다. 대피소를 관리하는 적십자사에 따르면 13일 기준 약 600명이 이곳에 머물고 있다. 이곳은 피해자들의 안정을 위해 일반인과 언론의 출입은 철저히 통제되고 있다. 연방재난관리청(FEMA) 직원들은 이날 대피소에서 피해자들에게 정부 지원 기금 신청 방법, 각종 정보 등을 알리기도 했다. 이날 대피소에 있다가 FEMA 직원과 상담을 마친 테레사 씨는 “가족들이 한 동네에 살고 있었는데 집 두 채가 모두 타버렸다”며 “가족들이 몸 말고는 모든 걸 다 잃어버려서 어떻게 회복할 수 있을지 막막한 상태”라고 말했다. 정윤재 기자 [email protected]잿더미 망연자실 한인 피해 드라이브 교차로 주요 한인
2025.01.14. 20:22
탬파에 사는 한인들은 탬파를 약간 비껴간 2주 전의 헐린보다 탬파로 직접 온 이번 폭풍이 더 무서웠다고 전했다. 탬파에 거주하는 한인은 약 2만명으로 플로리다에서 한인들이 가장 많이 사는 지역이다. 탬파 통합한국학교 김진희 교장은 10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너무 무서운 밤”이었다며 집 유리창이 깨지고 에어컨 실외기가 고장 나는 정도는 아무것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 교장이 사는 뉴탬파 지역은 지대가 상대적으로 높아 해안가보다 피해가 덜했다. 이곳은 롯데마트가 있어 한인들이 많이 거주한다. 탬파에 사는 한인 유씨는 "아직 전기가 안 들어온 곳이 많지만, 우리 동네는 나무가 부러지거나 쓰러진 정도로 피해가 적은 것 같다"며 주변에 지붕이 날아가거나 홍수로 물에 잠긴 곳은 없다고 전했다. 탬파를 관할하는 서부플로리다 한인회의 신광수 회장은 10일 오전 “아직 큰 피해 상황은 보고되지 않았지만, 세인트 피터즈버그 쪽에서 피해가 큰 것으로 보인다”며 사태를 파악 중이라고 전했다. 세인트 피터즈버그는 탬파에서 서쪽으로 20여분 떨어진 곳으로, 해안가와 맞닿아 있다. 윤지아 기자허리케인 플로리다 서부플로리다 한인회의 플로리다 강타 한인 피해
2024.10.10. 15:04
# 라스베이거스에서 거주하는 김모씨는 개인 거래 환전을 알아봤다가 3만 달러 거금을 찾을 수 없게 됐다. 김씨는 “한국 계좌에 원화가 입금된 것을 확인하고, 상대방에게 3만 달러를 주고 거래를 마쳤다”며 “하지만 한국 계좌가 범죄에 연루되며 동결됐고 돈도 찾을 수 없게 됐다. 달러를 받아간 사기범은 연락이 안 된다”고 망연자실했다. 최근 환전 사기 한인 피해가 다시 늘어 주의가 요구된다. 20일 LA총영사관에 따르면 최근 한 달 사이 거액의 환전 사기 피해가 2건 발생했다. 고환율이 계속되고 여행객이 증가하자 ‘개인 간 저렴한 환전’을 미끼로 거액을 가로채는 수법에 당한 것이다. 특히 이들은 범행 대상을 최대한 안심시킨 뒤 돈만 챙겨 잠적하고 있다. 우선 사기범들은 한인이 자주 찾는 웹사이트에서 개인 간 환전거래를 원하는 이들이 남긴 글을 보고 접근한다. 일부 사기범은 해당 게시판에 시중보다 저렴한 환율을 미끼로 개인 거래 희망자를 찾는다는 글을 올린다. 개인 간 환전거래는 신뢰성을 담보할 수 없지만 저렴한 환율적용과 시간 절약으로 일부 한인이 애용한다. 최근 사기범들은 이 지점을 노리고 있다. 환전 사기를 당한 김씨는 “그들이 먼저 한국의 내 계좌로 3만 달러에 해당하는 원화를 입금한 것을 확인하도록 했다”며 “돈이 입금된 것을 확인한 뒤 더는 의심할 수 없었다. 보이스피싱에 연루됐다며 입금된 돈을 찾을 수 없게 될 줄은 꿈에도 몰랐다”고 전했다. 한국 경찰 등 수사당국에 따르면 사기범은 보이스피싱으로 다른 피해자를 속여 김씨의 한국 계좌에 돈을 입금하게 한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에서 사기범에게 달러를 건넸던 김씨는 졸지에 보이스피싱 연루 사범 의혹까지 받게 됐다. LA총영사관 강경한 경찰영사는 “환전 사기 피해자 계좌에 입금된 돈이 보이스피싱 피해를 본 사람의 돈이라면 계좌가 동결되고 찾을 수도 없다”며 “전통적인 환전 사기를 벗어난 더 교묘해진 수법으로 사전에 조심해야 한다. 미국에서 한국으로 돈을 보낼 때는 꼭 은행 등 공인기관을 통해서 송금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보이스피싱 환전사기 신종 환전사기 한인 피해 한국 계좌
2023.07.20. 2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