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메디케이드 삭감되면 한인노인-한인병원 타격

연방정부 예산 감축 기조 하에 메디케이드 삭감 등을 포함한 감세법안이 초읽기에 들어간 가운데, 현실화될 경우 한인 빈곤 노인 계층과 한인 의료계가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버지니아 주정부 발표에 의하면 버지니아 주민 881만명 중 22%인 190만명이 메디케이드 혜택을 받고 있다.     65세 이상 노인을 기준으로 한다면 수혜비율은 40%가 넘는다. 한인 노인 상당수가 은퇴와 함께 자산을 자녀에게 이전하고 노인아파트 주택보조와 함께 저소득층 의료부조 프로그램인 메디케이드 수혜자격을 얻고 있다. 메디케이드는 메디케어의 보조적 수단으로 여겨져, 지병과 고령으로 인해 거동이 불편해질 경우 장기요양 혜택 등 매우 긴요하게 쓰이고 있다.    메디케이드가 삭감될 경우 한인노인 빈곤계층이 받을 타격은 상상하기 어렵지 않다. 노인 의료비용 지출액은 은퇴 노인 생활비의 30%를 웃돈다. 메디케이드 수혜자격은 다른 사회복지 프로그램 수혜 자격과 연동되기 때문에 또다른 복지혜택도 위험에 처하게 된다. 상당수의 한인 운영 병의원이 사실상 메디케이드 환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메디케이드가 축소될 경우 수입 감소로 이어지게 된다.     버지니아 출신의 마크 워너 연방상원의원은 “메디케이드가 삭감될 경우 메디케이드를 상대하는 버지니아의 거의 모든 병원이 문을 닫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버지니아 외곽 지역과 유색인종이 주로 이용하는 의료시설 환자의 70% 이상이 메디케어-메디케이드 환자였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소득세 감세로 인해 부족해진 재정을 보충하기 위해서는 1조 5000억 달러의 지출을 삭감해야 한다”고 밝혔다.     초당파적인 의회예산국(CBO)은 메디케이드 예산삭감 없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고 단언했다. 버지니아는 2019년 오바마케어에 의한 메디케이드 확장 정책에 따라 연방빈곤선 138% 미만 가구에 대해서도 메디케이드 수혜자격을 부여했다. 버지니아주 의료지원서비스국(VDMAS)에 따르면 전체 메디케이드 수혜자 190만명 중 연방반곤선 138% 미만 자격 조건에 의한 수혜자가 63만명에 이른다.     기존의 메디케이드는 연방정부가 전체 비용의 53%, 주정부가 나머지를 부담한다. 하지만 연방빈곤선 138%의 경우에는 연방정부가 90%, 주정부가 10%를 부담한다. 버지니아병원-의료연합회(VHAA)에 의하면 이번 회계연도 주정부의 연방빈곤선 138% 정책에 의한 주정부 분담금은 5억7200만달러이지만, 연방정부가 90% 분담비율을 축소하거나 포기할 경우 어쩔 수 없이 수혜자 자격을 박탈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연방정부가 전통적인 메디케이드 지원비율도 53%에서 크게 줄일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메디케이드 한인노인 메디케이드 수혜자격 메디케이드 삭감 한인노인 빈곤계층

2025.07.03. 11:55

썸네일

한인 어르신들의 삶…2세들이 듣고 기록한다

한인 2세들이 음식을 매개로 한인 어르신들의 살아온 이야기를 듣고 기록한다. 이야기는 지역 예술가들의 일러스트와 함께 잡지에 실려 젊은 세대에게 전해진다.   LA와 북가주 지역 한인 2세들이 만든 단체 ‘씨야기(Seed Story)’가 하는 일이다.   씨야기는 지난 2021년 조경 디자이너 배한나씨가 성현(스튜디오 문야), 황지니(플랜트 디자이너), 이윤주(예술단체 교포), 이지현(비영리단체 컨설턴트)씨 등과 함께 설립한 단체다.   이 단체는 1세대의 이야기 속에서 오늘날 문화권과의 연결고리를 찾아 이를 차세대에 전달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배한나씨는 “음식은 언어의 장벽, 세대 간 장벽을 해소할 수 있는 가장 완벽한 주제”라며 “그들의 이야기는 곧 사라질 수도 있는 정보들인데 이를 듣고 기록해서 다음 세대를 비롯한 타 커뮤니티에도 공유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씨야기는 문화 기억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LA, 샌프란시스코 등의 한인 시니어들을 대상으로 음식과 관련한 삶의 이야기를 심층 인터뷰를 통해 기록했다. 예술가들은 1세들의 이야기를 일러스트로 그렸다. 젊은 세대들도 쉽게 공감할 수 있는 글과 그림은 영문 잡지로 제작돼 벌써 10권이나 만들어졌다.   프로젝트 시행 초기 인터뷰는 쉽지 않았다. 고령의 이민자들이 자신의 과거에 대해 진솔하게 말할 수 있도록 관계부터 형성돼야 했다. 이들은 친할아버지, 친할머니를 대하듯 다가갔다. 인터뷰 시간에도 구애받지 않았다. 어르신들의 마음을 열어야 했다.   배씨는 “한국은 과거 농경 국가였는데 어르신들은 어린 시절 먹었던, 지금은 찾아볼 수 없는 음식에 대해 재미있는 이야기를 많이 들려줬다”며 “일제 강점기, 전쟁의 기억 등 고난 속에서 그 누구에게도 털어놓지 않았던 자신만의 이야기를 들려준 분들도 있었다”고 말했다.   한인 2세들이 씨야기를 통해 의기투합하게 된 것은 팬데믹 사태 때문이었다.   코로나 확산이 극심할 당시 배씨의 할머니는 요양원에서 생활 중이었다. 가족과 면회도 중단되고 언어 장벽으로 인해 요양원 내에서 고립돼야 했다. 팬데믹 사태가 불거진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배씨의 할머니는 건강 악화로 요양원에서 쓸쓸하게 눈을 감았다.   배씨는 “인터뷰를 떠나 어르신들의 이야기를 경청하는 것은 우리가 윗세대에게 놓치고 있던 인간적인 유대감을 형성하는 행위였다”며 “이 프로젝트는 ‘인간 대 인간’의 관계 형성을 통해 어르신들의 고립감도 덜어주자는 게 목표 중 하나였다”고 전했다.   지난해 11월에는 북가주 지역 원주민인 ‘올론(Ohlone)’족과 한인 노인들의 문화 공유를 위해 만남의 행사도 진행했다. 도토리가 양 문화권을 잇는 매개였다.   씨야기의 이지현씨는 “전 세계적으로 도토리를 먹는 문화권이 거의 없는데 올론족은 한인들과 마찬가지로 도토리를 먹는다”며 “올론족 레스토랑에서 셰프들이 한국식 도토리묵을 비롯한 도토리로 만든 코스 요리를 선보이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고 말했다.   현재 씨야기는 오클랜드 지역 차이나타운에서 아시아계 미국인 비영리단체인 ‘컷 프룻 콜렉티브(Cut Fruit Collective)’와 함께 지역사회 내 한인, 중국인 노인들을 초청해 이야기를 들으며 음식을 나누는 이벤트도 진행할 계획이다.   한편, 씨야기는 현재 웹사이트(www.ssiyagi.com)를 통해 한인 어르신들의 이야기를 담아내고 있다. 지난 2월에는 UC버클리에서 한인 이민자 노인들을 위한 이야기를 공유하는 강의도 진행한 바 있다.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한인노인 기록 한인 노인들 한인 어르신들 단체 씨야기음식

2023.06.18. 20:07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