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앤디 김, 한인밀집 버겐카운티 전당대회 패배

뉴저지주 연방상원의원에 도전하는 앤디 김(3선거구) 연방하원의원이 버겐카운티 민주당 전당대회서 패배했다.     4일 오후 파라무스에서 개최된 버겐카운티 민주당 전당대회 결과 총 1157명의 당원이 투표한 가운데 태미 머피 후보가 738표를 얻어 승리했다. 김 의원은 419표를 받았다.   앞서 이 지역 정치인 대부분이 태미 머피 후보 지지를 밝힌 만큼 김 의원의 승리 가능성은 크지 않았다. 지난 1월 30일 한인 엘렌 박(37선거구) 뉴저지주 하원의원을 비롯해 당내 실력자 100명 이상이 머피 후보의 지지를 선언한 바 있다.   버겐카운티는 민주당 유권자의 10%를 차지하는 영향력 있는 지역이다. 3월 1일 기준 민주당 유권자 249만명 중 25만 명이 버겐카운티 거주자다.   당내 영향력과 더불어 한인밀집지역이라 관심이 쏠렸다. 센서스국에 따르면 버겐카운티 내 아시안 인구는 15만 명으로 단일 인종으론 백인(51만 명) 다음으로 많다. 이중 한인은 약 5만9000명으로 추정된다.   전당대회 결과가 실제 표심과 일치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전당대회에서 승리하면 해당 카운티 투표용지 맨 앞에 이름이 기재될 뿐, 실제 선거에는 반영되지 않는다.   김 의원은 이같은 ‘카운티라인’ 제도를 꾸준히 비판했고, 최근 각 카운티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이날 역시 전당대회 후 “결코 공정한 싸움이 아니었다”고 밝혔다.   다만 “앞서 리지우드에서 진행한 행사에 참석한 200여 명의 당원과 한인사회의 에너지로 불타올랐다”며 “분명한 사실은 저와 함께 싸울 준비가 된 당원이 400명이 넘는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로써 김 의원과 머피 후보는 5대 3의 성적을 기록했다. 김 의원은 현재 만머스·벌링턴·헌터던·서섹스·워런카운티에서 승리했으며 머피 후보는 퍼세익·유니언·버겐카운티의 지지를 확보했다.   한편 김 의원이 제기한 뉴저지주 투표용지 디자인 소송은 오는 18일 첫 심리를 앞두고 있다. 그는 전당대회 결과와 상관없이 모든 후보가 동등하게 배치되는 ‘블록형’ 투표용지를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하은 기자한인밀집 전당대회 전당대회 패배 민주당 전당대회 전당대회 결과

2024.03.05. 20:07

NJ 한인밀집 학군 SAT 점수 높다

뉴저지주 한인 밀집 학군 대부분이 대학입학자격시험(SAT) 평균점수가 주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뉴저지주 교육국이 발표한 2021~2022학년도 학교별 학업성취도 보고서(School Performance Report)에 따르면, 한인 밀집 포트리 학군의 SAT 평균점수는 1232점, 레오니아 1167점, 팰리세이즈파크 1117점, 리지필드 1105점, 테너플라이 1304점, 크레스킬 1286점, 노던밸리리저널 1254점 등 주 평균 점수인 1070점보다 높았다.   SAT 평균점수가 가장 높은 학군은 버겐카운티 특수목적고등학교 학군인 버겐카운티테크니컬스쿨(BCTS) 학군 (1373점)으로 나타났다.   SAT 평균점수는 전반적으로 떨어진 반면, AP(대학학점 선이수제) 시험 합격률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1개 이상의 AP 시험에서 3점 이상을 받아 합격한 학생은 주평균 19.9%로 전년도 17.9% 대비 2%포인트 증가한 반면, SAT 점수는 전년도 주평균 1117점 대비 4.21% 감소했다.   이는 팬데믹 이후 주요 대학들이 입학심사에서 SAT 점수 제출을 선택사항으로 넘기면서 학생들이 중요도가 조금 떨어진 SAT시험 보단 대학 입학시 학점까지 이수할 수 있는 AP시험에 더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보고서에 따르면 포트리 학군이 뉴저지내 최대 한인 밀집 학군의 자리를 이어갔다.   전체 학생 중 46.7%가 아시안으로 나타나 주요 한인 밀집타운 중 가장 높았으며, 가정에서 한국어를 사용한다고 밝힌 비율은 20.2%로 영어(48.5%)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뉴저지주에서 한인 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팰팍의 경우 아시안 학생은 전년도에서 2.9%포인트 감소한 28.8%에 그쳤고 가정내 사용언어가 영어 60.3%(전년도 70.5%), 스페인어 31.0%(전년도 24.3%)로 한국어 사용가정은 6.4%(전년도 3.9%)에 그쳤다.   팰팍에서 아시안 학생이 크게 줄어든 이유로는 학교 교육에 대한 투자 부족과 행정 및 예산 운용의 불투명성 등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이 같은 문제들이 지속되면서 학군을 떠나는 한인 학생 및 가족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는 학군·학교별 성적 및 대학 진학 준비 정도, 교내인구 통계, 졸업률 등 각 학군·학교내 환경을 일목요연하게 분석할 수 있는 자료로 주 교육국 웹사이트(rc.doe.state.nj.us)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심종민 기자 [email protected]한인밀집 점수 sat 평균점수 sat 점수 학군 대부분

2023.04.06. 21:27

썸네일

조지아에서 교육환경 가장 좋은 도시는?

조지아에서 한인이 많이 거주하는 뷰포드, 포사이스, 귀넷 등의 지역 교육구가 조지아에서 교육 환경이 좋은 곳으로 나타났다.     대학교 랭킹, 학교 장학금 등 교육에 관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계를 내리는 '니치'(niche.com)는 학업 성적, 교사 수준(임금 포함), 문화적 다양성, 동아리 활동, 스포츠 활동 등 조지아 교육구를 다방면으로 조사해서 '2023년 조지아 최고의 교육구' 순위를 매겼다.     뷰포드 시 교육구가 종합순위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오코니 카운티(2위), 포사이스 카운티(3위), 디케이터 시(4위), 페이앳 카운티(5위) 교육구가 뒤를 이었다. 메트로 지역에서 한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캅 카운티 교육구는 16위, 귀넷 카운티는 20위, 풀턴 카운티는 21위에 랭크됐다.     1위를 한 뷰포드 시 교육구는 거의 모든 분야에서 A+등급을 받았다. 반면 귀넷 카운티는 종합 등급 A-를 받았는데, 학업 성적, 교사 수준, 급식 등의 분야에서 B 또는 B+를 받으면서 점수가 낮아졌다.     하지만 귀넷 카운티 교육구는 '다양성' 순위에서 180개 교육구 중 1위를 차지했다. 니치는 다양한 인종, 경제 수준, 학교 문화 등을 바탕으로 다양성 점수를 집계했다.     니치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귀넷 카운티 학생들의 평균 SAT 점수는 1180점, 평균 ACT 점수는 26점이며, 가장 인기 많은 대학으로 조지아대학(UGA)과 조지아 주립대(GSU)가 뽑혔다. 또 학생과 교사 비율은 20:1인데, 전국 평균이 17:1인 것을 고려하면학생에 비해 교사가 적다.     운동선수들에게 가장 좋은 교육구로 뷰포드 시 교육구(1위), 달튼 시 교육구(2위) 등이 순위권을 차지했으며, 귀넷 카운티는 5위에 랭크됐다.     한편 니치는 연방 교육부에서 발표한 자료와 '니치 파트너 포털'에 학교 혹은 교육청이 직접 입력한 통계를 바탕으로 순위를 집계했다.     윤지아 기자한인밀집 조지아 조지아 교육구 교육구 순위 지역 교육구

2022.10.26. 13:04

썸네일

뉴욕시 한인밀집 지역 코로나19 주의보

뉴욕시 한인밀집 지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감염률이 시 전역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오미크론 변이로 촉발된 뉴욕의 코로나19 확산이 정점을 지났다는 것이 중론이지만, 한인밀집 지역의 감염은 아직까지 꺾일줄 모르고 있다.     17일 뉴욕시 보건국(DOH) 자료에 따르면 플러싱·머레이힐·퀸즈보로힐 지역을 포함하는 우편번호 11355 지역의 경우, 7일 평균 코로나19 일일 감염률이 33.6%로 나타났다. 이는 뉴욕시 전역 모든 우편번호 지역 중 가장 높은 수치다.     해당 기간 동안 총 3547명이 검사를 받아 그 중 1190명이 감염을 확인해, 검사자 3명 중 1명 꼴로 감염된 것이다. 또 이 수치는 이날 발표된 주 전역 감염률(12.9%)의 3배 가까이 된다.     다른 한인밀집지역인 우편번호 11354 지역(플러싱·머레이힐)의 경우 7일 평균 하루 감염률 29.4%, 우편번호 11361 지역(베이사이드)의 경우 24.3%를 기록해 30%에는 못 미치지만 시 전역 평균(15.1%)을 10% 포인트 이상 상회했다.     또, 롱아일랜드 지역의 경우도 7일 평균 하루 감염률이 19.3%로 주 전역에서도 높은 수준이다.     같은 자료에 따르면, 1월초 현재 뉴욕시 전역 코로나19 신규 확진의 91%가 오미크론 변이 감염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때 지배종이던 델타변이는 전체의 4%이고, 나머지 변이가 6%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 17일 발표된 뉴욕주 전역 감염률은 12.9%로 전날(16.3%)에 이어 다시 하락하면서 뉴욕지역이 오미크론 고비를 넘기고 있다는 평가에 힘을 싣고 있다.     뉴욕시의 경우도 하루 감염률과 확진자 수, 입원환자 수 등의 모든 지표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단, 어루 평균 사망자의 경우 1달 전 48명 수준에서 최근들어 60~70명으로 증가해 우려를 낳고 있다. 미 전역의 16일 신규 확진자 수는 하루 80만명 선으로 정체 양상을 이어갔다.     한편, 연방정부가 코로나19 가정용 검사키트를 무료로 배포하기 위한 웹사이트(covidtests.gov)를 개설하고 오는 19일부터 신청접수를 받는다.     미 전역은 모든 가정은 최대 4개까지 가정용 검사키트를 신청할 수 있고 배송비를 포함한 모든 비용은 무료다.  장은주 기자 [email protected]한인밀집 코로나 한인밀집 지역 뉴욕시 한인밀집 뉴욕주 전역

2022.01.17. 15:1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