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한인 NPO<비영리단체> 예산 평균 63만불, 중국계의 40%

비영리단체의 목적은 공익 실현이다. 사회 발전에 꼭 필요하지만 정부의 행정력이 미치지 못하는 일들을 주로 맡는다. 따라서 비영리단체의 활동은 사회의 건강성을 평가하는 척도가 되기도 한다.           미국 내 한인 인구가 221만 명을 넘어섰지만, 비영리단체 숫자와 예산 규모는 커뮤니티 규모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 분석 비영리단체 소다비(회장 김선호 USC 교수)와 데이터 인공지능(AI) 스타트업 기번스(www.givance.ai, 대표 허지윤)가 국세청(IRS) 자료(Form 990-501c)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전국의 한인 비영리단체는 855개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번 결과는 전국의 한인비영리단체 현황에 대한 첫 실태조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소다비와 기번스 측은 이번 조사는 한인 정체성이 뚜렷한 단체를 대상으로 했다고 밝혔다.   가주 집중과 소규모 구조   전국 한인 비영리단체의 37%에 해당하는 319개가 캘리포니아에 집중됐으며, 이 가운데 LA지역이 112개로 가장 많았다.   캘리포니아 단체의 연평균 예산은 70만 달러 수준으로 전국 평균(63만 달러)보다 높았다. 하지만, 세부적으로는 ▶10만 달러 미만 45% ▶10만~100만 달러 44% ▶100만 달러 이상 11%로, 90% 가까이가 중소 규모였다.   중국계와 뚜렷한 격차   예산 규모에서는 중국계 단체와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한인 단체 전체의 연간 총예산은 5억3900만 달러에 불과해, 중국계 단체(2029곳) 총예산 30억6000만 달러의 6분의 1 수준에 그쳤다. 단체당 평균 예산도 한인 63만 달러로 중국계 151만 달러의 40% 수준이다.   활동 분야 편중   활동 분야는 ▶교육(39%) ▶사회복지(28%) ▶종교(26%) ▶예술·문화(19%) ▶보건(7%) 순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정책 개발이나 옹호 활동을 다루는 단체는 거의 없었고, 정신건강·차세대 육성·소상공인 지원 분야도 미미했다.   보고서는 “한인 비영리단체가 지역사회 기반의 생활 서비스에는 기여하고 있지만, 특정 분야에 편중돼 있어 외연 확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지역 편중도 과제   전국 단체의 57%가 캘리포니아·뉴욕·뉴저지에 집중됐다. 반면 한인 인구가 빠르게 늘고 있는 버지니아·조지아·텍사스에서는 4~5% 수준에 그쳐, 지역 성장세에 비해 단체 기반도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보고서는 향후 과제로 ▶재정 건전성 ▶운영 효율성 ▶단체 간 협력 ▶신규 사업 개척을 꼽고, 특히 성장세가 뚜렷한 남부·동남부 지역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을 강조했다.   이번 조사는 한인사회의 양면성을 드러낸다.   양적 성장 측면에서, 221만 명 인구를 뒷받침하는 855개 단체는 결코 적지 않은 규모다.   그러나 질적 역량에서는 구조적 한계가 뚜렷하다. 중국계와 비교한 재정력 격차는 한인 비영리단체가 커뮤니티 권익 신장과 정책 영향력 확대에 제약을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정책·정신건강·차세대 분야의 부재는 한인사회 미래 과제와 직결된다.   김선호 소다비 회장은 “이번 연구로 한인 비영리단체의 강점과 약점이 동시에 확인됐다”며 “특히 정책·정신건강·청소년 리더십 분야는 기업과 개인 기부가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허지윤 기번스 대표는 “핵심 분야에 대한 집중 지원이 있어야 차세대 성장과 리더십을 뒷받침할 토대가 마련된다”고 강조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예비 비영리단체 전국 한인비영리단체 활동 한인 비영리단체 비영리단체 소다비

2025.09.28. 20:03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