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중앙 칼럼] “LA총영사관에 이러려고 파견왔나”

LA총영사관(총영사 김영완)이 뒤숭숭하다. 한국의 비상계엄 사태로 인한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부터 이재명 국민주권정부 출범 때까지 LA총영사관 등 미국 내 재외공관은 선장 잃은 배 같았다. 당시 본국 외교부의 지침은 ‘정중동’으로 알려졌다.   쉽게 말해 시국이 어수선하니 기본 업무에 집중하고, 돌출행동으로 튀지는 말라는 당부였다. 그래서일까. 지난 반 년여 동안 LA총영사관에서 주도적으로 나선 대외행사나 업무는 주목받지 못했다. 취재가 필요해 내부 관계자와 접촉해도 말을 아끼는 경우가 많았다. 한 외교관은 “우리도 이런 상황이 곤혹스럽다”며 양해를 당부했다.   LA총영사관은 본국에서 파견한 영사 약 20명, 상주 행정직원 약 30명으로 한국 재외공관 180여 곳 중 손에 꼽는 규모를 자랑한다. 관할지역 한인사회 인구는 외교부 기준 약 70만 명, 한인단체만 300개가 넘는다. LA관광청에 따르면 한 해 한국에서 LA를 방문하는 한국인도 27만 명이나 된다. 그만큼 LA총영사관의 업무 부담은 크고, 책임감 또한 막중하다.   특히 총영사관은 재외국민 보호가 가장 중요한 역할이다. LA총영사관은 재외국민 보호 역할 외에 세계 최대 규모라는 한인사회와 유기적인 소통도 해야 한다. 자국민인 재외국민과 시민권자 등 재외동포를 구별하기 어려운 한인사회 특성상 재외공관의 업무숙달과 일 처리는 항상 주목받는다. 그만큼 한인사회가 LA총영사관에 거는 기대도 항상 크다.   지난 10년여 동안 LA총영사관은 민원업무 만족도에서 부침을 겪었다. 민원인의 평가는 박할 때가 많았다. LA총영사관 측은 부족한 인력으로 한 해 9만 건에 달하는 민원업무 처리에 고충이 많다며 양해를 늘 구한다.   민원인의 평가가 좋아진 시기에는 공관장의 역할이 주효했다. 통상 3년 단위로 바뀌는 공관장의 소신과 업무 추진력에 따라 민원인 당사자가 느끼는 체감온도는 달랐다. 특히 한인사회와 적극적인 소통을 중시한 공관장 재임 시절일수록, 현지 사정에 능한 한인들 활약 덕분에 공공외교 성과 등 부수적인 기대효과도 컸다.   현재 LA총영사관은 업무 추진 면에서 적극성 대신 수동적인 자세로 변한 모습이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본국에서 파견된 공무원이다. 그동안 민원인, 한인사회와 적극적인 소통이 덕목으로 꼽혔다면, 최근에는 ‘개인의 영역’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단적인 예는 한인사회 미디어와 접촉을 최대한 꺼린다는 점이다. 비즈니스 영역에서도 통상 공유하는 직통 연락처를 감춘다. 공적인 사안을 문의하려 하면, 대표전화를 거치라며 자체 게이트 키핑을 한다. 소통 단계를 형식적으로 추가함으로써 효율성을 떨어트린다.   언론의 재외공관 접촉은 공적 영역이란 측면에서 민원인보다 상대적으로 수월하다. 미디어 종사자마저 총영사관 공무원과 대화하기 어렵다면, 민원인이 어려움을 당했을 때 겪을 불편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이런 분위기를 반영한 듯 총영사관 내부에서조차 “일부 공무원의 방어적 모습을 보면 파견은 왜 나왔는지 묻고 싶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결국 문제의 답은 재외공관장의 리더십으로 귀결된다. 총영사관의 무사안일주의는 공관장이 나서지 않을수록 심화한다. LA총영사는 지난 1년여 동안 기자회견 한 번 하지 않았다. 최근 수동적인 분위기가 팽배한 총영사관은 개선 방법을 고민해 봐야 한다.   이재명 국민주권정부는 지난 7월 각국에 주재하는 모든 공관장에게 일괄사표를 지시했다. 새 정부 출범에 따라 재신임 절차를 밟는 과정이다. 이 대통령은 ‘재외동포 정책 대전환’을 공약했다. 실무중심 업무처리로 정평이 난 그의 철학에 부합하는 재외공관장 임명을 기대해 본다. 김형재 / 사회부 부장중앙 칼럼 la총영사관 현재 la총영사관 관할지역 한인사회 한인사회 특성상

2025.08.10. 16:57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