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가짜 LA한인회 뉴스레터 주의…플랫폼 일시 해킹, 서명 요구

LA한인회(회장 로버트 안)의 뉴스레터 발송 플랫폼이 잠시 해킹을 당해 일부 가짜 이메일이 발송되는 해프닝이 벌어졌다.   28일 LA한인회 측은 이날 오전 한인회가 사용하는 뉴스레터 발송 플랫폼 ‘메일침프(Mailchimp)’가 해킹됐다고 밝혔다.   제프 이 사무국장은 “전자 서명을 요구하는 도큐사인(Docusign) 문서가 한인회 뉴스레터 구독 명단에 있는 일부 수신자에게 발송됐다”며 “다행히 아직 피해 사례는 접수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전자 서명 플랫폼인 도큐사인은 수신자가 별도의 로그인 없이 바로 문서에 접속해 서명이 가능하다. 그러나 제프 이 사무국장 설명에 따르면, 해킹으로 발송된 LA한인회 명의의 가짜 도큐사인 문서는 구글 계정 로그인을 요구했다.   이 사무국장은 “로그인을 요구하는 것을 보고 이상함을 감지한 수신자들에게서 연락을 받고 해킹 정황을 확인했다”며 “사실 인지 후 바로 조처해 10분 안에 문제를 해결했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한인회 뉴스레터가 발송되는 메일침프에는 이메일 주소 이외의 개인정보는 담겨 있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김경준 기자la한인회 온라인 la한인회 온라인 해킹 정황 한인회 사무국장

2025.07.28. 19:53

잊혀진 4·29…기념행사 하나 없다

1992년의 오늘, LA는 폭풍 전야였다. 누적된 갈등과 분노는 결국 다음 날인 4월 29일, 광기로 변해 삽시간에 한인타운을 집어삼켰다.   ‘4·29’가 잊히고 있다. LA 폭동 33주년을 앞두고 잠잠한 분위기가 이를 방증한다.   매년 이맘때면 4·29의 의미를 기리는 행사가 한인 사회 및 LA 곳곳에서 진행됐지만, 올해는 소규모 모임조차 찾아볼 수가 없다.   우선 LA시는 올해 간단한 성명 몇 줄만 발표할 예정이다. 캐런 배스 LA 시장은 지난해에도 별도 행사 없이 간단한 성명만 발표했었다.   김지은 LA 시장실 공보 보좌관은 “행사를 개최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확인이 필요하지만, 산불 재건 등 바쁜 시정 일정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LA 한인회(회장 로버트 안)도 일부 지역 정치인들과 함께 발표하는 성명 외에는 별다른 프로그램을 마련하지 않았다.   제프 이 한인회 사무국장은 “산불과 한국 조기 대선 준비 등으로 일정이 많았다”며 “흑인 커뮤니티와 공동 기념행사를 추진하려 했지만, 단체들 사정상 무산된 것도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한인타운 청소년회관(KYCC)을 비롯한 대부분의 한인 단체들에서도 올해 4·29 관련 행사는 전무하다. 정치인들을 비롯해 한때 저마다 단체명을 내세우며 LA 폭동이 담아내고 있던 의미를 선점하려 했던 모습과는 사뭇 달라진 분위기다.   4·29 이후 정기적으로 흑인 교계와 예배, 세미나 등을 통해 교류하던 한인 교계도 이제는 그런 모습을 찾아볼 수가 없다.   미주성시화운동본부 송정명 목사는 “LA 한인 폭동을 경험했던 1세대 목회자들이 이제 세상을 많이 떠났고, 한인 교계도 세대가 변했다”며 “아무래도 젊은 목회자들은 4·29와 같은 역사에 관심이 덜하다 보니 자연스레 흑인 교계와 갖던 교류도 이제는 아예 없어지고, 그 의미도 희석됐다”고 말했다.   4·29의 역사와 의미 등을 다음 세대에게 전달하려는 의지도 과거에 비하면 많이 약해졌다. 역사 교육의 구심점 역할을 할 만한 단체도 없다 보니 간간이 이벤트성 프로그램만 진행되는 실정이다.   한인 2세들의 봉사 단체인 화랑청소년재단(총재 박윤숙)은 오는 6월 진행되는 리더십 프로그램에서 LA 한인 폭동 이야기를 한 부분으로 다룰 예정이다.   박윤숙 총재는 “매년 4·29 시즌이 되면 관련 행사들을 진행했는데, 올해는 일정상 어렵게 됐다”며 “다른 단체들도 아마 상황이 마찬가지겠지만, 4·29가 점점 사람들의 관심 밖의 이슈가 되고 있는 것 같아 아쉬운 마음은 있다”고 전했다.   LA 폭동이 발생한 지 수십 년의 세월이 지났고, 그때를 경험했던 세대는 저물고 있다.   4·29 LA 기념재단도 한때 명맥을 유지하다 지금은 없어졌다.   이 재단에서 활동했던 제니 이(70대) 씨는 “당시 피해를 입었던 한인들은 이제 대부분 시니어가 되어 거동이 불편하거나 병원 신세를 지는 경우도 많다”며 “한인 사회가 4·29의 아픈 역사를 잊고, 그 시대를 지나온 이들이 외면당하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김경준 기자행사 흔적 한인 사회 한인회 사무국장 공동 기념행사

2025.04.27. 20:26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