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아름다운 우리말 조현용] 고유어와 한자어 수사 이야기

우리말의 순수성을 논할 때 자주 등장하는 어휘는 수사(數詞)입니다. 수를 나타내는 말은 대부분의 언어에서 고유어입니다. 그래서 언어의 친근 관계를 비교할 때, 수사를 비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도 유럽어의 경우에는 수사의 일치가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알타이어에서 수사의 일차가 나타나지 않는 것이 고민인 이유이기도 합니다. 한국어와 일본어도 고유어 수사의 일치가 거의 보이지 않습니다.   한국어의 수사는 아예 두 길로 나뉘었습니다. 고유어계 수사와 한자어계 수사입니다. 한국어에 한자어계 수사가 많은 부분 들어왔지만, 여전히 고유어 수사와 긴장 관계에 있습니다. 하나, 둘, 셋, 넷 등과 일, 이, 삼, 사 등이 그렇습니다. 하나, 둘, 셋, 넷은 다른 말을 꾸밀 때, 즉 수관형사로 쓰일 때는 한, 두, 세, 네로 모양이 바뀝니다.     하지만 다섯부터는 모양이 같습니다. 물론 열한, 열두 등으로 다시 바뀝니다. ‘하나를 선택하다와 한 개를 선택하다’, ‘다섯을 선택하다와 다섯 개를 선택하다’를 비교해 보면 금방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고유어 수관형사와 한자어계 수관형사는 일정한 규칙을 보이기도 합니다. 뒤에 한자어 단위명사가 오면, 한자어계가 쓰이고, 고유어 단위명사가 오면 고유어 관형사가 쓰입니다. 예를 들어, ‘한 송이, 두 송이’라고 하는데 비해, ‘일 인, 이 인’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뒤에 한자어 단위명사가 오더라도 고유어 관형사가 쓰이기도 합니다. 한 권, 한 병 등이 그렇습니다.     한편 고유어계와 한자어계가 동시에 같은 단위명사에 쓰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권과 일 권, 한 장(張)과 일 장(章)이 그렇습니다. 여기에서 권(卷)은 한자가 같은데, 장은 한자가 다릅니다.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고유어계 수관형사는 전체를 나타내는데, 한자어계는 순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다섯 권’은 책이 다섯 권임을 의미하지만 ‘오 권’은 한 권일 수 있습니다. 이는 ‘세 장’도 마찬가지입니다. ‘삼 장’과는 뜻이 전혀 다릅니다.   시간의 경우는 세 시 삼 분 삼 초처럼 표현합니다. 시, 분, 초는 전부 한자어 단위명사이지만 시의 경우는 고유어 관형사가 쓰였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저는 여기에 중요한 실마리가 있다고 봅니다. 시와 분, 초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시는 오래전부터 사용하던 말입니다. 예전에는 자시, 축시, 인시 등으로 쓰였습니다.     따라서 시는 오랫동안 우리말처럼 생각되었을 겁니다. 반면에 분과 초는 실생활에서 쓰인 지 오래되지 않아서 한자어 의식이 강했을 것으로 봅니다.   즉 생활 속에 자주 쓰이는 단위명사의 경우에는 고유어 수관형사가 쓰이기도 합니다. 앞에서 전체를 나타내는 말에 고유어가 쓰이고 순서를 나타내는 말에 한자어 수관형사가 쓰인 것도 그런 이유였을 것으로 보입니다. 1인(人)과 1명(名)의 경우도 비슷합니다. ‘일 인, 한 명’으로 읽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다른 관점에서 보자면 한자어로 오랫동안 쓰이면 우리말로 인식한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한자어지만 한자어라는 의식이 약해진 것입니다.     우리말 수사에는 고유어와 한자어가 명확히 구별되지만, 이미 언중의 의식 속에서는 한자어도 우리말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예들입니다.     한편 우리말과 일본어의 수사가 거의 일치하지 않지만, 고구려어 수사와 현대 일본어가 닮은 점이 많아서 주목됩니다. 삼국사기 고구려 지명에 나타나는 수사 중 ‘3, 5, 7, 10’은 일본어와 같은 계통의 수로 보입니다. 언어의 접촉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오래, 광범위하게 이루어졌습니다. 조현용 / 경희대학교 교수아름다운 우리말 조현용 고유어 한자어 한자어계 수관형사 고유어계 수관형사 한자어 수관형사

2025.08.17. 17:41

[아름다운 우리말] 한자어는 어느 나라 말인가?

한자와 한자어는 완전히 다른 말입니다. 한글과 한국어가 완전히 다른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문자와 언어를 구별하지 않으면 많은 문제가 발생합니다. 한글날에 한국어가 매우 과학적이라는 말을 듣는데, 이 말은 이상한 주장입니다. 한글은 과학적일 수 있지만, 한국어는 과학적이라는 말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한자와 한자어는 문자와 어휘라는 차이가 있습니다. 제가 쓰고 있는 이 글에도 한자어는 많지만 한자는 전혀 쓰지 않고 있습니다. 한자를 쓰는 것과 한자어를 쓰는 것은 전혀 별개의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순우리말을 쓰자고 이야기하는 사람은 ‘순’이 한자어라는 사실에 화들짝 놀라기도 합니다. 한자어 없는 언어생활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기초어휘에도 이미 한자어가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기초어휘란 오랜 역사에도 변하지 않고 사용되는 어휘입니다.     따라서 비교언어학의 주 대상입니다. 자연이나 신체어, 색채어, 친족어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하늘, 해, 달, 별, 땅과 같은 자연어나 머리, 눈, 코, 귀, 입 등의 신체어와 검다, 희다, 푸르다, 붉다와 같은 색채어, 아들, 딸, 엄마, 아빠 등과 같은 친족어가 기초어휘에 해당합니다. 모두 순우리말이죠. 하지만 조금만 생각해 보면 기초어휘 속에서도 한자어휘가 발견됩니다. 대표적으로 산(山)과 강(江)이 있겠네요. 또한 초록색이나 주황색, 남색은 당연히 한자어입니다. 친족어 중에도 형, 동생, 삼촌 등은 한자어입니다. 이렇듯 한자어 없는 생활은 상상하기 어렵습니다.   예전에 어린아이가 한문을 배우던 책인 소학을 한글 창제 이후 번역을 하게 됩니다. 두 가지 종류가 출간되는데, 하나는 번역소학(1518년)이고, 다른 하나는 소학언해입니다. 번역소학과 소학언해는 한문을 우리말로 번역하는 두 태도를 보여주며, 특히 번역소학에는 의역이 많아서 우리말 속에 한자 어휘가 얼마나 널리 사용되는지를 보여줍니다. 물론 한문을 배우는 책이기 때문에 한자어가 많을 것이라는 추론도 가능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자어가 얼마나 이른 시기에 우리말 속에 자리 잡았는지를 살펴보는 데는 도움이 됩니다.     번역소학에는 한자가 병기되어 있는 어휘가 나타나서 흥미롭습니다. 주로 고유명사인 인명이나 지명은 한자를 먼저 쓰고, 우리말을 적습니다. 공자, 안연, 맹자 같은 표현이 그 예가 됩니다.     그리고 특이한 것은 글에서 핵심어, 주제어로 보이는 말은 한자를 함께 쓰고 있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덕, 학문, 강론, 쇄소응대, 선생 등의 단어는 한자에 우리말을 병기하여 쓰고 있습니다. 현재도 여전히 가독성을 위해서나 핵심어를 돋보이게 하기 위해서 한자를 섞어 쓰기도 합니다.   그런데 여기에서 주목을 끄는 것은 한자로 쓰지 않은 한자어입니다. 이 말들은 한자로 쓰지 않아도 이해할 수 있는 것이라는 전제가 있었을 겁니다. 그리고 물론 지식인층이 주 대상일 수는 있었지만, ‘소학’이 어린아이용 학습서라는 점을 미루어 볼 때 한자어가 이미 생활 속에 널리 퍼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재상, 례, 현인, 온공, 경계, 부모, 덕, 구하다, 후, 자제, 피하다, 흉하다, 길하다는 한자와 병기된 표기로 나타나기도 하고, 한글로만 쓰이기도 합니다. 혼동이 있음을 볼 때 과도기적인 모습을 보이는 듯합니다.     번역소학에 한자로 쓰이지 않은 말을 보이면 다음과 같습니다.     500년 전에도 쓰이던 어휘를 보면서 한자어는 어느 나라 말인가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조현용 / 경희대학교 교수아름다운 우리말 한자어 나라 친족어가 기초어휘 한자 어휘 신체어 색채어

2024.07.14. 18:17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