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가을 UC에 입학하는 가주 출신 신입생 규모가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UC 총장실이 지난달 31일 발표한 2024년 신입생 및 편입생 합격 통계에 따르면 신입생 13만7200명을 포함해 총 16만6706명이 입학 허가를 받았다. 신입생의 경우 가주 출신은 9만3920명으로, 지난해보다 4.3%(3867명) 늘었다. 이는 가주 출신 학생들의 입학 기회를 더 확대하라는 주 정부와 주민들의 요구에 따른 것으로, 신입생 규모만 보면 10년 전보다 무려 3만1400명이 증가한 것이다. 가주 출신 지원자의 합격률도 지난해 68%에서 올해 70%로 올랐다. 그러나 전국에서 지원자가 가장 많이 몰리는 UCLA 캠퍼스의 합격률은 9.5%로 한 자릿수에 그쳤다. 인종별로는 히스패닉 학생들이 39%로 5년 연속 가장 많은 학생 그룹으로 파악됐으며, 그 뒤로 아시안(33%), 백인(18%), 흑인(6%), 아메리칸 인디언(1%) 순이다. 하지만 캠퍼스별 합격자 통계를 보면 머세드를 제외한 8개 캠퍼스에 아시안이 가장 많이 합격해, 아시안 학생이 다수가 됐음을 알리고 있다. 한인 신입생은 지난해보다 83명이 증가한 2956명이 합격했다. 편입생(589명)을 포함하면 전년 대비 111명이 늘어난 3646명이 가을학기에 입학한다. 아시안 중 한인 합격자 규모는 중국계(1만1957명), 인도/파키스탄계(8091명), 베트남계(6203명), 필리핀계(5944명)에 이어 5번째다. 한편 UC가 올해 처음 공개한 입학생들의 성 정체성 정보에 따르면 머세드 캠퍼스만 여성 49%, 남성 46%로 가장 비슷하게 균형을 이루고 있다. UC 전체 여학생 비율은 55%이나, 6개 캠퍼스(버클리, 데이비스 어바인, LA, 샌디에이고, 샌타바버러)에서는 남학생 비율이 37%에 그쳤다. 또 전체 학생 중 트랜스젠더나 기존의 성 정체성을 거부하는 논바이너리(non-binary)는 5%로 나타났다. 이밖에 가주 출신 신입생 합격자의 41%가 저소득층이며, 가족 중 처음으로 대학에 진학하는 학생 비율도 43%다. 마이클 드레이크 UC 총장은 “이번 입학 수치는 UC의 기회와 접근성 확대에 대한 헌신을 보여준다. 특히 역사적으로 소외된 그룹의 학생들이 신입생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게 됐다”며 “우리는 더 많은 캘리포니아 학생들이 대학 학위와 성공적인 미래를 향한 길을 걷게 하고 이는 주 전역의 커뮤니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연화 기자 [email protected]합격자 한인 한인 합격자 신입생 합격자 캠퍼스별 합격자
2024.07.31. 20:44
올해도 뉴욕시 특목고 합격자 중 아시안 학생 비율이 절반을 넘긴 가운데, 스타이브슨트고교 아시안 합격자 비율은 지난해보다 하락했다. 2일 시 교육국(DOE)이 발표한 2023~2024학년도 특목고 합격자 통계에 따르면, 총 2만5959명이 응시한 특목고 입학시험(SHSAT)에서 총 합격자는 3994명으로 15.4%의 합격률을 기록했다. 지난 학년도 특목고에 총 2만7669명이 응시, 4053명이 합격(합격률 14.6%)한 것과 비교하면 올해 특목고 입학경쟁은 덜 치열했다. 합격자 중 아시안 학생 비율은 53.3%인 2129명으로 집계돼 전년도 아시안 합격자 비율인 52.5%에서 소폭 증가했다. 백인(27.0%)과 히스패닉(6.7%)이 뒤를 이었다. 한인 학생들이 다수 재학 중인 스타이브슨트고교의 경우, 아시안 합격자 비율이 줄었다. 2023~2024학년도 스타이브슨트고교 합격자 762명 중 아시안은 489명으로, 64.2%를 차지했다. 스타이브슨트고교의 아시안 합격자 비율은 2020~2021학년도 68.4%까지 오르기도 했지만 2021~2022학년도 65.8%, 2022~2023학년도 67.1%, 올해는 65% 아래로 떨어졌다. 브루클린테크 합격자 1421명 중 아시안 학생은 730명으로, 아시안 비율은 51.3%를 기록했다. 역시 지난 학년도 아시안 합격자 비율(51.5%)보다 소폭 하락했다. 다만 브롱스과학고 아시안 합격자 비율은 57.7%로 전년도(54.6%) 대비 높아졌다. 이렇게 학교별 격차는 있지만, 여전히 전체 합격자 중 아시안 합격자 비율은 절반 이상을 유지하고 있어 올해도 특목고 인종 불균형 논란은 여전한 분위기다. 2018년 빌 드블라지오 전 뉴욕시장은 인종 다양성을 높이기 위해 특목고 입학시험을 점진적으로 폐지하자고 제안했다가 아시안 커뮤니티로부터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1년에 한 차례 시행하는 시험 성적만으로 신입생을 선발하는 방법은 공정하지 못하다는 논리였지만, 시험을 폐지하면 특목고 아시안 비율이 30%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돼 아시안 역차별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에릭 아담스 시장은 특목고 입학정책 개선보다는, 일반 공립교 교육의 질을 높이는 데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특목고 합격자 아시안 합격자 아시안 비율 2024학년도 합격자
2023.06.02. 21:04
샌드라 알렌-강(SF), 앤강(SF), 강진희(베벌리힐스), 강영은(LA), 새라권(글렌데일), 권수연(한국), 고지명(데이비스), 일레인공(샌디에이고), 김아영(골레타), 앤김(샌호세), 애슐리김(라스베이거스), 캐메런김(풀러턴), 김채연(알링턴), 크리스티나김(글렌데일), 크리스틴김(오클랜드), 데이비드김(샌호세), 다이앤김(SF), 김두수(LA), 에드릭김(LA), 엘리자베스김(LA), 김호정(버클리), 김현진(LA), 김정(LA), 김정수(오클랜드), 조셉김(리버사이드), 줄리아김(선랜드), 김정연(서니베일), 로리김(애틀란타), 레이먼드김(LA), 김시찬(샌디에이고), 김소영(LA) 수김(LA), 김성원(필라델피아), 유니김(헌팅턴비치), 비비안김(LA), 김예지(샌브루노), 김예슬빛(호놀룰루), 매튜김(프레즈노), 조너선길(샌디에이고), 나춘이(포모나), 캐롤린남(요바린다), 로사남궁(샌디에이고), 남궁설(LA), 사만사노(뉴욕), 류다영(뉴욕), 에스더임(쿠퍼티노), 트리스탄임(어바인), 마기석(어바인), 피터문(인천), 앤박(LA), 다니엘박(저지시티), 일레인박(포터랜치), 박한나(헤이워드), 해리슨박(샌호세), 박지영(월넛크릭), 제니퍼박(그라나다힐스), 박주연(양평), 준박(부에나파크), 박주은(에머리빌), 저스틴박(월넛), 박영선(서울), 로지백(데이비스), 엘리자베스송(레드우드시티), 송기용(브루클린), 새넌송(롤링힐스), 영송(피드먼트), 조셀린선(로랜드하이츠), 선류동(레드우드시티), 빅토리아선(오클랜드), 선이두(LA), 캐롤린시(엘소브란테), 그레이스신(라크레센타), 미셸신(LA), 신세희(풀러턴), 신수영(브루클린), 케시양(팔로알토), 엘리자베스양(아카디아), 양민희(서울), 리차드양(다이아몬드바), 네이든여(샌타클라라), 앨렌엄(노워크), 제임스윤(오클랜드), 윤정아(샌호세), 준오(LA), 오신혜(어바인), 앤드류유(LA), 데니유(엘크그로브), 에밀리유(월넛), 저스틴유(베이포인트), 필립유(포틀랜드), 조수아유(유니온시티), 제유(샌타모니카), 카리사유(요바린다), 알렉산더이(워싱턴), 크리스티나이(코로나), 이다인(서울), 다니엘이(애너하임), 에디나이(팔로알토), 에린이(패서디나), 게리이(LA), 이혜진(가데나), 이현영(SF), 이지은(샌타클라라), 이진명(케임브리지), 조수아이(오렌지), 이준형(SF), 저스틴이(샌타클라라), 키리아이(트레이시), 케빈이(캐서더럴시티), 이기야(모데스토), 매튜이(에머리빌), 패트릭이(엘름허스트), 필립이(어바인), 레이첼이(시카고), 레베카이(LA), 리차드이(SF), 이석원(둘루스), 이슬기(샌디에이고), 수전이(버클리), 이태현(LA), 티미이(길버트), 타일러이(하버시티), 바이올렛이(벨몬트), 이연아(SF), 이영준(LA), 장서균(랜초팔로스버디스), 장이재(샌타클라라), 조너선장(월넛크릭), 매튜장(샌호세), 장소영(샌타클라라), 장용빈(버클리), 아이린전(치노), 샘전(풀러턴), 이블린전(로스알토스), 유전(몬트벨로), 전지원(샌타클라라), 레이첼전(하시엔다하이츠), 크리스틴정(발렌시아), 제니퍼정(오클랜드), 정한나(패서디나), 토머스정(오클랜드),알렉산더조(LA), 앤드류조(LA), 조현아(시카고), 조성은(데이비스), 새무엘조(시애틀), 제니지(어바인), 레베카진(매디슨), 앤드류차(오클랜드), 최우형(서니베일), 줄리아최(뉴포트코스트), 최준희(멘로파크), 원최(글렌데일), 실라최(샌타모니카), 최성민(엔시노), 한동훈(잉글우드), 한민정(쿠퍼티노), 앤젤라황(샌루이스오비스포), 어스틴황(캠브리지), 황서연(서울), 후수영(LA) (이상 가나다순) *전체 합격자 명단에서 성(last name)과 이름을 선별해 분류한 것으로 실제 한인 합격자 수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정리=박낙희 기자변호사 합격자 합격자 명단 변호사 시험
2022.11.13. 20:14
올가을 UC에 입학하는 신입생 수가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UC 총장실이 10일 발표한 2022년 가을학기 신입생 합격자 통계에 따르면 가주 출신은 지난해보다 1045명(1.2%) 증가한 8만5268명에게 합격 통지서가 발송됐다. 〈표 참조〉 반면 타주 학생과 외국인 유학생은 전년도 대비 각각 5359명(19%)과 2442명(12.2%)이 줄어든 2만2798명과 1만7531명이 합격했다. 이런 결과는 최근 가주 출신 학생들의 입학을 확대하겠다는 방침을 확고히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학생들에게 인기가 높은 버클리와 UCLA는 가을학기가 시작되기 전 300~400명의 신입생을 추가로 등록시킬 계획으로 알려져 실제 가주 출신 합격자들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버클리 캠퍼스는 현재 전년도의 1만484명에서 34명만 추가했으며, UCLA는 54명이 늘어난 8423명만 합격시켰다. 이와 관련 UCLA의 유론다 코프랜드-모건 등록 담당 부학장은 “더 많은 가주 학생들이 UC 캠퍼스에서 공부할 수 있도록 기회를 확대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다른 캠퍼스들도 추가 합격을 고려하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데이비스의 경우 전년도보다 2637명이 감소한 2만3776명이 합격했으며, 어바인은 지난해보다 253명이 적은 1만5460명만 합격했다. 샌디에이고 역시 지난해 2만1740명에서 올해 2만107명으로 줄었다. 이들 캠퍼스는 학생들의 등록 현황을 지켜본 후 추가 입학 여부를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올해 UC 신입생의 특징을 보면 합격자의 43.8%가 소수계 및 다인종 출신으로 파악돼 캠퍼스 내 인종 구성이 훨씬 다양해졌음을 알렸다. 전체 합격자의 37.3%는 라틴계 학생들로, 3년 연속 가장 많은 그룹으로 파악됐다. 그 뒤로 아시안이 35%, 백인 18.6%, 흑인 5.7% 순이다. 한인 학생들의 합격자 수도 전년 대비 늘었다. 전체 지원자 3751명 중 75.7%인 2839명이 합격했다. 한인 합격률은 인도/파키스탄계(81.1%), 중국계(76.7%)에 이어 3번째로 높았다. 인도/파키스탄계의 경우 7596명의 지원자 중 6163명이 합격했으며, 중국계는 지원자 1만2079명 중 9268명이 합격했다. 한인 편입생의 경우 전체 853명이 지원해 671명이 합격하며 78.7%의 합격률을 보였다. 올해 편입 합격률은 전년도(75.2%)보다 올랐지만, 합격자 수는 22명이 적다. 가주 전체 편입생은 가주 출신이 2만4913명, 타주 학생과 외국인 유학생은 각각 369명과 2336명으로 집계됐다. 장연화 기자합격자 사상 출신 합격자들 최대한인 학생 한인 학생들
2022.08.10. 20:45
뉴욕시 특목고 합격자 중 아시안 학생 비율이 올해에도 전체 50%를 넘기면서 합격생 중 제일 큰 비중을 보였다. 15일 시 교육국(DOE)이 발표한 2022~2023학년도 특목고 합격자 통계에 따르면, 총 2만7669명이 응시한 특목고 입학시험(SHSAT)에서 전체 합격자는 4053명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총 2만3528명 중 합격자가 4262명 나온 것과 대비하면 특목고 입학경쟁이 더 치열했다. 인종별로 보면 합격자 중 아시안 학생 비율은 52.5%인 2128명으로 집계됐으며 전년도인 53.7%에서 소폭 하락했다. 그 다음은 백인(27.8%), 히스패닉(5.7%), 흑인(3.2%) 순이다. 특히, 스타이브슨트 고교의 경우 전체 합격자 756명 중 507명(67%)이 아시안, 백인이 118명(15.6%)인 반면, 흑인 학생은 11명, 히스패닉 학생은 23명밖에 합격하지 못했다. 올해에도 이처럼 아시안·백인 합격률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 특목고 인종 불균형 문제에 대해 논란이 다시 대두될 것으로 보인다. 통계로 보면 문제로 지적됐던 SHSAT 홍보 부족도 큰 원인으로 작용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전체 SHSAT 응시자 중 아시안·백인 학생의 비율은 줄어들고 흑인·히스패닉 학생들의 비율은 올랐기 때문이다. 아시안 학생은 31%(8565명), 백인 학생은 17.1%(4734명)로 전년도의 34.7%, 18.4%에서 줄어들었고, 응시자 중 히스패닉 학생 비율은 25.8%(전년도 22.8%), 흑인 학생 비율은 20.7%(전년도 18.5%)로 늘어났다. 한편, 입학 심사과정을 변경했던 일반 우수고교들의 경우 흑인·히스패닉 입학생 비율이 유의미하게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타운센드해리스 고교의 경우 올해 입학생 중 흑인·히스패닉 비율이 23%로 전년도 16% 대비 7%포인트 증가했다. 일각에서는 변경된 입학 심사 과정으로 성적이 상대적으로 더 뛰어난 학생들이 원하는 학교에 입학하지 못하는 사례가 속출했다며 올해 일반고 입학 심사과정을 비판하고 있다. 〈본지 6월 11일자 A3면〉 하지만 교육국이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올해 학생들의 3지망 내 입학 비율은 75%로 전년도 73%에서 오히려 올랐다. 심종민 기자특목고 합격자 히스패닉 학생들 히스패닉 입학생 아시안 학생
2022.06.16. 20:52
사상 최대 지원서를 접수한 UC가 합격자 발표를 시작했다. 코로나19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무려 15만 건이 넘는 지원서를 접수한 UCLA는 지난 19일 자체 온라인 시스템과 우편을 통해 신입생에게 합격 여부를 통보했다. 반면 편입생의 경우 4월 중순에 통보가 시작될 예정이다. 한인 학생들의 지원이 증가하고 있는 어바인캠퍼스의 경우 지난주 부터 최상위권 성적을 기록한 학생에게 장학금 수혜자격을 알리는 합격통지서를 발송했으며 이달 말에 나머지 합격생들에게 보낼 예정이다. 샌디에이고와 데이비스, 샌타바버러 캠퍼스도 이번 주를 기점으로 합격자를 발표한다. 이달 초부터 일찌감치 합격을 통보한 머세드와 리버사이드는 수시로 합격자를 통보할 예정이다. 반면 지난해부터 환경단체와의 법적 싸움을 벌였던 버클리는 전액 장학생들에게 먼저 통보한 상태며 나머지 학생들에게는 순차적으로 합격 여부를 알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주는 예비 대학생들의 학비 지원을 위해 학자금 신청서(FAFSA)와 드림액트 장학금 접수일을 4월 1일까지 연장한다고 밝혔다. 가주는 매년 3월 2일까지 FAFSA를 접수해왔으나 올해 처음 지원서 접수일을 연장했다. 드림액트 장학금은 미국에서 불법으로 체류하고 있는 서류미비 학생들을 위한 것으로 가주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은 가주민 학비가 적용되며 주 정부가 지원하는 학자금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가주학자금위원회(CSAC)는 22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접수일을 놓친 학생들을 위해 연장하기로 결정했다”며 “대학 등록금 지원이 필요한 학생들은 지금이라도 신청해서 도움을 받을 것”을 강조했다. CSAC에 따르면 현재 UC에 재학중인 가주 학생의 70% 이상이 1인당 평균 1만8000달러의 재정 지원을 받고 있다. 또한 등록생의 절반 이상이 학비를 내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 장연화 기자합격자 발표 합격자 발표 지원서 접수일 예비 대학생들
2022.03.22. 19:21
UC버클리가 오는 9월학기부터 신입생 숫자를 3050명이나 대폭 줄일 수 밖에 없게 됐다고 LA타임스가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UC버클리는 최근 법원 명령에 따라 2022년 가을학기 신입생 등록 숫자를 동결하게 됐다. 학교측이 밝힌 동결 인원은 대략 신입생의 1/3인 3050명 수준이다. 이로써 대학은 등록금 수입이 5700만달러 줄어들게 된다. 이번 명령은 신입생 확대를 통한 대학 확장 계획이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제기한 버클리 지역 환경 단체의 소송을 지지한 알라메다 카운티 고등법원 판사의 지난해 8월 판결에 따른 것이다. 환경단체는 대학생의 증가는 결국 이웃들에게 교통문제, 소음문제, 주택 가격 상승 및 자연 환경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들어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UC평의회는 지난 8월 판결에 항소 절차를 진행하는 동안 등록숫자를 유지하도록 요청했지만 지난주 항소법원은 이를 기각했다. UC평의회는 사안의 시급성을 감안해 지난 14일 가주 대법원에 상고한 상태지만 결과가 여의치 않으면 올해 신입생 등록숫자를 3050명 줄여야 한다. 전문가들은 이는 실제 합격자들의 등록률을 감안해 볼 때 최소 5100명의 합격자를 줄여야 한다고 전했다. 지난 학기 1만5567명을 합격시켰던 점을 고려하면 1만명 수준으로 줄여야 한다는 결론이다. 때문에 3월24일로 예정된 올해 합격 통보가 늦어질 수도 있다. 장병희 기자버클리 합격자 버클리 지역 올해 버클리 가을학기 신입생
2022.02.15. 11:44
다이앤 안(팔로스버디스), 안서영(LA), 제시카 안(샌프란시스코), 변웅진(매사추세츠), 클레어 장(레드우드시티), 장은빛(텍사스), 페이지 장(새크라멘토), 바네사 장(샌타클라라), 마리사 조(산마테오), 비비안 조(플레전트), 조용호(어바인), 캐서린 조(셔먼오크스), 최정연(미시건), 크리스틴 최(샌마리노), 셰리던 최(헤이워드), 웨슬리 최(샌타클라라), 최유진(터스틴), 케이턴 종(샌프란시스코), 샬롬 추(LA), 세실리아 정(웨스트민스터), 클로이 정(코토데카자), 매튜 정(어바인), 정문실(경기도), 최원호(샌프란시스코), 데릭 하(샌프란시스코), 에릭 하(세리토스), 켈리 하(LA), 하태균(LA), 트레비스 한(DC), 에이미 한(뉴저지), 캐리 한(LA), 크리스 한(뉴저지), 다이애나 한(글렌데일), 한은희(LA), 한수지(LA), 브랜든 호(월넛), 제니퍼 호(터스틴), 로사 호(템플시티), 랜들 홍(콜턴), 스테파니 홍(샌프란시스코), 캐서린 황(미시건), 다이애나 현(샌타페스프링스), 임시균(샌호세), 레이첼 장(서니베일), 장원영(서울), 에임리트 강(LA), 애쉴리 강(샌호세), 캐서린 강(LA), 데릭 강(리버사이드), 알렉산더 김(뉴저지), 앤디 김(조지아), 애쉴리 김(롤랜하이츠), 베티 김(LA), 채 김(샌디에이고), 김단비(DC), 데이비드 김(서니베일), 데이비드 김(샌프란시스코), 아이린 김(라카냐다), 진 김(샌마테오), 김혜진(리버모어), 제임스 김(라하브라하이츠), 제임스 김(다우니), 제이미 김(LA), 김정혜(LA), 지나 김(버클리), 조안 김(샌프란시스코), 조앤 김(어바인), 조나단 김(브레아), 김주원(LA), 로렐 김(새크라멘토), 마이클 김(뉴욕), 김민수(몬트로즈), 김민재(뉴저지), 모니카 김(LA), 명 김(어바인), 네이든 김(LA), 패트리샤 김(잉글우드), 폴리 김(어바인), 레베카 김(오클랜드), 리나 김(워싱턴), 김성은(샌프란시스코), 김성은(플라야비스타), 김예선(샌호세), 김예진(LA), 김영서(월넛크리크), 매튜 권(샌프란시스코), 새라 권(LA), 아만다 이(LA), 애쉴리 이(오클랜드), 베켓 이(샌호세), 벤자민 이(알함브라), 크리스토퍼 이(샌마테오), 크리스토퍼 이(샌타애나), 대니엘 이(샌디에이고), 이희원(매사추세츠), 이홍주(샌프란시스코), 재클린 이(LA), 이재상(LA), 제임스 이(유타), 제니퍼 이(미시시피), 조애나 이(어바인), 이가원(팔로스버디스), 로렌 이(가디나), 마이클 이(LA), 이미호(로미타), 이민주(앨버타), 이범주(LA), 레베카 이(DC), 새라 이(펜실베이니아), 스테파니 이(캠벨), 이태환(부에나파크), 테어도어 이(샌프란시스코), 이윤재(샌타클라라), 소 문(부에나파크),나유선(스탠포드), 노희민(샌호세), 오흥세(서울), 오지선(경기도), 오소현(샌디에이고), 크리스티나 백(뉴저지), 방보현(LA), 애런 박(스티브슨랜치), 앤드루 박(서울), 에어리엘라 박(LA), 대니엘 박(텍사스), 대니엘 박(아고라힐스), 대니엘 박(어바인), 글라라 박(LA), 박현진(텍사스), 박재우(서울), 제시카 박(샌디에이고), 박지수(어바인), 박근영(뉴욕), 박규리(LA), 경 박(오리건), 박세용(서울), 박성렬(경기도), 저스틴 이(라미라다), 앨버트 류(샌디에이고), 대니엘 신(샌디에이고), 신의령(서니베일), 지나 신(아케이디아), 명 신(마운틴뷰), 새라 신(샌타애나), 안드리아 소(LA), 조나단 소(어바인), 레나 손(플로리다), 해나 송(마운틴뷰), 송지은(부에나파크), 송지윤(월넛크리크), 주나 송(토런스), 사바나 송(웨스트할리우드), 해나 서(샌프란시스코), 줄리 선(패서디나), 크리스틴 왕(샌호세), 코니 왕(패서디나), 데이비드 왕(샌프란시스코), 왕홍빈(치노), 앤드루 우(피놀), 니콜라스 우(데이비스), 에밀리 양(랜초쿠카몽가), 케빈 양(LA), 새라 양(샌디마스), 제임스 예(LA), 데이나 여(오클랜드), 조세프 임(샌마테오), 빅토리아 임(다이아몬드바), 제니퍼 유(웨스트코비나), 제시카 유(샌호세), 마이클 유(피드몬트), 게일런 윤(데이비스), 윤소정(마운틴뷰) 〈라스트네임 알파벳순으로 추정한 것임〉변호사 합격자 변호사 합격자 라스트네임 알파벳순
2021.11.15. 1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