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일 발생한 캠퍼스 내 총격 사건〈본지 10월 16일자 A-1면〉으로 인해 샌타모니카 칼리지(이하 SMC) 측이 당분간 원격 수업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SMC<샌타모니카 칼리지>서 총격 사건…캠퍼스 폐쇄 SMC에 따르면 원격 수업은 오는 20일까지 진행된다. 캐서린 제퍼리 SMC 학장은 “학생과 교직원에게 정신 관련 상담 서비스도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번 총격 사건의 가해자와 피해자는 모두 학교 직원인 것으로 확인됐다. 총격범은 데본 듀렐 딘(39)으로, 경찰과 대치하다 스스로 목숨을 끊었으며, 2011년(살인 미수), 2019년(살상 무기에 의한 폭행) 등 각종 범죄 사건에 연루된 적이 있다. ▶핫라인 상담:(800) 691-6003 김경준 기자원격 수업 샌타모니카 칼리지 핫라인 상담
2024.10.16. 20:02
뉴욕시가 오는 16일부터 미 전국적으로 시행되는 정신건강 핫라인(전화번호 988) 서비스를 시행할 예정이지만 일부에서 준비 부족으로 여러가지 문제가 생길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뉴욕시는 그동안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전국자살방지전화(National Suicide Prevention Lifeline: 800-273-8255)로 ▶약물사용(마약 알코올 남용과 중독 등) ▶자살 예방 ▶정신건강(본인의 자해 또는 타인에 대한 위해 등) 상담을 했다. 그러나 최근 수년 사이 전국적으로 자살자가 크게 증가하면서 연방정부가 기존 핫라인 상담 전화와 함께 응급전화 성격의 세 자리수 ‘988(비정상 상태에서 전화 걸기 가장 용이한 번호 중 하나)’을 마련하자 이번에 새롭게 시스템을 보강해 서비스를 시작하기로 한 것이다. 뉴욕시는 이를 위해 2022~2023회계년도에 기존의 정신건강 핫라인 운영 예산 2500만 달러에 3500만 달러를 더해 1년 예산을 6000만 달러로 늘리기로 했다. 또 오는 16일 ‘988’ 번호 이용이 시작되면 일시 지원 예산으로 1000만 달러를 추가해 서비스 출범 초기에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할 예정이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뉴욕시의 새로운 정신건강 핫라인 서비스가 실제로 효과를 발휘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정신건강 핫라인 서비스는 ▶도움 요청 전화를 거는 피상담자 ▶전화를 받아주는 상담자 ▶위험에 노출됐거나 도움이 필요한 경우에 출동하는 의료진 또는 정신건강 전문가 등 3가지가 중요한 요소인데 뉴욕시의 현재 준비 태세는 거의 전화를 받는 상담센터(콜센터)를 늘리는 데 집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현재 1년에 14만2000여 건 수준인 핫라인 상담 건수가 ‘988’ 번호 출범에 따라 1년에 44만2000여 건으로 늘 것으로 예상한 데 따른 것이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도움 요청 전화를 받는 시설과 인력을 늘리는 것과 함께 ▶자살 또는 충동 위험 피상담자에게 짧은 시간 긴급상담을 제공할 수 있는 전문가 ▶정부 비영리단체 등이 제공하는 의료서비스(마약.알코올.도박 등 중독극복 프로그램 등)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소셜워커 ▶실제 위기에 처한 피상담자를 만나기 위해 출동하는 이동위기대응팀(Mobile Crisis Unit) 등을 확충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 일부에서는 앞으로 위험에 빠진 피상담자가 ‘911’ 응급전화 대신 ‘988’ 정신건강 핫라인을 이용하는 사례가 늘 것이라며 위기 상황에서 ▶정신건강 전문가 ▶응급관리팀(EMTs) ▶경관 중 어느 누가 어떻게 출동하는 것이 효과적인지 가이드라인도 정해져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박종원 기자 [email protected]정신건강 핫라인 정신건강 핫라인 정신건강 전문가 핫라인 상담
2022.07.05. 1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