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J네트워크] IRA에 대한 항의는 마크롱처럼

“바이든 대통령은 장기적으로 자국을 위해 더 많은 산업 일자리를 창출하고 강력한 산업을 구축하고 공급 물자를 확보하기를 원합니다. 그런데 이것은 우리의 접근 방식이기도 합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지난 1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백악관에서 정상회담 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대해 한 말이다. 두 가지 점에서 인상적이었다. 백악관은 IRA가 기후변화 대응정책이라고 강조하지만 마크롱은 제조업 일자리 만들기를 핵심으로 봤다. 요약하면 ‘당신이 미국인 일자리를 만들어야 하듯 나도 내 국민을 위해 일자리가 필요하다’고 직격했다. 한국 정부가 밀고 있는 ‘동맹 기업의 손해’ 논리보다 49년 차 정치인 바이든에게는 마크롱식 접근이 오히려 통할 수도 있겠다 싶었다.   마크롱은 전날 의회에서 IRA가 자국 기업에 “지나치게 공세적”이라고 항의했다. 프랑스에서 중산층 일자리가 붕괴할 것이라며 “(IRA가) 당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내 문제는 더 악화할 것”이라고 일갈했다. 메시지 못지않게 중요한 게 전달 방식이다. 비공개 오찬에서 한 발언이 익명 참석자를 통해 AFP통신 보도로 알려졌다. 연설이나 기자회견 같은 공개 발언보다 상대를 배려한 것으로 보이면서도 ‘울분’은 고스란히 전달됐다.   유럽이 본격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다. 지난 8월 IRA 통과 직후 워싱턴으로 달려온 한국과 달리 프랑스와 유럽연합(EU)은 묵직하고 느리게 반응했지만, 바이든 대통령이 처음으로 “결함”을 인정하는 ‘성과’를 거뒀다. 유럽은 미국과 협상에 나서는 한편 ‘눈에는 눈, 이에는 이’ 전략으로 ‘바이(Buy) 유러피언 법’을 만들 수 있다고 운을 띄웠다. 미국의 자국 우선주의 무역정책이 “서방을 둘로 쪼갤 수도 있다”고도 경고했다. 마크롱은 바이든 정부의 보호주의 정책 방향이 옳지 않다는 점을 지적했다. 현대차가 2025년 미국에서 전기차를 본격 생산하기 전까지 2년 동안 한국산 전기차의 미국 내 판매 손실을 최소화하는 데 초점을 맞춘 한국 정부보다 보편적 공감대를 일으키고 있다.   작심하고 쓴소리를 내뱉은 마크롱이지만 바이든은 그를 극진히 대접했다. 백악관 잔디밭에 유리 텐트를 세우고 유명인 등 400명 넘게 초대해 국빈 만찬을 열었다. 유럽의 리더로 자리매김한 마크롱은 미국이 우크라이나 전쟁을 헤쳐나가고 러시아·중국과 맞서는 등 대외정책 추구에서 절대적으로 협력해야 할 존재다. 그만큼 몸값이 높다. 통상 외교의 시선을 넓히고 나라 몸값을 높여야 협상력도 따라올 것으로 생각한다. 박현영 / 워싱턴 특파원J네트워크 항의 ira 프랑스 대통령 산업 일자리 중산층 일자리

2022.12.12. 18:14

미셸 박 영어 비난 오늘 대규모 항의 시위

미셸 박 스틸(공화) 연방하원의원에게 이민자 및 인종차별과 여성 차별 발언을 해 파문을 일으킨 대만계 2세 제이 첸(44·민주.사진) 후보가 본지와 이메일 인터뷰를 통해 전혀 잘못이 없다고 반박했다.     그는 “차별 발언을 한 적이 없다. 박 스틸 의원의 말하는 방식이 아니라 그가 말한 내용을 비판한 것”이라면서 “그(박 스틸)의 타운홀 연설을 내가 직접 들은 것도 아니다. 그의 대답은 논리정연하지 못하고 혼동을 일으키는 발언이었다”고 했다. 첸 후보는 키스톤 파이프라인 사례를 예로 꼽았다.     그는 “박 스틸은 (타운홀에서) 미국 원유가 더 깨끗하기 때문에 해외 에너지에 의존하면 안 된다면서도 캐나다 키스톤 파이프라인을 통해 들어오는 더러운 기름 수입에 대해서는 찬성한다”고 했다. 키스톤 XL 파이프라인 프로젝트는 캐나다 앨버타주에서 미국 텍사스주까지 송유관을 연결해 하루 80만 배럴 원유를 수송하는 사업이다. 2015년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사업을 불허한 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사업을 허가했으나 조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 하루 만에 기후변화를 이유로 다시 허가를 취소했다. 박 스틸 의원은 “미국이 OPEC(석유수출국기구)과 러시아 등으로부터 원유 수입을 하지 말라는 취지에서 말한 것”이라며 키스톤 파이프라인을 허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제이 첸은 지난 7일 오렌지카운티 파운틴밸리의 한 유대교 회당에서 유세 중 “그녀(스틸 의원)의 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통역가가 필요하다(you kind of needan interpreter to figure out exactly what she's saying). 그가 말을 더 할수록 우리에게 유리하다”고 밝혀 논란이 됐다. 그는 “나는 이민자 자녀이자 선출직으로서 인종차별에 줄곧 맞서 싸웠다”면서 “나의 부모 연세가 미셸과 비슷하다.  나는 누구의 영어 액센트를 비판하는 일은 결코 하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면서 “미셸은 자신의 부족한 정치 지식과 정책 실패를 인종차별 공격을 당했다는 거짓된 주장 속에 숨고 있다. 그와 자유롭게 토론을 통해 맞붙고 싶다”고 비판했다.     이에 앞서 그는 별도 영상에서 “그녀는 남편(숀 스틸 전 캘리포니아 공화당 의장)이 주는 정보를 그대로 읊고 있다”고 조롱해 여성 차별 논란에도 휩싸였다. 본지는 첸 후보에게 '통역가를 필요로 한다' '남편 정보를 그대로 읊는다' 등의 표현이 이민자 및 인종차별, 또 여성 차별 논란을 야기하는 것 아니냐고 질문했으나 답변하지 않았다.     한편, 첸 후보 발언 논란이 일파만파 커지고 있다. 한인사회는 물론 아시안 커뮤니티에서는 오늘(20일) 오전 11시 제이 첸 선거 캠페인 본부(14220 Brookhurst Street Westminster)에서 제이 첸 인종차별 발언 규탄 시위를 대대적으로 할 계획이다. 이날 OC한인회, OC한인상공회의소, OC재향군인회, 월남참전 전우회와 베트남계 단체 등 최소 45개 단체가 참여할 예정이다. 또 23명의 로컬과 지역 커뮤니티 리더가 박 스틸 의원을 비하한 첸 후보에게 공식사과를 촉구하는 서한을 전달했다. 공동서한은 영 김(공화) 연방하원의원 주도 속에 링링창(공화) 가주 상원의원, 필립 첸(공화) 가주 하원의원 등이 참여했으며 지난 18일 제이 첸 캠프에 전달했다.   서한은 “첸이 영어 액센트와 이민자인 것을 조롱한 것은 흉칙했다. 아태평양계 커뮤니티 마음을 아프게 한 일”이라면서 “즉각 당신(제이 첸)은 박 스틸 연방하원의원과 모든 아시안 커뮤니티에게 인종차별 공격을 한 것에 대해 공개사과하라”고 촉구했다.         베트남계이자 비영리 단체 AAPI 유나이티드의 제임스 마이 대표는 본지와 통화에서 “아시안 증오범죄 관련 각종 시위에 참여하고 있다. 그런데 제이 첸이 같은 아시안을 상대로 인종차별 발언을 하는 것에 경악을 금치 못했다”며 “최대한 많은 베트남계 주민에게 이 사실을 알려 시위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제이 첸은 한인과 아시안 뿐 아니라 모든 이민자 커뮤니티를 향해 경멸 발언을 한 것”이라고 분개했다. 이어 “나의 어머니도 피난민 출신으로 영어가 완벽하지 않았다. 어렵게 이민 온 부모 영어 실력이 안 좋다고 자녀가 비꼬는 격”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민주당연방의회캠페인위원회(DCCC)는 대변인을 통해 “박 스틸과 케빈 맥카시(공화당 하원 원내대표)는 자신들의 거짓말을 가리기 위해 잘못된 정보와 증오에 찬 공격을 하고 있는 역겨운 행위를 하고 있다”라고 비판했다. 주디 추(민주) 연방하원의원도 “미셸 박 스틸이 아시안 증오범죄를 상대 후보 공격 도구로 사용하는 것에 불편을 느낀다”고 비판했다.  원용석 기자대규모 항의 인종차별 발언 인종차별 공격 아시안 커뮤니티

2022.04.19. 21:25

썸네일

‘자전거 우선 차선’ 주민 불만 높다

샌디에이고시가 미라메사 지역의 한 주택가 도로 4개 블록 구간에 최근 설치한 자전거 우선 통행 차선을 두고 주민들의 불만과 항의가 빗발치고 있다.   시는 지난달 말 골드 코스트 드라이브 길의 파크데일 애비뉴와 엠프레스 애비뉴 사이의 0.25마일에 ‘어드바이저리 바이크 레인(Advisory Bike Lane)’을 새로 깔았다. 일반 도로의 황색 중앙 분리선을 지우고 자전거 전용차선을 도로 양쪽에 배치한 것으로 외형상 이 구간은 마치 다운타운에나 있는 일방통행 도로처럼 보여 운전자들을 당황하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차선 구분 없이 도로 가운데에 있는 차선 하나를 양방향 주행 차량들이 동시에 이용하다 보니 마치 50~60년대 영화에나 나올법한 ‘치킨 레이스(서로 마주 보며 질주하는 두 차량 중 먼저 피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지는 게임)’를 연상케 하는 장면이 자주 연출돼 운전자뿐 아니라 도로 양쪽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가슴을 쓸어내리게 하고 있다.   시의 교통과에 따르면 어드바이저리 바이크 레인 상에서 양방향의 차량이 서로 마주하게 되면 일단 한 차량이 양보하게 돼 있는데 양보하려는 차량 쪽에 자전거가 있을 경우,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 가끔 발생하는 것도 문제다.   “조만간 반드시 큰 사고가 발생할 것”이라고 주장하는 한 주민은 “자전거를 탄 사이클리스트도 보호받아야 하지만 운전자의 권리도 존중돼야 한다”고 말했다.   어드바이저리 바이크 레인은 현재 캐나다와 미국 동부지역 일부 도시들이 채택해 운용하고 있으며 샌디에이고에 도입된 것은 이 구간이 처음이다. 시는 이 곳을 시작으로 도로 폭이 좁은 일부 주택가에 동일한 차선을 추가로 설치할 계획을 세웠던 것으로 알려졌으나 주민들의 거센 반발로 인해 차질이 빚어질 것이 확실시된다.   글·사진=김영민 기자SD 샌디에이고 자전거 전용차선 차선 구분 어드바이저리 바이크 레인 항의 반발

2022.04.08. 17:50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