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보험 상식] 생명보험 가입

매사에 꼼꼼하기로 소문난 노스리지의 김모 씨.   7세, 5세, 2세 딸 셋을 둔 김 씨는 생명보험이 3개다. 자녀가 한 명 태어날 때마다 30만 달러짜리 저축형 생명보험에 가입하다 보니 보험이 3개로 늘었고, 총 보험금이 90만 달러가 됐다.   혹시라도 가장인 자신에게 무슨 일이 생기면 아이 한 명을 키우는 데 최소 30만 달러 정도는 필요하다는 계산이다.   또한 20년 후 자녀가 대학에 진학할 때 저축된 금액을 학비로 쓰거나, 시간이 더 지나 저축액이 불어나면 자녀의 결혼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이다.   김 씨는 “생명보험의 보장 혜택도 중요하지만, 자녀를 위한 장기 저축의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점도 큰 장점”이라고 말했다.   올해 38세인 김 씨가 막내딸이 태어난 직후 가입한 30만 달러짜리 생명보험의 월 보험료는 약 200달러 정도다.   20년 후 예상 저축액은 약 10만 달러, 30년 후에는 약 25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30년 후에는 김 씨의 나이도 68세로 은퇴 연령에 해당되므로, 저축된 돈을 자녀에게 사용하지 않게 되면 본인의 은퇴자금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더구나 해당 생명보험에는 중병 보상 혜택과 장기 간호(LTC) 혜택 등도 포함돼 있어 만약의 경우 자신의 치료나 간병 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다.   생명보험의 1차 수혜자는 아내이고 차선 수혜자는 딸 이름으로 지정해둔 꼼꼼함도 눈에 띈다.   김 씨는 가끔 아내에게 “내가 혹시 잘못돼도 당신이 편안하게 아이들을 키울 수 있도록 안전장치를 다 해놨다”며 “세상에 나 같은 남편 없다”고 농담 삼아 말하곤 한다.   요즘은 생명보험에 대한 한인들의 인식도 많이 달라졌다.   자녀가 생기면 보험 하나쯤은 가입해야 한다는 인식이 자연스러운 흐름으로 자리 잡은 것이다.   보험 가입의 필요성을 막연하게 느끼기보다 김 씨처럼 현실적인 계산을 바탕으로 계획성 있게 접근하는 것이 현명한 자세라 할 수 있다.   생명보험에는 평생 동안 보장이 유지되면서 저축효과까지 있는 종신형 플랜들이 다양하게 출시돼 있다.   이러한 플랜을 잘 활용하면 노후자금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더 나아가 상속을 위한 재정 계획의 수단이 될 수도 있다.   다만 종신형 생명보험은 기간형보다 보험료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예산이 빠듯한 상황에서 많은 보장을 원한다면, 김 씨처럼 자녀 수에 맞춰 저축형 생명보험을 분산 가입하는 방식이 효율적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한 한인은 50만 달러를 30년 상환으로 융자해 주택을 구입한 후, 같은 금액인 50만 달러짜리 기간형 생명보험에 가입했다.   모기지 상환 기간 동안 혹시라도 본인에게 불의의 일이 생길 경우, 남은 가족들이 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이처럼 생명보험에 가입하는 이유는 사람마다 다양하며 전문가 입장에서도 어느 한쪽이 정답이라고 단정하기 어렵다.   생명보험의 종류가 기간형, 평생형, 저축형, 보장형 등으로 다양한 것도 바로 각자의 목적과 상황에 맞춘 선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요즘 한인사회에서는 생명보험을 노후를 위한 저축수단으로 권유하는 전문가들이 많지만, 생명보험은 본래 목적에 맞게 가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엇보다 생명보험의 가장 기본적인 역할은 가족의 미래를 보호하는 것이다.   저축 수단으로서의 기능이 지나치게 강조되면, 이 본래의 의미가 흐려질 수 있음을 소비자와 보험 전문가 모두가 명심해야 한다.   ▶문의: (213)503-6565 알렉스 한 / 재정보험 전문가보험 상식 생명보험 가입 저축형 생명보험 종신형 생명보험 해당 생명보험

2025.10.08. 17:3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