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살며 생각하며] 어머님의 해리 현상

늦은 오후, 약국에 갔다. 약을 기다리고 있는데 남자 직원 분이, 어머님, 이거 드세요, 하며 쌍화탕을 하나 내미신다. 일단, 나 쌍화탕 못 먹는다. 한약 맛 나는 건 아무리 몸에 좋대도 홍삼, 쌍화탕, 활명수도 못 먹는 초딩 입맛이다. 내가 사양을 하자, 어머님, 따뜻해요, 드세요, 하며 강권을 한다. 속으로, 아니, 진짜 못 먹는다구요, 하며 거듭 사양하던 중, 앗, 이 약국 또 나보고 어머님이라? 그것도, 나와 열 살 차이도 안 나 보이는 이 분의 입에서? 아, 급 기분이 나빠지려고 한다.     집에 돌아오신 이 어머님, 거울을 곰곰히 들여다 본다. 그래, 좀 많이 피곤해보이기는 하다. 아침 일찍부터 움직이던 늦은 오후였으니. 그렇다고 내가 어머님? 옷을 너무 편히 입었나? 머리스타일이 좀? 다크써클이 무리하게 내려오셨나? 하긴, 언제부턴가 거울 속의 나를 보기가 점점 고통스러워지고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분명 나일텐데 나라고 믿고싶지 않은, 거울 속에서 나를 바라보고 있는, 울 엄마 비스므리한 이 여사님은 누구?     어느 멋진 대학생이, 가끔 거울 속 자신이 마치 다른 사람 같고 자신의 환경이 낯선 느낌이 들어 불편하다며 찾아온 적이 있다. 정신의학에서 해리 장애(Dissociative Disorder)가 있다. 의식, 기억, 정체감, 행동들이 정상적으로 통합되어야 하는데 이것이 붕괴되어 단절되는 질환이다. 충격적 트라우마나 극심한 스트레스로 인한 고통에서 주로 발생하는 안타까운 현상이다. 해리성 기억상실(dissociative amnesia), 주체장애(depersonalization disorder), 그리고 다중인격 장애라고 불리던 정체성 장애(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로 분류되는데, 그 학생은 아마 약간의 주체 장애를 겪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살면서 갑자기 또는 점차적으로 겪는 힘든 일들은 우리에게 불안하고 우울한 감정들을 불러 일으킨다. 힘들더라도 이 감정들을 직면하며 살아가야 하는 것이 숙제같은 우리 삶이다. 그런데 감정 직면이라는 것이 보통 힘든 게 아니라서, 우리 무의식은 방어기제를 사용 감정들을 일단 눌러놓는다. 그러다가 때로, 무의식에 심하게 억압된 감정과 경험이 의식 단계에 이르지 못하면서, 드물지만 해리라는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나이 들어감은 힘들다. 외모의 변화도 그렇다. 짜증 지대로 난다. 어머님이라는 좋은 호칭에도 이리 예민하게 되니 말이다. 그래도, 아무나 어머님, 아버님이라고 부르는 건 좀 그렇다. 결혼 안한 사람도 요즘 많고, 결혼해도 자녀가 없는 사람도 많다. 다 어머님, 아버님은 아닌 것이다. 하긴 얼마 전, 어머님, 어머님하는 약국 직원 말에 너무 아무렇지도 않게 대답하는 나의 미혼 친구를 보며, 나의 과민함을 살짝 반성하기는 했다.     한국 갔을 때 필라테스를 했는데, 어린 강사님은 나를 “선주님”이라고 불렀다. 첨엔 좀 어색했다. 하지만, 어머님보다는 백 배 나은 호칭이었다. 누구누구 씨/님 이렇게 부르던지, 이름을 모르면, 손님, 환자분, 고객님이라고 하면 되는데, 누구 어머님도 아니고 그냥 어머님이라고 하면, 이 어머님, 또 거울 속 얼굴을 한없이 째려보게 만든다.     육십 대에 들어선 난, 솔직히 참 행복하다. 하고싶은 일들을 마음껏 할 수 있는 여유가 좋다. 살면서 얻게 된 삶의 지혜 또한 세상 어느 것과도 바꾸고 싶지 않다. 에휴, 까짓거, 어머님이라고 불러도 쿨하게 웃어주어야겠다! 김선주 / NJ 케어플러스 심리치료사살며 생각하며 어머님 해리 어머님 거울 어머님 아버님 누구 어머님도

2023.07.05. 21:59

[역지사지(歷知思志)] 해리 왕자의 ‘스페어’

영국에서 요즘 가장 화제인 책은 해리 왕자가 쓴 『스페어(Spare)』다. 출간 첫날인 1월 10일(현지시간) 40만 부가 팔렸다. 이는 비소설 부문 역대 1위 기록이라고 한다. 이 책의 인기 비결은 상당한 수준의 폭로 덕분이다. 자신의 성생활이나 마약 경험뿐 아니라 아버지인 찰스 3세와 커밀라 왕비의 재혼이나 형 윌리엄 왕세자와의 물리적 충돌 등을 상세하게 담았다. 가족에 대한 공격적 내용이 적잖다. 이런 의도는 제목에서도 어느 정도 드러나고 있다. ‘스페어’는 ‘대체재’ ‘예비’ 등을 의미하는 단어다. 해리는 자신의 존재가 형 윌리엄의 비상시를 대비한 대체품 같은 대우를 받고 자랐다고 토로했다.   장자 상속제는 동아시아뿐 아니라 유럽 왕족이나 귀족들도 마찬가지였다. 그래서 맏이 외에는 스스로 기회를 창출해야 했다. 사제가 되어 종교계 지도자가 되거나 신대륙 개척이 대표적이다.     그래도 근대 이전엔 스페어들에게도 기회가 적잖았다. 예를 들어 조선 27명의 왕 중에서 정상적으로 장자가 왕위를 계승한 경우는 문종, 단종, 연산군, 인종, 현종, 숙종, 경종 7명에 불과했다. 하지만 의료 기술의 발달 등으로 변수가 적어져 장자 외에 왕위가 돌아가는 경우는 점점 줄어들었다. 또한 과거처럼 종교계나 신대륙을 도모하기도 쉽지 않은 환경이다. 해리 왕자는 왕실 이야기를 팔아서 부를 창출하는 스페어의 현대적 모델을 만든 것인지도 모르겠다. 유성운 / 한국 문화부 기자역지사지(歷知思志) 스페어 해리 해리 왕자 장자가 왕위 종교계 지도자

2023.02.01. 21:29

[그 영화 이 장면] 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

영화에 등장하는 가장 인상적인 ‘한 해의 마지막 날’을 꼽는다면 ‘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1989)의 엔딩 장면이 아닐까 싶다. 로맨틱 코미디의 대표작인 이 영화는 시카고에서 뉴욕까지 우연히 동행하게 된 해리(빌리 크리스털)와 샐리(멕 라이언)가 12년 동안 쌓아가는 우정과 사랑 사이의 이야기다.     영화에 대한 해석부터 음식 주문 방식과 남녀 관계에 대한 생각까지, 모든 것이 다른 두 사람은 각자 연애와 결혼을 하며 서로에게 ‘남사친’과 ‘여사친’으로서 10년이 넘는 시간을 보낸다.   해리는 샐리에게, 샐리는 해리에게 어떤 존재일까. 대답은 어느 송년 파티에 있다. 북적이는 사람들은 즐거워하지만 샐리는 파티가 왠지 마뜩잖다.     한편 집에서 외롭게 새해 전야를 보내는 해리는 문득 샐리가 생각난다. 거리로 나와 뛰기 시작하는 해리. 마침 파티에서 빠져나오는 샐리와 만난다. “많이 생각해봤는데 당신을 사랑해.” 연말이라 외롭다고 해서 이런 방식은 곤란하다는 샐리에게 해리는 다시 말한다. “당신이 누군가와 남은 인생을 같이 보낼 거라면 빠를수록 좋을 것 같아 여기 온 거야.” “당신은 정말, 미워할 수 없게 말을 해.”   카운트다운 끝에 드디어 찾아온 새해, 두 사람은 축하 키스를 나눈다. 그리고 흐르는 ‘올드 랭 사인’. 이보다 더 완벽한 송구영신 장면이 있을까. 잊고 지냈던 사람들을 기억하는 연말이 되시길. 그리고 우리 모두에게 ‘해피 뉴 이어!’ 김형석 / 영화 저널리스트그 영화 이 장면 해리 샐리 송년 파티 송구영신 장면 엔딩 장면

2022.12.30. 19:2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