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쇠고기 값 폭등에 해산물 산다

가뭄과 비용 상승으로 농가들이 소 사육을 줄이면서 미국 내 쇠고기 가격이 사상 최고 수준으로 치솟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의 1일 보도에 따르면 농업 전문 은행 라보뱅크는 쇠고기 분쇄육이 2020년 이후 20% 상승했으며, 수요가 많은 올해 여름 사상 최고 수준에 이를 것으로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올해 파운드당 평균 가격은 5.33달러에 달하고, 내년에는 15~25센트 더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분쇄육뿐 아니라 전체 쇠고기 가격이 급등하면서 이미 기록적인 수준에 근접한 햄버거와 스테이크 가격은 더 오를 것으로 보인다.   돼지고기나 닭고기 등 대체재로 눈을 돌리거나 쇠고기 구매 횟수를 줄이고 있다.   위스콘신에 본사를 둔 슈퍼마켓 체인 페스티벌푸드의 켄 위커 신선식품 부문 수석부사장은 “많은 소비자가 가격이 비싼 소갈빗살보다 등심을 사고 있다”면서 “일부는 스테이크나 분쇄육보다 해산물을 더 많이 산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런 현상이 나타난 건 목축업자들이 몇 년 동안 이어진 가뭄과 높은 비용 때문에 소를 덜 사육해 공급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가뭄은 네브래스카와 오클라호마, 텍사스주 등 목축업이 발달한 곳에서 특히 심하다.   텍사스에서 암소 200여 마리를 키우는 리사 로버츠 씨는 “가축들에게 물을 공급하는 내 소유지 근처 우물과 개울은 아직 마르지 않았지만, 많은 이웃이 나처럼 운이 좋은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설상가상으로 소를 키우는 데 필요한 연료와 사료, 농기구, 심지어 은행 이자마저 치솟았다.   네브래스카 지역의 농장주 라이언 스트롬버거 씨는 “2014년에는 소 한 마리당 500~600달러를 벌었는데, 올해 초 마리당 이윤이 20달러로 떨어졌고 그나마 최근 약 80달러로 올랐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미국에서 사육되는 소는 근 1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쇠고기 해산물 쇠고기 구매 전체 쇠고기 쇠고기 가격

2023.06.02. 20:55

썸네일

'한국산 어패류 수입' 연방·주정부 승인 필수

  LA한인타운 유명 한인마켓이 한국산 수입 생전복을 불법유통해 20만 달러 벌금〈본지 4월 18일자 A-1면〉을 부과받자 LA총영사관과 한국 수협중앙회는 관련 법규 및 규정 숙지를 당부했다.     18일 LA총영사관과 수협중앙회 LA무역지원센터에 따르면 개인 또는 수입업체가 한국에서 ‘생물(living thing)’을 임의로 들여오는 것은 원칙적으로 금지한다. 식품의약국(FDA) 등 연방정부에 신고하고 수입허가 등을 받으면 반입이 가능하다.   연방정부가 외국산 생물 수입허가를 했어도 수입업체는 주마다 다른 판매규정을 확인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전복의 경우 수입업체가 연방정부로부터 수입허가를 받았어도 가주에서는 판매할 수 없다. 가주 어류·야생동식물보호국(CDFW)은 주법을 적용해 관할지역으로 반입되는 외국산 생물의 유통 및 판매 여부를 결정한다.   현재 가주에서 합법적으로 판매되는 한국산 수산물 생물은 넙치(광어), 우럭, 도다리, 터봇 등 4개 어종이 대표적이다. 조개 등 어패류는 FDA와 CDFW에서 승인한 해협을 전제로 냉동으로 수입해 판매할 수 있다.   또 가주는 ‘안전한 식용수와 화학 물질 규제법’을 골자로 한 주민발의안 65를 시행하고 있다. 수입식품에 납, 카드뮴, 수은 등 중금속이 소량이라도 함유될 경우 ‘안전주의 경고문’을 부착하도록 한다. 한국산 멸치, 김, 다시마, 미역 등이 포함된다.   수협중앙회 LA무역지원센터 노인섭 센터장은 “지난해부터 한국산 수입품을 대상으로 주민발의안 65 관련 경고 문구 안내가 소홀하다는 (공익) 소송이 빈번해졌다”며 “한국산 해조류와 건어물 일부가 해당한다. 한국 수출 및 미국 수입 업체가 관련 내용을 잘 숙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사설 해산물 해산물 산지 원산지 표시 갤러리아 마켓

2023.04.18. 21:59

썸네일

수퍼마켓 냉동 해산물 판매 증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냉동 해산물이 수퍼마켓 수익 증가에 강력한 동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쇼핑객이 마켓 방문 횟수를 줄이기 위해 냉동 식품을 비축하면서다. 또한 즉석 식품 및 즉석 조리 제품 포함 간편식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늘면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2020년 냉동 해산물 시장은 총 134억 달러 규모로 2026년에는 161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시장조사 회사인 IMARC 그룹이 보고했다.     식품산업협회(FMI)는 2020년 전국 가정의 약 73%가 냉동 해산물을 구입한 반면 신선 식품은 약 51%를 구입했다고 밝혔다.     FMI의 보고서 ‘2021년 해산물의 파워’에 따르면 맛, 종류와 함께 소비자가 냉동 해산물을 구입하는 중요한 선택 기준은 가격이다.     시장조사 및 컨설팅 회사인 팩트 미스터는 “냉동 해산물 유통기간이 길어지면서 일 년 내내 이용이 가능하다”며 “품질이나 영양 손실 없이 해산물을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냉동 기술의 발전, 기술 혁신, 더 나은 공급망 솔루션 및 식품 고급화 증가로 냉동 해산물의 품질이 향상되고 있다.     웨스턴 미시건대학교 식품마케팅 러셀 좐카 부국장은 “신선한 해산물보다 냉동 상품을 늘리면 수퍼마켓은 국내와 전세계 해산물을 수입해 수퍼마켓을 더 잘 운영할 수 있다”며 “특히 생선은 일반적으로 해상에서 급속 냉동되기 때문에 여러 면에서 냉동이 더 낫다”고 설명했다.     또한 “급속 냉동 기술을 사용하면 해산물을 수확 후 몇 초 안에 얼려 영양소, 풍미, 질감 및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며 “냉동 해산물이 신선할수록 영양가가 풍부하다는 것을 쇼핑객에게 확신시키는 것이 과제다”고 말했다.     전세계 소비자들이 바쁜 생활로 냉동식품과 즉석 식품의 소비를 늘리자 주요 업체들은 냉동 수산물 생산량을 늘리고 있다고 팩트 미스터측은 밝혔다. 이은영 기자수퍼마켓 해산물 수퍼마켓 냉동 냉동 해산물 수퍼마켓 수익

2022.04.03. 19:23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